국어문학창고

안개 / 해설 / 기형도

by 송화은율
반응형

안개 - 기형도

 

1

아침 저녁으로 샛강에 자욱이 안개가 낀다.

 

2

이 읍에 처음 와 본 사람은 누구나

거대한 안개의 강을 거쳐야 한다.

앞서간 일행들이 천천히 지워질 때까지

쓸쓸한 가축들처럼 그들은

그 긴 방죽 위에 서 있어야 한다.

문득 저 홀로 안개의 빈 구멍 속에

갇혀 있음을 느끼고 경악할 때까지.

 

어떤 날은 두꺼운 공중의 종잇장 위에

노랗고 딱딱한 태양이 걸릴 때까지

안개의 군단(軍團)은 샛강에서 한 발자국도 이동하지 않는다.

출근 길에 늦은 여공들은 깔깔거리며 지나가고

긴 어둠에서 풀려 나는 검고 무뚝뚝한 나무들 사이로

아이들은 느릿느릿 새어 나오는 것이다.

안개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처음 얼마 동안

보행의 경계심을 늦추는 법이 없지만, 곧 남들처럼

안개 속을 이리저리 뚫고 다닌다. 습관이란

참으로 편리한 것이다. 쉽게 안개와 식구가 되고

멀리 송전탑이 희미한 동체를 드러낼 때까지

그들은 미친 듯이 흘러 다닌다.

 

가끔씩 안개가 끼지 않는 날이면

방죽 위로 걸어가는 얼굴들은 모두 낯설다. 서로를 경계하며

바쁘게 지나가고, 맑고 쓸쓸한 아침들은 그러나

아주 드물다. 이곳은 안개의 성역(聖域)이기 때문이다.

날이 어두워지면 안개는 샛강 위에

한 겹씩 그의 빠른 옷을 벗어 놓는다. 순식간에 공기는

희고 딱딱한 액체로 가득 찬다. 그 속으로

식물들, 공장들이 빨려 들어가고

서너 걸음 앞선 한 사내의 반쪽이 안개에 잘린다.

 

몇 가지 사소한 사건도 있었다.

한밤중에 여직공 하나가 겁탈당했다.

기숙사와 가까운 곳이었으나 그녀의 입이 막히자

그것으로 끝이었다. 지난 겨울엔

방죽 위에서 취객(醉客) 하나가 얼어 죽었다.

바로 곁을 지난 삼륜차는 그것이

쓰레기 더미인 줄 알았다고 했다. 그러나 그것은

개인적인 불행일 뿐, 안개의 탓은 아니다.

 

안개가 걷히고 정오 가까이

공장의 검은 굴뚝들은 일제히 하늘을 향해

젖은 총신(銃身)을 겨눈다. 상처 입은 몇몇 사내들은

험악한 욕설을 해대며 이 폐수의 고장을 떠나갔지만,

재빨리 사람들의 기억에서 밀려났다. 그 누구도

다시 읍으로 돌아온 사람은 없었기 때문이다.

 

<후략>


 요점 정리

 

 지은이 : 기형도

 성격 : 문명 비판적, 반어적, 고발적,

 어조 : 반어적이고, 단정적 어조

 표현 : 근대 산업화의 개발 이라는 허울 아래 망가져 가는 환경과 농촌의 변화된 인심을 날카롭게 고발함

 구성 : 병렬적, 점층적 구성(선경후정의 한시적 방법과 유사한 이유로 샛강에 자욱이 낀 안개를 제시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점차 병들어 가는 자연과 인간의 실상을 병렬적으로 묘사한 뒤 마지막 단락에서 아이러니 기법을 사용하여 주제를 드러내고 있음)

1-1연 : 강에 끼는 자욱한 안개

2-1연 : 읍에 사는 사람들이 겪어야 할 안개

2연 : 걷히지 않은 안개와 그것에 익숙해지는 사람들

3연 : 안개의 성역

4연 : 저녁이면 읍을 감싸는 안개

5연 : 타인의 불행에 무관심하고 비정한 인심

6연 : 공장의 매연과 환경 오염으로 인한 삶의 터전 상실

3-1연 : 안개에 익숙해진 사람들과 물신주의 비판

 제재 : 샛강 주변 공단의 안개(매연)와 각박해져 가는 인정

 주제 : 자연 환경과 물신주의(物神主義)에 빠져들 게 만드는 산업화를 고발하고 비판, 산업화에 의한 환경 오염과 인간 소외 현상 고발

 

 내용 연구

1

아침 저녁으로 샛강에 자욱이 안개(공장에서 뿜어져 나온 매연으로 산업화의 상징이다. 그리고 안개는 주로 몽환적인 소재에 많이 사용되는데 안개를 공장에서 뿜어져 나오는 매연을 상징함으로써 황폐화되어 가는 작은 읍지역의 실상을 그리고 있다. 서정성이 강하게 느껴지는 소재를 사용하여 산업화의 부정적 양상을 반어적으로 표현하고 있다.)가 낀다.

2

이 읍에 처음 와 본 사람은 누구나

거대한 안개의 강(산업화가 심각하게 진행되었다는 것을 의미)을 거쳐야 한다.

앞서간 일행들이 천천히 지워질 때까지

쓸쓸한 가축[산업화에 희생되어 가는 수동적 존재들로 뒤에 나오는 여공, 아이들과  의미가 비슷함]들처럼 그들은

그 긴 방죽 위에 서 있어야 한다.

문득 저 홀로 안개의 빈 구멍 속에

갇혀 있음을 느끼고 경악할 때까지.[산업화에 의한 희생을 깨달음]

 

어떤 날은 두꺼운 공중의 종잇장 위에[하늘]

노랗고 딱딱한 태양이 걸릴 때까지[매연이 가득한 하늘 위의 태양을 말함]

안개의 군단(軍團 :  육군에서, 사단 이상의 병력으로 편성되는 전술 단위 부대. 군과 사단의 중간에 해당한 것으로 군이라는 말은 파괴적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으며, 의인법을 사용했고, 산업화의 엄청난 파괴력 암시)은 샛강에서 한 발자국도 이동하지 않는다.

출근 길에 늦은 여공들은 깔깔거리며 지나가고[무의식적이고 무비판적임]

긴 어둠에서 풀려 나는 검고 무뚝뚝한 나무들[매연으로 인한 나무들의 변색] 사이로

아이들은 느릿느릿 새어 나오는 것이다.

안개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처음 얼마 동안

보행의 경계심을 늦추는 법이 없지만, 곧 남들처럼

안개 속을 이리저리 뚫고 다닌다. 습관이란

참으로 편리한 것이다[매너리즘 (mannerism) :예술 창작이나 창의성을 요하는 일에 있어서, 틀에 박힌 수법이나 기교나 발상 등을 되풀이하여 신선미나 독창성을 잃은 상태. 타성. 현실에 안주해 버리는 사람들의 모습]. 쉽게 안개와 식구가 되고[무의식적이고 무비판적인 동화]

멀리 송전탑이 희미한 동체를 드러낼 때까지

그들은 미친 듯이 흘러 다닌다.[시적 화자의 비판적 시각이 담겨 있음]

 

가끔씩 안개가 끼지 않는 날이면

방죽 위로 걸어가는 얼굴들은 모두 낯설다. 서로를 경계하며

바쁘게 지나가고[공동체의 붕괴], 맑고 쓸쓸한 아침들은 그러나

아주 드물다. 이곳은 안개의 성역(聖域)[산업화의 중심 지역]이기 때문이다.

날이 어두워지면 안개는 샛강 위에

한 겹씩 그의 빠른 옷을 벗어 놓는다[안개의 의인화]. 순식간에 공기는

희고 딱딱한 액체로 가득 찬다. 그 속으로

식물들, 공장들이 빨려 들어가고

서너 걸음 앞선 한 사내의 반쪽이 안개에 잘린다.[산업화되고 있고, 공동체의 붕괴, 인간성의 상실을 의미]

 

몇 가지 사소한 사건(시인이 주관적인 생각이라기보다는 가장 중요한 인간의 존엄을 사소한 것이라는 반어적 표현을 사용하여 현대인의 각박해진 인심과 서로에 대한 무관심과 비인간화된 사회를 고발하고 있다.)도 있었다.

한밤중에 여직공 하나가 겁탈당했다.

기숙사와 가까운 곳[이웃들의 불행에 대한 인간들의 무관심 즉 공동체의 붕괴를 상징]이었으나 그녀의 입이 막히자

그것으로 끝이었다. 지난 겨울엔

방죽 위에서 취객(醉客) 하나가 얼어 죽었다.

바로 곁을 지난 삼륜차는 그것이

쓰레기 더미인 줄 알았다고 했다.[인간들의 무관심] 그러나 그것은

개인적인 불행일 뿐, 안개의 탓은 아니다.(비인간화된 사회를 담담하게 표현하여 현대 산업 사회의 비정함을 보여주는 말로 반어적 표현임)

 

안개가 걷히고 정오 가까이

공장의 검은 굴뚝들은 일제히 하늘[자연]을 향해

젖은 총신(銃身)을 겨눈다(반자연적인 산업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산업화의 폐해 암시하는 것으로 '김광균'의 '추일서정'의 '공장의 지붕은 흰 이빨을 드러낸 채'과 이미지가 동일함). 상처 입은 몇몇 사내들은

험악한 욕설을 해대며[소수나마 산업화의 폐해에 대해 저항해보지만] 이 폐수의 고장(산업화, 도시화로 인해 오염되고 파괴된 이 시의 배경이 되는 읍의 현실을 가장 상징적으로 드러낸 시구)을 떠나갔지만,

재빨리 사람들의 기억에서 밀려났다. 그 누구도

다시 읍으로 돌아온 사람은 없었기 때문이다.(거대 기업의 횡포 또는 산업화 세력들의 환경 파괴적인 반자연적인 태도에 대해 저항하는 세력이 없고 이미 이 고장은 사람이 살 만한 곳이 못된다는 의미)

 

3

 

아침 저녁으로 샛강에 자욱이 안개가 낀다.

안개는 그 읍의 명물이다.[공장에서 뿜어져 나온 매연으로 산업화의 상징을 암시하는 안개는 그 읍의 명물이라고 하는 것은 시의 문맥을 통해 보면 반어적 표현이라고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누구나 조금씩은 안개의 주식을 갖고 있다.[여기서 안개의 주식은 우리 모두에게 책임은 있다는 해석으로 볼 수 있다. 영화 'A few goodman'에서 법정에 선 흑인 병사가 자신에게도 일정한 책임은 있다는 말이 생각난다. 궁극적으로 산업화의 폐해라는 것도 우리 모두에게 책임이 있다는 말임 ]

여공들의 얼굴은 희고 아름다우며[공장에서 하루 종일 일을 해서 햇볕을 볼 시간이 없어 얼굴이  희다는 말로 반어적 표현]

아이들은 무럭무럭 자라 모두들 공장으로 간다.[여공들의 얼굴은 - 자라 모두들 공장으로 간다 : 열악한 노동 현실인 공장에서 하루 종일 일하는 여공들의 얼굴은 생기를 잃고 창백할 수 밖에 없고, 그리고 아이들마저 공장으로 나가야 하는 안타까운 현실을 아름답다고 하는 것은 사실 반어적인 표현이다.]

 

 

 

 

 이해와 감상

 

 1970년대 박정희 군사 정권의 밀어부치기 산업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반자연적인 환경의 부작용을 다룬 산업 문명 비판시로 농촌에까지 밀어닥친 산업화의 물결과 거기에서 파생되는 환경 오염, 그리고 점차 각박해지는 사람들의 인심을 객관적이고 반어적인 어조로 고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장 주변에 사는 사람들은 먹고 살기 위해 이웃들의 불행에 무감각해지고, 그들이 살아왔던 보금 자리가 환경 오염으로 파괴되어 가도 무관심하다. 이런 사람들을 객관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시인은 독자들에게 그 판단을 넘기고 있다.

 

 산업화에 대한 긍정적인지지를 보낸 사람들은 '알몸 박정희'의 저자 최상천이가 말한 다음의 말에 귀를 기울여 볼 필요가 있다.

 

 박정희의 가장 큰 치적이라는 경제발전에 대해서도 그는 날선 비판을 아끼지 않았다. 굳이 경제개발의 측면만을 얘기하자면 차리리 일제의 공로가 더 크다는 것이다. 그는 “박정희 시대 건설된 고속도로가 1,200㎞에 불과한데 이미 일제는 5,000㎞의 철로를 놓아 조선을 ‘근대화’하고 조선인의 삶을 ‘향상’시켰다”면서 “그런 논리라면 우리는 박정희보다 일본 제국주의자들을 몇 곱절 존경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그렇게 무자비했던 스탈린도 소련을 미국에 버금가는 세계 최고 수준의 공업국으로 이끌어 올렸다는 것이다. 요컨대 인간의 이성과 윤리성, 사회적 합리성을 배제한 채 ‘경제개발했으니 훌륭한 것 아니냐’는 인식은 조직폭력배들이 용돈 몇 푼 쥐어주는 두목에게 머리 조아리는 것과 다를 바 없다는 설명이다.

 결국 이 작품은 철학이 없는 산업화에 대한 냉엄한 비판이요 고발의 시로 서정성 짙은 '안개'를 사용해서 이 작품의 비극성을 더하고 있다.

 

 

 심화 자료

 

  기형도(奇亨度, 1960~1989)

 

  시인. 1960년 2월 16일 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도에서 3남 4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1979년 연세대학교 정법대학 정법계열에 입학하여 1985년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였다. 1984년 중앙일보에 입사하여 정치부·문화부·편집부에서 일하며 지속적으로 작품을 발표하였다. 1989년 시집 출간을 위해 준비하던 중, 종로의 한 극장 안에서 숨진 채 발견되었고 사인은 뇌졸중이었다.

 

대학 재학 시절 윤동주문학상 등 교내 주최 문학상을 받았고, 198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부문에 《안개》가 당선되면서 문예지에 시를 발표하기 시작하였다. 중앙일보에 근무하는 동안 여러 작품을 꾸준히 발표하면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주로 유년의 우울한 기억이나 도시인들의 삶을 담은 독창적이면서 개성이 강한 시들을 발표하였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유고 시집인 《입 속의 검은 잎》(1989), 산문집 《짧은 여행의 기록》(1990), 《기형도 전집》(1999) 등이 있다.(출처 : 동아대백과사전)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