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실전 논술 37 - 논제

by 송화은율
반응형

 

<논제2>

바람직한 가족의 모습과 가족 구성원의 역할에 대해 논하라

-------------------------------------------------------------------------------------------------------------------------------------------------------------------------------------------------------------------------------------------------------------------------------------------------------------------------------------------------------------------------------------------------------------------------------------------------------------------------------------------------------------------------------------------

 

 

 

 

<논제3>

한국 사회에서 기성세대와 신세대의 역할과 바람직한 관계를 논하라.

------------------------------------------------------------------------------------------------------------------------------------------------------------------------------------------------------------------------------------------------------------------------------------------------------------------------------------------------------------------------------------------------------------------------------------------------------------------------------------------------------------

 

 

<논제 4>

 

다음 제시문은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 '일신수필' 서문과 율곡의 <격몽요결> '처세장'이다. 연암과 율곡의 주장을 각각 바탕으로 하여 현대 우리 나라 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개선점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제시문에서 시사하고 있는 바를 중심으로 하여 논술하시오.

 

<유의 사항>

1. 1,700자 내외(띄어쓰기 포함 ±200)로 할 것.

2. 문제나 제시문을 그대로 옮겨 적거나 반복 사용하지 말 것.

3. 서론, 본론, 결론의 삼단 구성을 취할 것.

4. 어문 규정과 원고지 작성법에 따를 것.

 

() 다만 남의 말이나 자기가 들은 것에만 의지하는 사람은 더불어 학문을 말할 것이 못된다. 하물며 평생토록 마음의 작용과 자연의 현상에 생각이 미치지 못한 사람이랴. 그런 사람은 성인이 태산에 올라 천하가 작다고 하면 마음으로는 그렇지 않으리라고 하면서 입으로는 그렇다고 말할 것이고, 부처가 시방세계를 다 본다고 하면 환상이요 망녕이라고 하고, 서양 사람이 큰 배를 타고 지구 밖으로 나간다고 하면 괴이한 거짓말이라고 꾸짖을 것이니 나는 누구와 더불어 천지의 장관을 이야기할 것인가?

 

! 성인이 240년 동안의 역사를 다듬어 '춘추(春秋)'라 하였는데. 240년 동안의 옥백(玉帛)과 병거(兵車)의 일은 곧 하나의 꽃이 피고 하나의 나뭇잎이 떨어진 일일 뿐이다. ! 내가 지금 애써 글씨를 쓰며 이에 이른 동안이 한 순간에 지나지 않지마는, 이 한순간에도 작은 옛날, 작은 지금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작은 옛날 작은 지금도 또한 큰 순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인데, 그 사이에서 이름을 세우고 일을 이루려 하니 어찌 애달프지 아니한가?

 

내가 일찍이 묘향산에 올라가 상원암에서 묵게 되었는데, 밤새 달이 대낮처럼 밝았다. 창을 열고 동쪽을 바라보니 암자 앞에 안개가 자욱한데 그 위에 달빛을 받아 마치 수은(水銀)바다와 같다. 바다 밑에서 코고는 것과 같은 소리가 은은히 들려오니, 중들이 서로 "하계에서는 방금 큰 우레와 비가 한창이로군." 한다. 날이 밝아 산에서 나와 안주에 이르니, 과연 어제 밤에 천둥 번개를 폭우가 내려 평지에 물이 한 길이나 범람하여 민가가 떠내려갔다. 나는 말을 멈추고 개연(慨然)"지난밤에는 내가 구름과 비 밖에서 밝은 달을 안고 잤구나. 이 묘향산은 태산에 비한다면 하나의 무덤 폭밖에 안 되는데도 그 높은 데와 낮은 데가 이처럼 딴 세상이니 하물며 성인이 천하를 봄에 있어서랴." 하고 탄식하였다. 저들이 말하기를 석가는 설산에서 고행하였고, 공자는 문중의 삼출(三黜)과 백어(伯魚)의 요절이며, (), ()에서 몸을 감춘 일을 예견하지 못하였다 하여 세간을 초월하지 못한 것이라고 한다. 진실로 땅[], [], [], 바람[] 사대(四大)가 눈 깜짝할 사이에 모두 공()으로 돌아가는 것은 허무한 일이다. 저들은 또 성인과 불씨(佛氏)의 사념(思念)은 오히려 땅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하고, 지구를 어루만지고 하늘을 걸어 다니고 별을 잡고 다녀 스스로 사념이 석가? 공자보다 낫다고 하는 것도 그럴듯한 말이겠다.

 

외국 말을 배우고 늙도록 글을 익혀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일을 도모하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본래 이몸은 지금에 있으되 과거에 속하게 되는 것이니, 그 과거가 지나고 또 지나서 쉬지 않는다면 옛날에 의지했던 학문이란 것이 또한 아무런 취할 것이 없게 되기 때문이다. 지금 내가 이번 길에 비록 태산에 올라가 사방을 바라보지 못하였고, 큰 배를 타고 지구 밖으로 나가보지 못하였으나, 왕복 만 리 길에 괴이하고 기이하고 웅장한 광경이 사람으로 하여금 마음이 취하고 눈이 어리게 하여, 입으로 이루 비유할 수 없고 붓으로 이루 기록할 수 없는데, 아무리 시골 좁은 견식으로 보더라도 역시 장관이라 할 것이다. 내 조그만 서재에 돌아와서 나의 욕심 없고 담박함을 지키매 바깥 거리가 저 하늘 끝 같아 지난 일이 모두 꿈속만 같으니, 또한 무엇을 많다고 할 수 있으랴? ! 공자가 "널리 글을 배워서 사물의 이치를 구명하고, 예의로써 그 학문을 요약하여 행한다."고 말하지 않았던가, 저들은 평생토록 꿈속에서 잠꼬대로 방황하는 자일 뿐이다. 꿈속에서 잠꼬대로 방황하지 않으려면 마땅히 학문을 말할 것이요, 또한 천하의 대관(大觀)을 말할 것이다.

 

() 옛날의 학자는 벼슬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학문이 성취되면 위에서 들어 쓰는 것이니 대개 벼슬은 남을 위한 것이요, 자기를 위한 것이 아니다. 지금은 그렇지 아니하여 과거로 사람을 뽑게 되므로 비록 하늘을 통하는 학문과 남보다 뛰어난 행실이 있어도 과거가 아니면 출세하여 도를 행할 수 없으므로 아비가 자식을 가르치고 형이 그 아우에게 권하는 것이 과거(科擧)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으니 선비의 올바른 습속이 버려짐이 이 까닭이다. 다만 지금 선비가 이 부모의 희망과 문호의 계책을 위하여 과거를 하더라도 마땅히 자기의 포부를 길러서 때를 기다려 득과 실은 천명에 맡길 것이요, 열중하여서 그 본 뜻을 잃지 말 것이니라.

 

사람들이 말하되 "과거 때문에 학문을 할 수 없다."고 하니 이것은 핑계에 지나지 않으며, 성심에서 나온 것이 아니다. 고인(古人)은 부모 봉양할 때에 밭을 갈기도 하며 품팔이도 하며 쌀을 지고 다니던 자도 있었으니 이렇게 할 때에 고생이 심한데 어느 겨를에 독서를 하리오마는 그들은 부모를 위해 노력하되, 자식의 도리를 다하고 여력으로 글을 배워도 가히 올바른 도리에 나아갈 수 있었던 것이며, 지금의 선비들은 옛사람과 같이 부모를 위해 노력도 하지 않고 다만 과거 한 가지가 부모가 바라는 바이므로 이것 한 가지만 일삼게 되었으니 과거가 비록 이치를 닦는 학문과는 다르니 역시 앉아서 글 읽고 작문하는 것이니, 밭 갈고 품팔이하기보다는 백 배나 편치 아니하랴. 하물며 여력으로 성리학에 대한 책을 할 수 있다면 두 말할 나위가 있겠는가? 다만 과거를 위해 학문을 하는 자는 대개 득실에 의해 마음이 동한 바가 되어 마음이 항상 조급하므로 도리어 노력하는 것이 마음에 해가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선현의 말씀에 "공을 닦는 일에 방해가 될까 염려가 아니라 뜻을 빼앗길까 걱정이다"하였다. 만약 그 일을 하면서도 그 지킴을 잃지 않는다면 과거와 순수한 학문이 병행하여 서로 어긋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요즘 사람들은 과거를 한다면서 공명(功名)도 못하고 성리학을 한다고 하면서 실제로 저술(著述)도 아니하여 만일 과거에 대해 책임을 지우면 '나는 성리학에 뜻을 두어 여기에 급급할 수 없다'고 하고, 만일 성리학에 책임을 지우면 '나는 과거 때문에 실지로 공부할 수 없다'고 하여 이렇게 미루기만 하고 유유히 날만 보내어 마지막에는 과거와 성리학 둘 다 성취가 없으니 늙어서 뉘우친들 무슨 소용이 있으리오. ! 경계할 지어다.

 

사람들이 벼슬하기 전에는 벼슬에만 급급하다가 벼슬을 한 뒤에는 벼슬을 잃을까 걱정하여, 이렇게 골몰하여 그 본심을 잃은 사람이 많다. 이 어찌 두렵지 않으리오. 벼슬이 높은 이는 도를 행하기로 주장하여 도를 행할 수 없으면 물러갈 것이요, 만일 집이 가난하여 먹기 위해 벼슬하는 것을 면하지 못하면 모름지기 내직(內職)을 사양하고 외직(外職)을 구하며, 높은 지위를 사양하고 낮은 자리를 구하여 추위와 배고픔을 면할 것이다. 비록 먹기 위하여 벼슬을 하는 자도 마땅히 청렴하고 성실히 근무하여 그 직무를 다할 것이요, 놀고 먹기만 하지 말 것이니라.

 

<나의 생각 정리>

--------------------------------------------------------------------------------------------------------------------------------------------------------------------------------------------------------------------------------------------------------------------------------------------------------------------------------------------------------------------------------------------------------------------------------------------------------------------------------------------------------------------------------------------------------------------------------------------------------------------------------------------------------------------------------------------------------------------------------------------------------------------------------------------------------------------------------------------------------------------------------------------------------------------------------------------------------------------------------------------------------------------------------------------------------------------------------------------------------------------------------------------------------------------------------------------------------------------------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