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구보씨(仇甫氏)의 일일(一日) /요점정리 / 박태원
by 송화은율작자소개
박태원(朴泰遠 : 1909.12.7~1987)
소설가. 필명 몽보(夢甫)·구보(丘甫)·구보(仇甫)·구보(九甫)·박태원(泊太苑). 서울 출생. 경성제일고보, 도쿄[東京] 호세이[法政]대학 등에서 수학하였다. 1926년 《조선문단(朝鮮文壇)》에 시 《누님》이 당선되었으나, 소설로서의 등단은 30년 《신생(新生)》에 단편 《수염》을 발표하면서 이루어졌다.
33년 구인회(九人會)에 가담한 이후 반계몽, 반계급주의문학의 입장에 서서 세태풍속을 착실하게 묘사한 《소설가 구보(仇甫)씨의 1일》 《천변풍경(川邊風景)》 등을 발표함으로써 작가로서의 위치를 굳혔다.
그의 소설에 있어 특기할 사항은, 문체와 표현기교에 있어서의 과감한 실험적 측면과, 또 시정 신변의 속물과 풍속세태를 파노라마식으로 묘사하는 소위 세태소설의 측면이다. 이러한 특징은 그가 예술파 작가임을 말해주는 중요한 요건이다. 일제강점기 말에 발표한 《우맹(愚氓)》 《골목 안》 《성탄제》 등에도 비슷한 경향을 잘 드러내었다.
8.15광복 후에는 조선문학가동맹에 가담함으로써 작가의식의 전환을 꾀한 바 있고, 6.25전쟁 중 서울에 온 이태준(李泰俊)·안회남(安懷南) 등을 따라 월북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서술된 작품 외에 단편소설 《사흘 굶은 보름달》 《애욕》《피로》 《5월의 훈풍》, 장편소설 《태평성대》 《군상(群像)》 등이 있다.
요점정리
갈래 : 중편소설, 심리소설
배경 : 시간 - 1930년대 어느 하루 / 공간 - 서울 거리
성격 : 세태소설
의의 : 박태원이 자신의 창작 방법론을 고현학(modemologe: 현대적 일상 생활의
풍속을 면밀히 조사 탐구하는 행위)이라 했는데, 이를 적용시킨 작품이 바로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이다.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주제 : 1930년대 무기력한 문학인의 눈에 비친 일상사.
인물 : 구보 - 외출에서 귀가까지의 관찰의 주체. 소설가.
어머니 - 구보의 어머니. 아들의 늦은 귀가와 결혼을 염려한다.
구성 : 이 작품은 '발단-전개-위기-절정-결말'이라는 일반적인 소설의 구성 방식을
따르지 않고 있다. 다만, 외출해서 '전차 안→다방→거리→경성역 대합실→다
방→거리→술집' 그리고 귀가까지의 작중화자의 관찰과 심리가 서술되고 있을
뿐이다.
이해와 감상
작가 박태원의 실제 생활을 반영한 자전적(自傳的) 소설로, 발표 직후 새로운 형식의 소설이란 평가를 받기도 했다.
목적 없이 집을 나선 '구보'가 다시 집으로 돌아오기까지 도중에 우연히 부딪히게 되는 단편적인 여러 사실들, 그리고 그에 의해 촉발되는 두서 없는 생각들의 연속인 이 소설에서 우리는 1930년대 나약한 지식인의 일상사(日常事)를 엿볼 수 있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1934년 8월 1일부터 9월 19일까지 <조선중앙일보>에 연재되었던 박태원의 중편소설이다. 민족 항일기(民族抗日期)에 문학을 하는 지식인의 무기력한 자의식을 형상화한 작품인데, 이상(李箱)이 '하융'이란 필명으로 삽화를 그리기도 했다.
이 소설은 박태원의 생활을 반영한 그의 자전적(自傳的) 소설로, 발표된 직후 새로운 형식의 소설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주인공인 '구보'가 집을 나서서 다시 집으로 돌아오기까지(집→천변길→종로 네거리→화신상회→전차 안→조선은행 앞→다방→거리→경성역→조선은행 앞→다방→거리→다방→거리→식당→거리→다방→거리→술집→카페→종로 네거리→집) 하루 동안, 길거리에서 만나게 된 여러 가지 일들 속에서 반응하고 있는 '구보'의 의식 세계가 주요 내용이다. 그런데, 그것은 일정한 의식의 기준에 의해 통일된 입장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도중에 우연히 부딪히게 되는 단편적인 사실들에 의해 촉발되는 두서 없는 생각들일 뿐이다.
이 소설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특별한 목적 없이 외출하여 걷고, 다방에 들어가고, 벗을 만나고 하는 '구보'의 행동이 아니라, 일상성의 이면에 자리잡고 있는 주인공 '구보'의 의식의 추이와 그것을 서술하고 있는 서술 양식이다. 따라서, 이 소설에서는 전통적인 소설 장르에서 중시하는 사건이나 행위, 갈등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지 못한다. 소설을 이끌어 가는 것은 '구보'의 지각과 의식의 유동(流動)뿐이기 때문이다. 현실적인 공간은 스물여섯 살 '구보'의 서울에서의 하루이지만, 의식의 공간은 첫사랑을 시작한 어린 소년기에서 동경 유학 시절에 이르기까지 확대되어 있다. 따라서, 플롯(plot)을 중심으로 하는 서사 구조가 약화되어 있는 반면, 과거에 대한 회상이나 의식의 추이에 대한 서술이 강화되어 있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1930년대 문학인의 일상사를 직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그 당시 문학인의 의식 구조를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지표를 제공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성탄제}, {비량} 등의 단편들에서 인물의 심리를 면밀하게 탐구하던 것과 장편 {천변 풍경}에 나타나는 철저한 관찰적 방법과의 혼재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는 중편 소설이란 점에서, 박태원의 작품 변모 과정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작품이다.
줄거리
직업과 아내를 갖지 않은 스물여섯 살의 '구보'는 정오에 집을 나와 광교, 종로를 걸으며 귀도 잘 들리지 않고 시력에도 문제가 있다는 신체적 불안감을 느낀다. 무작정 동대문행 전차를 타고는 전차 안에서 전에 선을 본 여자를 발견한다. 일부러 모른 체하고 있다가 그녀가 전차에서 내리고 난 후 후회한다.
혼자 다방에 앉아 차를 마시면서 자기에게 여행비만 있으면 행복할 것 같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고독을 피하려고 경성역 삼등 대합실로 가지만, 오히려 온정을 찾을 수 없는 냉정한 눈길들에 슬픔을 느끼며, 거기서 만난 중학 시절 열들생이 예쁜 여자와 동행인 것을 보고 물질에 약한 여자의 허영심을 생각한다.
다시 다방에서 만난, 시인이며 사회부 기자인 친구가 돈 때문에 매일 살인 강도와 방화 범인의 기사를 써야 한다는 사실을 애달파하고, 즐겁게 차를 마시는 연인들을 바라보면서 질투와 고독을 동시에 느낀다.
다방을 나온 '구보'는 동경에서 있었던 옛사랑을 추억하며 자신의 용기 없는 약한 기질로 인해 여자를 불행하게 만들었다는 죄책감을 느끼고, 또 전보를 배달하는 자동차가 지나가는 것을 보며 오랜 벗에게서 한 장의 편지를 받고 싶다는 생각에 젖느다.
그리고 여급이 있는 종로 술집에서 친구와 술을 마시며 세상 사람들을 모두 정신 병자로 간주하고 싶은 충동을 느끼기도 하고, 하얀 소복을 입은 아낙이 카페 창 옆에 붙은 '여급 대모집'에 대하여 물어 오던 일을 생각하고 가난에서 오는 불행에 대하여 생각한다.
새벽 두 시의 종로 네거리, '구보'는 제 자시의 행복보다 어머니의 행복을 생각하고 이제는 어머니가 권하는 대로 결혼을 하여 생활도 갖고 창작도 하리라 다짐하며 집으로 향한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