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설기(三說記)
by 송화은율삼설기(三說記)
조선 후기 작자 미상의 단편소설집. 국문목판본. 활자본은 조선서관판 ≪ 별삼설기 別三說記 ≫ 가 있는데, 여기에는 〈 낙양삼사기 洛陽三士記 〉 · 〈 황주목사기 黃州牧使記 〉 · 〈 서초패왕기 西楚覇王記 〉 · 〈 삼자원종기 三子遠從記 〉 · 〈 노처녀가 老處女歌 〉 5편이 실려 있다.
목판본 〈 삼설기 〉 는 서울 소설 방각본(坊刻本) 중 최초의 간본으로 간행 연대는 1848년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는 쿠랑(Courant,M.)의 ≪ 한국서지 韓國書誌 ≫ (프랑스, 파리 Ernest Leroux Editeur, 1894)의 간지(干支)를 감안해서 추정한 것이므로, 이본의 출현 등으로 재고될 수도 있다.
≪ 삼설기 ≫ 방각본은 희귀본이 되어 국내에서는 서강대학교 도서관에 상권이 있고, 오한근(吳漢根)이 상 · 중 · 하 3책을 소장하고 있다. 그리고 서울대학교 도서관 가람문고에 하권 1부가 〈 금수전 禽獸傳 〉 으로 되어 있다.
이는 스킬랜드(Skillend)가 보내온 대영박물관(大英博物館) 소장 〈 삼설기 〉 하 및 파리 동양어학교(東洋語學校)본 3책의 마이크로필름을 보면, 이것이 원래 〈 삼설기 〉 이고 〈 금수전 〉 은 여기서 〈 노섬상좌기 老蟾上座記 〉 를 깎고 간행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 오한근본과 파리본은 2편차(編次)가 다르다.
이상 이본을 통하여 이 소설집에 수록된 단편들은 5편을 넘어서서 9편이 됨을 알 수 있다. 그 제목은 〔 그림 〕 과 같다. 이런 9편이 수록된 단편집에 어떻게 하여 〈 삼설기 〉 라는 이름이 붙여졌는가는 김태준의 ≪ 조선소설사 朝鮮小說史 ≫ 로부터 추측되어 왔다.
그렇지만 오한근 3책본이 〈 노처녀가 〉 에서 끝나고, 〈 금수전 〉 과 〈 노섬상좌기 〉 가 따로 떨어져나간 사실은 파리동양어학교본 3책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파리본은 경판본 · 방각본의 최고본(最古本)으로 여겨지는데, 9편 3책, 매책 3설을 수록하고 있어 ‘ 삼설기 ’ 라는 이름이 붙은 것으로 추측된다.
〈 삼설기 〉 는 고전소설 중에서 유일한 국문 단편집으로서 우리 문학사 속에 독특한 위치를 차지한다. 9편의 단편들은 조선 말기의 소설이면서 그 구성이나 문장에 있어 근대성을 띠고 있고, 단편으로서도 기교적인 작품들이다. 작자가 밝혀지지 않는 것이 아쉬운 점이지만, 작품으로서도 다듬어진 기교를 지니고 있으면서 그 문장도 화려하다.
≪ 춘향전 ≫ 중에 〈 남원고사 南原古詞 〉 가 서울 시정적 요설(市井的饒說)을 지니고 있는 것과 같이, 이 〈 삼설기 〉 역시 서울 시정적인 위트나 유머를 지니고 있어서, 한국적 풍자문학의 훌륭한 작품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면에서 단편으로서 세계의 어느 나라에 소개해도 부끄럽지 않을 한국단편문학의 정화(精華)라고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 三說記(影印古小說板刻本全集 1, 延世大學校人文科學硏究所, 1973 ; 金東旭 校註, 韓國古典文學大系 4, 民衆書館, 1976), 韓國古典小說硏究(金起東, 敎學社, 1981).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