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강쇠가 (가루지기타령, 횡부가)
by 송화은율변강쇠가 (가루지기타령, 횡부가)
중년(中年)에 비상(非常)한 일이 있던 것이었다. 평안도 월경촌(月景村)에 계집 하나 있으되, 얼굴로 볼작시면 춘이월(春二月) 반개도화(半開桃花) 옥빈(玉빈)에 어리었고, 초승에 지는 달빛 아미간(蛾眉間)에 비치었다. 앵도순(櫻桃脣) 고운 입은 빛난 당채(唐彩) 주홍필(朱紅筆)로 떡 들입다 꾹 찍은 듯, 세류(細柳)같이 가는 허리 봄바람에 흐늘흐늘, 찡그리며 웃는 것과 말하며 걷는 태도 서시(西施)와 포사(포사)라도 따를 수가 없건마는, 사주(四柱)에 청상살(靑孀煞)이 겹겹이 쌓인 고로 상부(喪夫)를 하여도 징글징글하고 지긋지긋하게 단콩 주어 먹듯 하것다.
열다섯에 얻은 서방(書房) 첫날밤 잠자리에 급상한(急傷寒)에 죽고, 열여섯에 얻은 서방 당창병(唐瘡病)에 튀고, 열일곱에 얻은 서방 용천병에 펴고, 열여덟에 얻은 서방 벼락맞아 식고, 열아홉에 얻은 서방 천하에 대적(大賊)으로 포청(捕廳)에 떨어지고, 스무 살에 얻은 서방 비상(砒霜) 먹고 돌아가니, 서방에 퇴가 나고 송장 치기 신물난다.
이삼 년씩 걸러 가며 상부를 할지라도 소문이 흉악(凶惡)해서 한 해에 하나씩 전례(前例)로 처치(處置)하되, 이것은 남이 아는 기둥서방, 그남은 간부(間夫), 애부(愛夫), 거드모리, 새호루기, 입 한번 맞춘 놈, 젖 한번 쥔 놈, 눈 흘레한 놈, 손 만져 본 놈, 심지어(甚至於) 치마귀에 상척자락 얼른 한 놈까지 대고 결단을 내는데, 한 달에 뭇을 넘겨, 일 년에 동반 한 동 일곱 뭇, 윤달든 해면 두 동 뭇수 대고 설그질 때, 어떻게 쓸었던지 삼십 리 안팎에 상투 올린 사나이는 고사(姑捨)하고 열다섯 넘은 총각(總角)도 없어 계집이 밭을 갈고 처녀가 집을 이니 황(黃) 평(平) 양도(兩道) 공론(公論)하되,
"이 년을 두었다가는 우리 두 도내(道內)에 좆 단 놈 다시 없고, 여인국(女人國)이 될 터이니 쫓을 밖에 수가 없다."
양도가 합세(合勢)하여 훼가(毁家)하여 쫓아 내니, 이 년이 하릴없어 쫓기어 나올 적에, 파랑 봇짐 옆에 끼고, 동백(冬柏)기름 많이 발라 낭자를 곱게 하고, 산호(珊瑚) 비녀 찔렀으며, 출유(出遊) 장옷 엇매고, 행똥행똥 나오면서 혼자 악을 쓰는구나.
"어허, 인심 흉악하다. 황 평 양서(兩西) 아니며는 살 데가 없겠느냐. 삼남(三南) 좆은 더 좋다더고."
노정기(路程記)로 나올 적에 중화(中和) 지나 황주(黃州) 지나 동선령 얼핏 넘어 봉산(鳳山), 서흥(瑞興), 평산(平山) 지나서 금천(金川) 떡전거리, 닭의우물, 청석관(靑石關)에 당도하니,
이 때에 변강쇠라 하는 놈이 천하의 잡놈으로 삼남에서 빌어먹다 양서로 가는 길에 년놈이 오다가다 청석골 좁은 길에서 둘이 서로 만나거든, 간악(姦惡)한 계집년이 힐끗 보고 지나가니 의뭉한 강쇠놈이 다정히 말을 묻기를,
"여보시오, 저 마누라 어디로 가시는 거요."
숫처녀 같으면 핀잔을 하든지 못 들은 체 가련마는, 이 자지간나희가 훌림목을 곱게 써서,
"삼남으로 가오."
강쇠가 연거푸 물어,
"혼자 가시오."
"혼자 가오."
"고운 얼굴 젊은 나이인데 혼자 가기 무섭겠소."
"내 팔자 무상(無常)하여 상부하고 자식없어, 나와 함께 갈 사람은 그림자뿐이라오."
"어허, 불상하오. 당신은 과부요, 나는 홀애비니 둘이 살면 어떻겠소."
"내가 상부 지질하여 다시 낭군(郞君) 얻자 하면 궁합(宮合)을 먼저 볼 것이오."
"불취동성(不取同姓)이라 하니, 마누라 성씨가 누구시오."
"옹(雍)가요."
"예, 나는 변서방인데 궁합을 잘 보기로 삼남에 유명하니, 마누라 무슨 생이요."
"갑자생(甲子生)이오."
"예, 나는 임술생(壬戌生)이오. 천간(天干)으로 보거드면 갑은 양목(陽木)이요, 임은 양수(陽水)이니, 수생목이 좋고, 납음(納音)으로 의논하면 임술계해 대해수(壬戌癸亥 大海水) 갑자을축 해중금(甲子乙丑 海中金) 금생수(金生水)가 더 좋으니 아주 천생배필(天生配匹)이오. 오늘이 마침 기유일(己酉日)이고 음양부장(陰陽不將) 짝 배자(配字)니 당일 행례(行禮)합시다."
계집이 허락한 후에 청석관을 처가로 알고, 둘이 손길 마주 잡고 바위 위에 올라가서 대사(大事)를 지내는데, 신랑 신부 두 년놈이 이력(履歷)이 찬 것이라 이런 야단(惹端) 없겠구나. 멀끔한 대낮에 년놈이 홀딱 벗고 매사니 뽄 장난할 때, 천생음골(天生陰骨) 강쇠놈이 여인의 양각(陽刻) 번쩍 들고 옥문관(玉門關)을 굽어보며,
"이상히도 생겼구나. 맹랑히도 생겼구나. 늙은 중의 입일는지 털은 돋고 이는 없다. 소나기를 맞았던지 언덕 깊게 패였다. 콩밭 팥밭 지났는지 돔부꽃이 비치였다. 도끼날을 맞았든지 금바르게 터져 있다. 생수처(生水處) 옥답(沃畓)인지 물이 항상 고여 있다. 무슨 말을 하려는지 옴질옴질 하고 있노. 천리행룡(千里行龍) 내려오다 주먹바위 신통(神通)하다. 만경창파(萬頃蒼波) 조개인지 혀를 삐쭘 빼였으며 임실 (任實) 곶감 먹었는지 곶감씨가 장물(臟物)이요, 만첩산중(萬疊山中) 으름인지 제가 절로 벌어졌다. 연계탕(軟鷄湯)을 먹었는지 닭의 벼슬 비치였다. 파명당(破明堂)을 하였는지 더운 김이 그저 난다. 제 무엇이 즐거워서 반쯤 웃어 두었구나. 곶감 있고, 으름 있고, 조개 있고, 연계 있고, 제사상은 걱정 없다."
저 여인 살짝 웃으며 갚음을 하느라고 강쇠 기물 가리키며,
"이상히도 생겼네. 맹랑이도 생겼네. 전배사령(前陪使令) 서려는지 쌍걸낭을 느직하게 달고, 오군문(五軍門) 군뇌(軍牢)던가 복덕이를 붉게 쓰고 냇물가에 물방안지 떨구덩떨구덩 끄덕인다. 송아지 말뚝인지 털고삐를 둘렀구나. 감기를 얻었던지 맑은 코는 무슨 일인고. 성정(性情)도 혹독(酷毒)하다 화 곧 나면 눈물난다. 어린아이 병일는지 젖은 어찌 게웠으며, 제사에 쓴 숭어인지 꼬챙이 구멍이 그저 있다. 뒷절 큰방 노승인지 민대가리 둥글린다. 소년인사 다 배웠다, 꼬박꼬박 절을 하네. 고추 찧던 절굿대인지 검붉기는 무슨 일인고. 칠팔월 알밤인지 두 쪽이 한데 붙어 있다. 물방아, 절굿대며 쇠고삐, 걸낭 등물 세간살이 걱정 없네."
강쇠놈이 대소하여,
"둘이 다 비겼으니 이번은 등에 업고 사랑가로 놀아 보세."
저 여인 대답하기를,
"천선호지(天先乎地)라니 낭군(郞君) 먼저 업으시오."
강쇠가 여인 업고, 가끔가끔 돌아보며 사랑가로 어른다.
"사랑 사랑 사랑이여, 유왕(幽王) 나니 포사 나고, 걸(桀)이 나니 말희(末喜) 나고, 주(紂)가 나니 달기(달己) 나고, 오왕(吳王) 부차(夫差) 나니 월 서시 나고, 명황(明皇) 나니 귀비(貴妃) 나고, 여포(呂布) 나니 초선(貂蟬) 나고, 호색남자(好色男子) 내가 나니 절대가인(絶對佳人) 네가 났구나. 네 무엇을 가지려느냐. 조거전후 십이승 야광주(早居前後 十二乘 夜光珠)를 가져 볼까. 십오성(十五城) 바꾸려던 화씨벽(和氏璧)을 가져 볼까. 천지신지 아지자지(天知神知 我知子知) 순금덩이 가져 볼까. 부도재산(浮道財産), 득은옹(得銀甕) 은항아리 가져볼까. 배금문 입자달(排禁門 入紫달)의 상평통보 가져볼까. 밀화불수(密花佛手), 산호비녀, 금가락지 가져볼까. 네 무엇을 먹고 싶어. 둥글둥글 수박덩이 웃봉지만 떼버리고 강릉(江陵) 백청(百淸) 따르르 부어 은간저로 휘휘 둘러 씨는 똑 따 발라 버리고, 불근 자위만 덤뻑 떠서 아나 조금 먹으려냐. 시금털털 개살구, 애 서는 데 먹으려나. 쪽 빨고 탁 뱉으면 껍질 꼭지 건너편 바람벽에 축척축 부딪치는 반수시 먹으려나. 어주축수애산춘(漁舟逐水愛山春) 무릉도화(武陵桃花) 복숭아 주랴. 이월 중순 이 진과(眞瓜) 외가지 당참외 먹으려나."
한참을 어르더니 여인을 썩 내려놓으며 강쇠가 문자하여,
"여필종부(女必從夫)라고 하니 자네도 날좀 업소."
여인이 강쇠를 업고, 실금실금 까불면서 사랑가를 하는구나.
"사랑 사랑 사랑이야. 태산같이 높은 사랑. 해하(海河)같이 깊은 사랑. 남창(南倉) 북창(北倉) 노적(露積)같이 다물다물 쌓인 사랑. 은하직녀(銀河織女) 직금(織錦)같이 올올이 맺힌 사랑. 모란화 송이같이 펑퍼져버린 사랑. 세곡선(稅穀船) 닷줄같이 타래타래 꼬인 사랑. 내가 만일 없었으면 풍류남자(風流男子) 우리 낭군 황 없는 봉이 되고, 임을 만일 못 봤으면 군자호구(君子好逑) 이내 신세 원 잃은 앙이로다. 기러기가 물을 보고, 꽃이 나비 만났으니 웅비종자요림간(雄飛從雌繞林間) 좋을씨고 좋을씨고. 동방화촉(洞房華燭) 무엇하게, 백일향락(白日享樂) 더욱 좋다. 황금옥(黃金屋) 내사 싫으이. 청석관이 신방(新房)이네."
년놈 작난 이러할 때, 재미있는 그 노릇이 한두 번만 될 수 있나. 재행(再行)턱 삼행(三行)턱을 당일에 다 한 후에 살림살이 살 걱정 둘이 앉아 의논한다.
"우리 내외 오입(誤入)장이 벽항궁촌(僻巷窮村) 살 수 없어 도방 살림이나 하여 보세."
"내 소견(所見)도 그러하오."
년놈이 손목 잡고, 도방 각처 다닐 적에 일 원산(元山), 이 강경(江景)이, 삼 포주(浦州), 사 법성(法聖)이 곳곳이 찾아 다녀, 계집년은 애를 써서 들병장사 막장사며, 낮부림, 넉장질에 돈냥 돈관 모아 놓으면, 강쇠놈이 허망하여 댓 냥내기 방때리기, 두 냥 패에 가보하기, 갑자꼬리 여수(與受)하기, 미골(尾骨)회패 퇴기질, 호홍호백(呼紅呼白) 쌍륙(雙六)치기, 장군 멍군 장기두기, 맞혀먹기 돈치기와 불러먹기 주먹질, 걸개두기 윳놀기와, 한 집 두 집 고누두기, 의복 전당(典當) 술먹기와 남의 싸움 가로막기, 그중에 무슨 비위(脾胃) 강새암, 계집치기, 밤낮으로 싸움이니 암만해도 살 수 없다.
하루는 저 여인이 강쇠를 달래며,
"집)의 성기(性氣) 가지고서 도방 살림 하다가는 돈을 모으기 고사(姑捨)하고 남의 손에 죽을 테니, 심산궁곡(深山窮谷) 찾아 가서 사람 하나 없는 곳에 산전(山田)이나 파서 먹고, 시초(柴草)나 베어 때면 노름도 못 할 테요, 강짜도 안 할 테니 산중으로 들어갑세."
강쇠가 대답하되,
"그 말이 장히 좋의. 십 년을 곧 굶어도 남의 계집 바라보며, 눈웃음하는 놈만 다시 아니 보거드면 내일 죽어 한이 없네."
산중을 의논한다.
"동 금강(金剛) 석산(石山)이라, 나무 없어 살 수 없고, 북 향산(香山) 찬 곳이라, 눈 쌓이어 살 수 없고, 서 구월(九月) 좋다 하나 적굴(賊窟)이라 살 수 있나. 남 지리(智里) 토후(土厚)하여 생리(生利)가 좋다하니 그리로 찾아가세."
여간(餘干) 가산(家産) 짊어지고 지리산중 찾아가니 첩첩(疊疊)한 깊은 골에 빈 집이 한 채 서 있으되, 임진왜란(壬辰倭亂) 팔년간과(八年干戈) 어떤 부자 피란(避亂)하자 이 집을 지었던지 오간팔작(五間八作) 기와집이 다시 사람 산 일 없고, 흉가로 비어 있어서 누백년 도깨비 동청이요, 뭇귀신의 사랑(舍廊)이라. 거친 뜰에 있는 것이 삵과 여우 발자취요, 깊은 뒤꼍 우는 소리 부엉이, 올빼미라. 강쇠놈이 집을 보고 대희(大喜)하여 하는 말이,
"순사또는 간 데마다 선화당(宣化堂)이라 하더니 내 팔자도 방사(倣似)하다. 적막한 이 산중에 나 올 줄을 뉘가 알고, 이리 좋은 기와집을 지어 놓고 기다렸노."
부엌에 토정(土鼎) 걸고, 방 쓸어 공석(空石) 펴고, 낙엽을 긁어다가 저녁밥 지어 먹고, 터 누르기 삼삼구(三三九)를 밤새도록 한 연후에 강쇠의 평생 행세(行勢) 일하여 본 놈이냐. 낮이면 잠만 자고, 밤이면 배만 타니, 여인이 할 수 없어 애긍히 정설(情說)한다.
"여보 낭군 들으시오. 천생만민필수지직(天生萬民必授之職) 사람마다 직업 있어 앙사부모하육처자(仰事父母下育妻子) 넉넉히 한다는데 낭군 신세 생각하니 어려서 못 배운 글을 지금 공부할 수 없고, 손재주 없으시니 장인(匠人)질 할 수 없고, 밑천 한푼 없으시니 상고(商賈)질 할 수 있나. 그 중에 할 노릇이 상일밖에 없으시니 이 산중 살자 하면 산전을 많이 파서 두태(豆太), 서속(黍粟), 담배 갈고, 갈퀴나무, 비나무며 물거리, 장작(長斫)패기 나무를 많이 하여 집에도 때려니와, 지고 가 팔아 쓰면 부모 없고 자식 없는 단 부처(夫妻) 우리 둘이 생계가 넉넉할새, 건장한 저 신체에 밤낮으로 하는 것이 잠자기와 그 노릇 뿐. 굶어 죽기 고사하고 우선 얼어죽을 테니 오늘부터 지게 지고 나무나 하여 옵소."
강쇠가 픽게 웃어,
"어허 허망(虛妄)하다. 호달마(胡達馬)가 요절(腰折)하면 왕십리 거름 싣고, 기생(妓生)이 그릇되면 길가의 탁주(濁酒) 장사, 남의 말로 들었더니 나 같은 오입장이 나무 지게 지단 말가. 불가사문어타인(不可使聞於他人)이나 자네 말이 그러하니 갈밖에 수가 있나."
강쇠가 나무하러 나가는데 복건(복巾)쓰고, 도포(道袍) 입었단 말은 거짓말. 제 집에 근본(根本) 없고 동내(洞內)에 빌 데 있나. 포구(浦口) 근방 시평(市坪)판에 한참 덤벙이던 복색(服色)으로 모자 받은 통영(統營)갓에 망건(網巾)은 솟구었고, 한산반저(韓山半苧) 소창의(小창衣)며, 곤때 묻은 삼승(三升) 버선 남(藍) 한 포단(布緞) 대님 매고, 용감기 새 미투리 맵시있게 들멘 후에, 낫과 도끼 들게 갈아, 점심 구럭 함께 묶어 지게 위에 모두 얹어 한 어깨에 둘러 메고, 긴 담뱃대 붙여 물고 나뭇군 모인 곳을 완보(緩步) 행가(行歌) 찾아 갈 때, 그래도 화방(花房) 퇴물(退物)이라 씀씀이 목구성이 초군(樵軍)보다 조금 달라,
"태고(太古)라 천황씨(天皇氏)가 목덕(木德)으로 즉위(卽位)하니 오행중(五行中)에 먼저 난 게 나무 덕이 으뜸이라. 천 지 인(天 地 人) 삼황(三皇)시절 각 일만 팔천세를 무위이화(無爲而化) 지내시니, 그 때에 나 낳았으면 오죽이나 편켔는가. 유왈유소(有曰有巢) 성인 인군 덕화(德化)도 장할씨고. 구목위소(構木爲巢) 식목실(食木實)이 그 아니 좋겠는가. 수인씨(燧人氏) 무슨 일로 시찬수교인화식(始鑽燧敎人火食) 일이 점점 생겼구나. 일출이작(日出而作) 요순(堯舜) 백성 어찌 편타 할 수 있나. 하 은 주(夏 殷 周) 석양 되고, 한 당 송(漢 唐 宋) 풍우 일어 갈수록 일이 생겨 불쌍한 게 백성이라. 일년 사절(四節) 놀 때 없이 손톱 발톱 잦아지게 밤낫으로 벌어도 불승기한(不勝飢寒) 불쌍하다. 내 평생 먹은 마음 남보다는 다르구나. 좋은 의복, 갖은 패물(佩物), 호사(豪奢)를 질끈 하고 예쁜 계집, 좋은 주효(酒肴), 잡기(雜技)로 벗을 삼아 세월 가는 줄 모르고 살쟀더니 층암절벽(層岩絶壁) 저 높은 데 다리 아파 어찌 가서, 억새폭, 가시덩굴 손이 아파 어찌 베며, 너무 묶어 온짐 되면 어깨 아파 어찌 지고, 산고곡심무인처(山高谷深無人處)에 심심하여 어찌 올꼬."
신세 자탄(自歎) 노래하며 정처 없이 가노라니.
이 때에 둥구마천 백모촌에 여러 초군 아이들이 나무하러 몰려 와서 지게 목발 뚜드리며 방아타령, 산타령에 농부가(農夫歌), 목동가(牧童歌)로 장난을 하는구나. 한 놈은 방아타령을 하는데,
"뫼에 올라 산전방아, 들에 내려 물방아, 여주(麗州) 이천(利川) 밀다리방아, 진천(鎭川) 통천(通川) 오려방아, 남창 북창 화약(火藥)방아, 각댁(各宅) 하님 용정(용精)방아. 이 방아, 저 방아 다 버리고 칠야삼경(漆夜三經) 깊은 밤에 우리 님은 가죽방아만 찧는다. 오다 오다 방아 찧는 동무들아, 방아 처음 내던 사람 알고 찧나 모르고 찧나. 경신년 경신월 경신일 경신시(庚申年 庚申月 庚申日 庚申時) 강태공(姜太公)의 조작(造作)방아 사시장춘(四時長春) 걸어 두고 떨구덩 찧어라, 전세대동(田稅大同)이 다 늦어간다."
한 놈은 산타령을 하는데,
"동 개골(皆骨) 서 구월 남 지리 북 향산(香山), 육로(陸路) 천리 수로(水路) 천리 이 천리 들어가니 탐라국(耽羅國)이 생기려고 한라산(漢拏山)이 둘러 있다. 정읍(井邑) 내장(內藏), 장성(長城) 입암(笠岩), 고창(高敞) 반등(半登), 고부(古阜) 두승(斗升), 서해 수구(水口) 막으려고 부안(扶安), 변산(邊山) 둘러 있다."
한 놈은 농부가를 하는데,
"선리건곤(仙李乾坤) 태평시절(太平時節) 도덕 높은 우리 성상(聖上) 강구미복(康衢微服) 동요(童謠) 듣던 요(堯)임금의 버금이라. 네 다리 빼여라 내다리 박자. 좌수춘광(左手春光)을 우수이(右手移). 여보소, 동무들아, 앞 남산(南山)에 소나기 졌다. 삿갓 쓰고 도롱이 입자."
한 놈은 목동가를 부르는데,
"갈퀴 메고 낫 갈아 가지고서 지리산으로 나무하러 가자. 얼럴. 쌓인 낙엽 부러진 장목(長木) 긁고 주워 엄뚱여 지고 석양산로(夕陽山路) 내려올 제, 손님 보고 절을 하니 품안에 있는 산과(山果) 땍때굴 다 떨어진다. 얼럴. 비 맞고 갈(渴)한 손님 술집이 어디 있노. 저 건너 행화촌(杏花村) 손을 들어 가리키자. 얼럴. 뿔 굽은 소를 타고 단적(短笛)을 불고 가니 유황숙(劉皇叔)이 보았으면 나를 오죽 부러워하리. 얼럴."
강쇠가 다 들은 후, 제 신세를 제 보아도 어린 것들 한가지로 갈키나무 할 수 있나. 도끼 빼어 들어 메고 이 봉 저 봉 다니면서 그 중 큰 나무는 한두 번씩 찍은 후에 나무 내력(來歷) 말을 하며, 제가 저를 꾸짖는다.
"오동나무 베자 하니 순(舜)임금의 오현금(五弦琴). 살구나무 베자 하니 공부자(孔夫子)의 강단(講壇). 소나무 좋다마는 진시황(秦始皇)의 오대부(五大夫). 잣나무 좋다마는 한 고조 덮은 그늘, 어주축수애산춘(漁舟逐水愛山春) 홍도(紅桃)나무 사랑옵고. 위성조우읍경진(渭城朝雨邑輕塵) 버드나무 좋을씨고. 밤나무 신주(神主)감, 전나무 돗대 재목(材木). 가시목 단단하니 각 영문(營門) 곤장(棍杖)감. 참나무 꼿꼿하나 배 짓는 데 못감. 중나무, 오시목(烏枾木)과 산유자(山柚子), 용목(榕木), 검팽은 목물방(木物房)에 긴(緊)한 문목(紋木)이니 화목(火木)되기 아깝도다."
이리저리 생각하니 벨 나무 전혀 없다.
산중의 동천맥(動泉脈) 우물가 좋은 곳에 점심 구럭 풀어 놓고 단단히 먹은 후에 부쇠를 얼른 쳐서 담배 피어 입에 물고, 솔 그늘 잔디밭에 돌을 베고 누우면서 당음(唐音) 한 귀 읊어 보아,
"우래송수하(偶來松樹下)에 고침석두면(高枕石頭眠)이 나로 두고 한 말이라, 잠자리 장히 좋다."
말하며, 고는 코가 산중이 들썩들썩, 한소금 질근 자다 낯바닥이 선뜻선뜻 비슥이 눈 떠 보니 하늘에 별이 총총, 이슬이 젖는구나. 게을리 일어나서 기지개 불끈 켜고 뒤꼭지 뚜드리며 혼잣말로 두런거려,
"요새 해가 그리 짧아 빈 지게 지고 가면 계집년이 방정 떨새."
사면을 둘러보니 둥구마천 가는 길에 어떠한 장승 하나 산중에 서 있거늘 강쇠가 반겨하여,
"벌목정정(伐木丁丁) 애 안 쓰고 좋은 나무 저기 있다. 일모도궁(日暮途窮) 이내 신세 불로이득(不勞而得) 좋을씨고."
지게를 찾아 지고 장승 선 데 급히 가니 장승이 화를 내어 낯에 핏기 올리고서 눈을 딱 부릅뜨니 강쇠가 호령(號令)하여,
"너 이놈, 누구 앞에다 색기(色氣)하여 눈망울 부릅뜨니. 삼남(三南) 설축 변강쇠를 이름도 못 들었느냐. 과거(科擧), 마전(馬廛), 파시평(波市坪)과 사당(寺黨) 노름, 씨름판에 이내 솜씨 사람 칠 제 선취(先取) 복장(腹腸) 후취(後取) 덜미, 가래딴죽, 열 두 권법(拳法). 범강(范彊), 장달(張達), 허저(許저)라도 모두 다 둑 안에 떨어지니 수족(手足) 없는 너만 놈이 생심(生心)이나 방울쏘냐."
달려들어 불끈 안고 엇둘음 쑥 빼내어 지게 위에 짊어지고 유대군(留待軍) 소리 하며 제 집으로 돌아와서 문 안에 들어서며, 호기(豪氣)를 장히 핀다.
"집안 사람 거기 있나. 장작 나무 하여 왔네."
뜰 가운데 턱 부리고, 방문 열고 들어가니 강쇠 계집 반겨라고 급히 나서 손목 잡고 어깨를 주무르며,
"어찌 그리 저물었나. 평생 처음 나무 가서 오죽 애를 썼겠는가. 시장한 데 밥 자십쇼."
방 안에 불 켜 놓고, 밥상 차려 드린 후에 장작 나무 구경 차로 불 켜 들고 나와 보니, 어떠한 큰 사람이 뜰 가운데 누웠으되 조관(朝官)을 지냈는지 사모(紗帽) 품대(品帶) 갖추고 방울눈 주먹코에 채수염이 점잖으다. 여인이 깜짝 놀라 뒤로 팍 주잕으며,
"애겨, 이것 웬 일인가. 나무하러 간다더니 장승 빼어 왔네그려. 나무가 암만 귀하다 하되 장승 패여 땐단 말은 언문책(諺文冊) 잔주(注)에도 듣도 보도 못한 말. 만일 패여 땐다면 목신 동증(動症) 조왕(조王) 동증, 목숨 보전 못 할 테니 어서 급히 지고 가서 선 자리에 도로 세우고 왼발 굴러 진언(眞言) 치고 다른 길로 돌아옵소."
강쇠가 호령하여,
"가사(家事)는 임장(任長)이라 가장(家長)이 하는 일을 보기만 할 것이지, 계집이 요망(妖妄)하여 그것이 웬 소린고. 진(晉) 충신 개자추(介子推)는 면산(면山)에 타서 죽고, 한 장군 기신(紀信)이는 형양(滎陽)에 타서 죽어, 참사람이 타 죽어도 아무 탈(탈)이 없었는데, 나무로 깎은 장승 인형을 가졌은들 패여 때여 관계한가. 인불언귀부지(人不言鬼不知)니 요망한 말 다시 말라."
밥상을 물린 후에 도끼 들고 달려들어 장승을 쾅쾅 패어 군불을 많이 넣고, 유정(有情) 부부 훨썩 벗고 사랑가로 농탕(弄蕩)치며, 개폐문 전례판(開閉門 傳例板)을 맛있게 하였구나.
이 때에 장승 목신 무죄(無罪)히 강쇠 만나 도끼 아래 조각 나고 부엌 속에 잔 재 되니 오죽이 원통(寃通)켔나. 의지(依持)할 곳이 없어 중천(中天)에 떠서 울며, 나 혼자 다녀서는 이놈 원수 못 값겠다. 대방(大方) 전에 찾아가서 억울함 원정(原情) 하오리라.
경기(京畿) 노강(鷺江) 선창(船艙) 목에 대방 장승 찾아가서 문안(問安)을 한 연후에 원정을 아뢰기를,
"소장(小將)은 경상도 함양군에 산로 지킨 장승으로 신지(神祗) 처리(處理) 한 일 없고, 평민 침학(侵虐)한 일 없어, 불피풍우(不避風雨)하고, 각수본직(各守本職) 하옵더니 변강쇠라 하는 놈이 일국의 난봉으로 산중에 주접(柱接)하여, 무죄한 소장에게 공연히 달려들어 무수(無數) 후욕(후辱)한 연후에 빼어 지고 제 집 가니, 제 계집이 깜짝 놀라 도로 갖다 세워라 하되, 이 놈이 아니 듣고 도끼로 쾅쾅 패여 제 부엌에 화장(火葬)하니, 이 놈 그저 두어서는 삼동(三冬)에 장작감 근처의 동관(同官) 다 패 때고, 순망치한(脣亡齒寒) 남은 화가 안 미칠 데 없을 테니 십분(十分) 통촉(洞燭)하옵소서. 소장의 설원(雪寃)하고 후환 막게 하옵소서."
대방이 대경(大驚)하여,
"이 변이 큰 변이라. 경홀(輕忽) 작처(酌處) 못 할 테니 사근내(沙斤乃) 공원(公員)님과 지지대(遲遲臺) 유사(有司)님께 내 전갈(傳喝) 엿쭙기를 '요새 적조(積阻)하였으니 문안일향(問安一向)하옵신지. 경상도 함양 동관 발괄(白活) 원정을 듣사온 즉 천만고 없던 변이 오늘날 생겼으니, 수고타 마옵시고 잠깐 왕림(枉臨)하옵셔서 동의작처(同意酌處)하옵시다.' 전갈하고 모셔 오라."
장승 혼령(魂靈) 급히 가서 두 군데 전갈하니, 공원 유사 급히 와서 의례 인사한 연후에 함양(咸陽) 장승 발괄 내력 대방이 발론(發論)하니 공원 유사 엿쭙되,
"우리 장승 생긴 후로 처음 난 변괴(變怪)이오니 삼소임(三所任)만 모여 앉아 종용작처(從容酌處) 못 할지라, 팔도 동관 다 청하여 공론(公論) 처치하옵시다."
대방이 좋다 하고 입으로 붓을 물고, 통문(通文) 넉 장 썩 써 내니 통문에 하였으되,
"우통유사(右通喩事)는 토끼가 죽으면 여우가 슬퍼하고, 지초(芝草)에 불이 타면 난초가 탄식(歎息)키는 유유상종(類類相從) 환란상구(患難相救) 떳떳한 이치로다. 지리산중 변강쇠가 함양 동관 빼어다가 작파(斫破) 화장하였으니 만과유경(萬과猶輕) 이 놈 죄상 경홀 작처할 수 없어 각도 동관전에 일체(一切)로 발통(發通)하니 금월 초 삼경야에 노강 선창으로 일제취회(一齊聚會)하여 함양 동관 조상(弔喪)하고, 변강쇠놈 죽일 꾀를 각출의견(各出意見)하옵소서. 년 월 일."
밑에 대방 공원 유사 벌여 쓰고, 착명(箸名)하고, 차여(次餘)에 영문(營門) 각읍(各邑) 진장(鎭將) 목장(牧將) 각면(各面) 각촌(各村) 점막(店幕) 사찰차(寺刹次) 차비전(差備前) 차의(差議)라.
"통문 한 장은 진관천 공원이 맡아 경기 삼십사관(三十四官), 충청도 오십사관, 차차 전케 하고, 한 장은 고양(高陽) 홍제원(弘濟阮) 동관이 맡아 황해도 이십삼관, 평안도 삼십이관 차차 전케 하고, 한 장은 양주(楊州) 다락원 동관이 맡아 강원도 이십육관, 함경도 이십사관 차차 전케 하고, 한 장은 지지대 공원이 맡아 전라도 오십육관, 경상도 칠십일관 차차로 전케 하라."
귀신의 조화(造化)인데 오죽이 빠르겠나. 바람 같고 구름같이 경각(頃刻)에 다 전하니, 조선 지방 있는 장승 하나도 낙루(落漏)없이 기약(期約)한 밤 다 모여서 쇄남터에 배게 서서 시흥(始興) 읍내까지 빽빽하구나. 장승의 절하는 법이 고개만 숙일 수도 없고, 허리 굽힐 수도 없고, 사람으로 의논하면 발 앞부리를 디디고 뒤측만 달싹 하는 뽄이었다. 일제히 절을 하고, 문안을 한 연후에 대방이 발론하여,
"통문사의(通文事意) 보았으면 모은 뜻을 알 테니 변강쇠 지은 죄를 어떻게 다스릴꼬."
단천(端川) 마천령(摩天嶺) 상봉(上峰)에 섰는 장승 출반(出班)하여 엿쭙기를,
"그 놈의 식구대로 쇄남터로 잡아다가 효수(梟首)를 하옵시다."
대방이 대답하되,
"귀신의 성기(性氣)라도 토풍(土風)을 따라가니 마천 동관 하는 말씀 상쾌(爽快)는 하거니와, 사단(事端) 하나 있는 것이 놈의 식구란 게 계집 하나뿐이로되, 계집은 말렸으니 죄를 아니 줄 테요, 강쇠라 하는 놈도 부지불각(不知不覺) 효수하면 세상이 알 수 없어 징일여백(懲一勵百) 못 될 테니 여러 동관님네 다시 생각하옵소서."
압록강가 섰는 장승 나서며 엿쭙되,
"출호이자 반호이(出乎爾者 反乎爾)가 성인의 말씀이니 우리의 식구대로 그 놈 집을 에워싸고 불을 버썩 지른 후에 못 나오게 하였으면 그 놈도 동관같이 화장이 되오리다."
대방이 대답하되,
"흉녕(凶녕)한 그런 놈을 부지불각 불지르면 제 죄를 제 모르고 도깨비 장난인가 명화적(明火賊)의 난리런가 의심을 할 테니 다시 생각하여 보오."
해남(海南) 관머리 장승이 엿쭙되,
"대방님 하는 분부(分付) 절절이 마땅하오. 그러한 흉한 놈을 쉽사리 죽여서는 설치(雪恥)가 못 될 테니 고생을 실컷 시켜, 죽자해도 썩 못 죽고, 살자해도 살 수 없어 칠칠이 사십구 한달 열 아흐레 밤낮으로 볶이다가 험사(險死) 악사(惡死)하게 하면 장승 화장한 죄인 줄 저도 알고 남도 알아 쾌히 징계(懲戒)될 테니, 우리의 식구대로 병 하나씩 가지고서 강쇠를 찾아가서 신문(신門)에서 발톱까지 오장육부(五臟六腑) 내외없이 새 집에 앙토(仰土)하듯, 지소방(祗所房)에 부벽(付壁)하듯, 각장(角壯) 장판(壯版) 기름 결듯, 왜관(倭館) 목물(木物) 칠살같이 겹겹이 발랐으면 그 수가 좋을 듯 하오."
대방이 대희하여,
"해남 동관 하는 말씀 불번불요(不煩不擾) 장히 좋소. 그대로 시행(施行)하되 조그마한 강쇠놈에 저리 많은 식구들이 정처 없이 달려들면 많은 데는 축이 들고 빠진 데는 틈 날 테니 머리에서 두 팔까지 전라, 경상 차지하고, 겨드랑이서 볼기까지 황해, 평안 차지하고, 항문(肛門)에서 두발(頭髮)까지 강원, 함경 차지하고, 오장육부 내복(內腹)일랑 경기, 충청 차지하여 팔만 사천 털 구멍 한 구멍도 빈틈없이 단단히 잘 바르라."
팔도 장승 청령(廳令)하고, 사냥 나온 벌떼같이 병 하나씩 등에 지고, 함양 장승 앞장 서서 강쇠에게 달려들어 각기 자기네 맡은 대로 병도배(病塗褙)를 한 연후에 아까같이 흩어진다.
이적에 강쇠놈은 장승 패여 덥게 때고 그 날 밤을 자고 깨니 아무 탈이 없었구나. 제 계집 두 다리를 양편으로 딱 벌리고 오목한 그 구멍을 기웃이 굽어보며,
"밖은 검고 안은 붉고 정녕(丁寧) 한 부엌일새, 빡금빡금하는 것은 조왕동증 정녕 났제."
제 기물(己物) 보이면서,
"불끈불끈하는 수가 목신동증 정녕 났제. 가난한 살림살이 굿하고 경 읽겠나, 목신하고 조왕하고 사화(私和)를 붙여 보세."
아적밥 끼니 에워 한 판을 질끈하고 장담(壯談)을 실컷하여,
"하루 이틀 쉰 후에 이 근방 있는 장승 차차 빼어 왔으며는 올봄을 지내기는 나무 걱정할 수 없지."
그날 저녁 일과(日課)하고 한참 곤케 자노라니 천만의외 온 집안이 장승이 장을 서서 몸 한 번씩 건드리고 말이 없이 나가거늘 강쇠가 깜짝 놀라 말하자니 안 나오고 눈 뜨자니 꽉 붙어서 만신(萬身)을 결박(結縛)하고 각색(各色)으로 쑤시는데, 제 소견도 살 수 없어 날이 점점 밝아 가매, 강쇠 계집 잠을 깨니 강쇠의 된 형용(形容)이 정녕한 송장인데, 신음(呻吟)하여 앓는 소리 숨은 아니 끊겼구나. 깜짝 놀라 옷을 입고 미음을 급히 고아 소금 타서 떠 넣으며 온몸을 만져 보니, 이를 꽉 아드득 물고 미음 들어갈 수 없고, 낭자(狼藉)한 부스럼이 어느새 농창(濃瘡)하여 피고름 독한 내가 코를 들을 수가 없다.
병 이름을 짓자 하니 만가지가 넘겠구나. 풍두통(風頭痛), 편두통(偏頭痛), 담결통(痰結痛) 겸하고 쌍다래끼 석서기, 청맹(靑盲)을 겸하고, 이롱증(耳聾症) 이병(耳鳴)에 귀젓을 겸하고, 비창(鼻瘡), 비색(鼻塞)에 주독(酒毒)을 겸하고, 면종(面腫), 협종(頰腫) 순종(脣腫) 겸하고, 풍치(風齒), 충치(蟲齒)에 구와증 (口와症)을 겸하고, 흑태(黑苔), 백태(白苔)에 설축증(舌縮症)을 겸하고, 후비창(喉痺瘡), 천비창(穿鼻瘡)에 쌍단아(雙單蛾)를 겸하고, 낙함증(落함症), 항강(項强)에 발제(髮際)를 겸하고, 연주(連珠) 나력(나력)에 상감(傷感)을 겸하고, 견비통(肩臂痛), 옹절(癰癤)에 수전증(手戰症)을 겸하고, 협통(脇痛), 요통(腰痛)에 등창을 겸하고, 흉결(胸結) 복창(腹脹)에 부종(浮腫)을 겸하고, 임질(淋疾), 산증(疝症)에 퇴산(퇴疝)불을 겸하고, 둔종(臀腫), 치질(痔疾)에 탈항증(脫肛症)을 겸하고, 가래톳 학질(학疾)에 수종(水腫)을 겸하고, 발바닥 독종(毒腫)에 티눈을 겸하고, 주로(酒로) 색로(色로)에 담로(痰로)를 겸하고, 육체(肉滯), 주체(酒滯)에 식체(食滯)를 겸하고, 황달(黃疸), 흑달(黑疸)에 고창(鼓脹)을 겸하고, 적리(赤痢), 백리(白痢)에 후증(後症)을 겸하고, 각궁반장(角弓反張)에 괴질(怪疾)을 겸하고, 자치염, 해수(咳嗽)에 헐떡증을 겸하고, 섬어(섬語), 빈 입에 헛손질을 겸하고, 전근곽란(轉筋藿亂)에 토사(吐瀉)를 겸하고, 일학(日학), 양학(兩학)에 며느리심을 겸하고, 드리치락 내치락 사증(邪症)을 겸하고, 단독(丹毒), 양독(陽毒)에 온역(瘟疫)을 겸하고, 감창(疳瘡), 당창(唐瘡)에 용천을 겸하고, 경축(驚축), 복음(伏飮)에 분돈증(奔豚症)을 겸하고, 내종(內腫), 간옹(肝癰)에 주마담(走馬痰)을 겸하고, 염병(染病), 시병(時病)에 열광증(熱狂症)을 겸하고, 울화(鬱火), 허화(虛火)에 물조갈(燥渴)을 겸하여 사지가 참을 수 없고 온몸이 쑤셔서 굽도 잦도 꼼짝달싹 다시는 두 수 없이 마계틀 모양으로 뻣뻣이 누웠으니, 여인이 겁을 내여 병이 하도 무서우니 문복(問卜)이나 해여 보자.
경채(經債) 한 냥 품에 넣고 건너 마을 송봉사(宋奉事) 집 급히 찾아가서,
"봉사님 계시오."
봉사의 대답이란 게 근본 원수(怨讐)진 듯이 하는 법이었다.
"게 누구라께."
"강쇠 지어미오."
"어찌."
"그 건장(健壯)하던 지아비가 밤새 얻은 병으로 곧 죽게 되었으니 점(占) 한 장 하여 주오."
"어허, 말 안 되었네. 방으로 들어오소."
세수를 급히 하고, 의관(衣冠)을 정제(整齊)한 후에 단정히 꿇어 앉아, 대모산통(玳瑁算筒) 흔들면서 축사(祝辭)를 외는구나.
"천하언재(天下言哉)시며 지하언재(地何言哉)시리오마는 고지즉응(叩之卽應)하나니 부대인자(夫大人者)는 여천지합기덕(與天地合其德)하며 여일월합기명(與日月合其明)하며 여사시합기서(與四時合其序)하며 여귀신합기길흉(與鬼神合其吉凶)하시니, 신기영의(神其靈矣)라, 감이수통언(感而遂通焉)하소서. 금우태세(今又太歲) 을유이월(乙酉二月) 갑자삭(甲子朔) 초육일(初六日) 기사(己巳) 경상우도(慶尙右道) 함양군 지리산중거여인(智里山中居女人) 옹씨 근복문(謹伏問). 가부(家夫) 임술생신(壬戌生身) 변강쇠가 우연 득병(得病)하여 사생(死生)을 판단(判斷)하니 복걸(伏乞) 점신(占神)은 물비(勿秘) 괘효(卦爻) 신명(神明) 소시(昭示), 신명 소시. 하나 둘 셋 넷."
산통을 누가 뺏아 가는지 주머니에 부리나케 넣고 글 한 귀 지었으되,
"사목비목(似木非木) 사인비인(似人非人)이라, 나무라 할까 사람이라 할까, 어허, 그것 괴이(怪異)하다."
강쇠 아내 이른 말이,
"엇그제 남정네가 장승을 패 때더니 장승 동증인가 보이다."
"그러면 그렇지, 목신이 난동(亂動)하고 주작(朱雀)이 발동(發動)하여 살기는 불가망(不可望)이나 원이나 없이 독경(讀經)이나 하여 보소."
강쇠 아내 이 말 듣고,
"봉사님이 오소서."
"가지."
저 계집 거동 보소. 한 걸음에 급히 와서 사면에 황토(黃土) 놓고, 목욕하며 재계(齋戒)하고, 빤 의복 내어 입고, 살망떡과 실과(實果) 채소(菜蔬) 차려 놓고 앉았으니 송봉사 건너온다. 문 앞에 와 우뚝 서며,
"어디다 차렸는가."
"예다 차려 놓았소."
"그러면 경 읽지."
나는 북 들여 놓고 가시목 북방망이 들고, 요령(요鈴)은 한 손에 들고, 쨍쨍 퉁퉁 울리면서 조왕경(조王經), 성조경(成造經)을 의례(依例)대로 읽은 후에 동증경(動症經)을 읽는구나.
"나무동방(南無東方) 목귀살신(木鬼殺神), 남무남방(南無南方) 목귀살신, 남무서방(南無西方) 목귀살신, 남무북방(南無北方) 목귀살신."
삼칠편(三七篇)을 얼른 읽고 왼편 발 턱 구르며,
"엄엄급급(奄奄急急) 여율령(如律令) 사파하(娑婆하) 쒜."
경을 다 읽은 후에,
"자네, 경채를 어찌 하려나."
저 계집 이르는 말이,
"경채나 서울빚이나 여기 있소."
돈 한 냥 내어 주니,
"내가 돈 달랬는가, 거 새콤한 것 있는가."
"어, 앗으시오. 점잖은 터에 그게 무슨 말씀이오."
송봉사 무료(無聊)하여 안개 속에 소 나가듯 하니 강쇠 아내 생각하되 의원(醫員)이나 불러다가 침약(鍼藥)이나 하여 보자.
함양(咸陽) 자바지 명의(名醫)란 말을 듣고 찾아 가서 사정(事情)하니 이진사(李進士) 허락하고 몸소 와서 진맥(診脈)할 때,
좌수맥(左手脈)을 짚어본다. 신방광맥(腎肪胱脈) 침지(沈遲)하니 장냉정박(臟冷精薄)할 것이요, 간담맥(肝膽脈)이 침실(沈失)하니 절늑통압(節肋痛壓)할 것이요, 심수맥(心水脈)이 부삭(浮數)하니 풍열두통(風熱頭痛)할 것이요, 명문삼초맥(命門三焦脈)이 이렇게 침미(沈微)하니 산통탁진(酸通濁津)할 것이요, 비위맥(脾胃脈)이 참심(참심)하니 기촉복통(氣促腹痛)할 것이요, 폐대장맥(肺大腸脈)이 부현(浮弦)하니 해수 냉결(冷結)할 것이요, 기구인영맥(氣口人迎脈)이 내관외격(內關外格)하여 일호륙지(一呼六至)하고 십괴(十怪)가 범하였으니 암만해도 죽을 터이나 약이나 써보게 건재(乾材)로 사오너라. 인삼(人蔘), 녹용(鹿茸), 우황(牛黃), 주사(朱砂), 관계(官桂), 부자(附子), 곽향(藿香), 축사(縮砂), 적복령(赤茯笭), 백복령(白茯伶), 적작약(赤芍藥), 백작약(白芍藥), 강활(羌活), 독활(獨活), 시호(柴胡), 전호(前胡), 천궁(川芎), 당귀(唐歸), 황기(黃기), 백지(白芷), 창출(倉朮), 백출(白朮), 삼릉(三稜), 봉출(蓬朮), 형개(荊芥), 防風(방풍), 소엽(蘇葉), 박하(薄荷), 진피(陳皮), 청피(靑皮), 반하(半夏), 후박(厚朴), 용뇌(龍腦), 사향(麝香), 별갑(鱉甲), 구판(龜板), 대황(大黃), 망초(芒硝), 산약(山藥), 택사(澤瀉), 건강(乾薑), 감초(甘草). 탕약(湯藥)으로 써서 보자.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湯), 자음강화탕(滋陰降火湯), 구룡군자탕(구龍君子湯), 상사평위산(常砂平胃散), 황기건중탕(黃기建中湯), 일청음(一淸飮), 이진탕(二陳湯), 삼백탕(三白湯), 사물탕(四物湯), 오령산(五靈散), 륙미탕(六味湯), 칠기탕(七氣湯), 팔물탕(八物湯),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 십전대보탕(十全大補蕩). 암만써도 효험(效驗)없어 환약(丸藥)을 써서 보자.
소합환(蘇合丸), 청심환(淸心丸), 천을환(天乙丸), 포룡환(抱龍丸), 사청환(瀉淸丸), 비급환(脾及丸), 광제환(廣濟丸), 백발환(百發丸), 고암심신환(古庵心腎丸), 가미지황환(加味地黃丸), 경옥고(瓊玉膏), 신선고(神仙膏)가 아무것도 효험없다. 단방약(單方藥)을 하여 볼까.
지렁이집, 굼벵이집, 우렁탕, 섬사주(蟾蛇酒)며 무가산(無價散), 황금탕(黃金湯)과 오줌찌기, 월경수(月經水)며 땅강아지, 거머리, 황우리, 메뚜기, 가물치, 올빼미를 다 써 보았지만 효험없다. 침이나 주어보자.
순금장식(純金粧飾) 대모침통 절렁절렁 흔들어서 삼릉(三稜)을 빼여들고 차차 혈맥(穴脈) 집퍼 줄 때, 백회(百會) 짚어 통천(通天) 주고, 뇌공(腦空) 짚어 풍지(風池) 주고, 전중(전中) 짚어 신궐(神闕) 주고, 기해(氣海) 짚어 대맥(帶脈) 주고, 대저(大저) 짚어 명문(命門) 주고, 장강(長强) 짚어 간유(肝兪) 주고, 담유(膽兪) 짚어 소장유(小腸兪) 주고, 방광(膀胱) 짚어 곡지(曲池) 주고, 수삼이(手三里) 짚어 양곡(陽谷) 주고, 완골(腕骨) 짚어 내관(內關) 주고, 대릉(大陵) 짚어 소상(小商) 주고, 환도(環跳) 짚어 양능천(陽陵泉) 주고, 현종(懸鍾) 짚어 위중(委中) 주고, 승산(承山) 짚어 곤륜(崑崙) 주고, 신맥(申脈) 짚어 삼음교(三陰交) 주고, 공손(公孫) 짚어 축빈(築賓) 주고, 조해(照海) 짚어 용천(涌泉) 주어, 만신(萬身)을 다 쑤시니, 병에 곯고 약에 곯고 침에 곯아 죽을 밖에 수가 없다.
이진사 하는 말이,
"약은 백 가지요, 병은 만 가지니 말질(末疾)이라 불치외다."
하직(下直)하고 가는구나.
의원이 간 연후에 침약의 힘일런지 목신의 조화인지 강쇠가 말을 하여 여인 옥수 (玉手) 덤벅 잡고 눈물 흘리며 하는 말이,
"자네는 양서 사람, 내 몸은 삼남 사람. 하늘이 지시하고 귀신이 중매하여 오다가다 맺은 연분(緣分) 죽자사자 깊은 맹세 단산(丹山)에 봉황(鳳凰)이오 녹수(綠水)에 원앙(元鴦)이라. 잠시(暫時)도 이별 말고 백년해로(百年偕老) 하쟀더니 일야간에 얻은 병이 백 가지 약 효험 없어, 청춘소년 이 내 몸이 황천(黃天) 원로(遠路) 갈 터이니 생기사귀(生寄死歸) 성인 말씀 나는 서럽지 않거니와 생이사별(生離死別) 자네 정경(情景) 차마 어찌 보겠는가. 비같이 퍼붓던 정이 구름같이 흩어지면 눈같이 녹는 간장 안개같이 이는 수심(愁心). 도리화(桃李花) 피는 봄과 오동잎 지는 가을 두견(杜鵑)이 서럽게 울고 기러기 높이 날 때, 독수공방(獨守空房) 저 신세가 잔상이 불쌍하다. 자네 정경 가긍하니 아무리 살자 하나 내 병세 지독(至毒)하여 기여이 죽을 터이니 이 몸이 죽거들랑 염습(斂襲)하기, 입관(入棺)하기 자네가 손수 하고, 출상(出喪)할 때 상여(喪輿) 배행(陪行), 시묘(侍墓) 살아 조석 상식(上食), 삼년상을 지낸 후에 비단 수건 목을 잘라 저승으로 찾아오면 이생에서 미진(未盡) 연분 단현부속(斷絃復續) 되려니와 내가 지금 죽은 후에 사나이라 명색(名色)하고 십세전 아이라도 자네 몸에 손대거나 집 근처에 얼씬하면 즉각 급살(急殺)할 것이니 부디부디 그리하소."
속곳 아구대에 손김을 풀쑥 넣어 여인의 보지 쥐고 으드득 힘 주더니 불끈 일어 우뚝 서며 건장한 두다리는 유엽전(柳葉箭)을 쏘려는지 비정비팔(非正非八) 빗디디고, 바위 같은 두 주먹은 시왕전(十王前)에 문지기인지 눈위에 높이 들고, 경쇳덩이 같은 눈은 홍문연(鴻門宴) 번쾌(樊쾌)인지 찢어지게 부릅뜨고, 상투 풀어 산발(散髮)하고, 혀 빼어 길게 물고, 짚동같이 부은 몸에 피고름이 낭자하고 주장군(朱將軍)은 그저 뻣뻣, 목구멍에 숨소리 딸깍, 코구멍에 찬바람 왜, 생문방(生門方) 안을 하고 장승 죽음 하였구나.
여인이 겁이 나서 울 생각도 없지마는 저놈 성기(性氣) 짐작하고 임종(臨終) 유언(遺言) 있었으니 전례곡(傳例哭)은 해야 겠거든 비녀 빼어 낭자 풀고 주먹 쥐어 방을 치며,
"애고애고(哀苦哀苦) 설운지고, 애고애고 어찌 살꼬. 여보소, 변서방아 날 버리고 어디가나. 나도 가세 나도 가세. 임을 따라 나도 가세. 청석관 만날 적에 백년해로 하자더니 황천객 혼자 가니 일장춘몽(一場春夢) 허망하다. 적막산중(寂寞山中) 텅빈 집에 강근지친(强近之親) 고사하고 동네 사람 없으니 낭군 치상(致喪) 어찌 하고 이내 신세 어찌 살꼬. 웬년의 팔자로서 상부복을 그리 타서 송장 많이 보았지만 보던 중에 처음이네. 애고애고 설운지고. 나를 만일 못 잊어서 눈을 감지 못한다면 날 잡아가, 날 잡아가. 애고애고 설운지고."
한참 통곡한 연후에 사자(死者)밥 지어 놓고, 옷깃 잡아 초혼(招魂)하고 혼잣말로 자탄(自嘆)하여,
"무인지경(無人之境) 이 산중에 나 혼자 울어서는 낭군 치상할 수 없어 시충출호(屍蟲出戶)될 터이니, 대로변에 앉아 울어 오입남자 만난다면 치상을 할 듯하니 그 수가 옳다."
하고 상부에 이력 있어 소복(素服)은 많겠다, 생서양포(生西洋布) 깃저고리, 종성내의(鍾城內衣), 생베 치마, 외씨 같은 고운 발씨 삼승보선 엄신 신고 구름같이 푸른 머리 흐트러지게 집어 얹고 도화색(桃花色) 두 뺨 가에 눈물 흔적 더 예쁘다.
아장아장 고이 걸어 대로변을 건너가서 유록도홍(柳綠桃紅) 시냇가에 뵐듯 말듯 펄석 앉아 본래 관서 여인이라 목소리는 좋아서 쓰러져가는 듯이 앵도를 따는데 이것이 묵은 서방 생각이 아니라 새서방 후리는 목이니 오죽 맛이 있겠느냐. 사설(詞說)은 망부사(望夫詞) 비슷하게 염장(斂章)은 연해 애고 애고로 막겠다.
"애고애고 설운지고. 이 내 신세 가긍하다. 일신이 고단(孤單)키로 이십이 발옷 넘어 삼남을 찾아오니 사고무친(四顧無親) 객지(客地)로다. 오행궁합 좋다기에 육례 (六禮)없이 얻은 낭군 칠차(七次) 상부 또 당하니 팔자 그리 험굿던가. 구곡간장(九曲肝腸) 이 원통을 시왕전에 아뢰고저. 애고애고 설운지고. 여심상비(余心傷悲) 남물흥사(男勿興事) 보는 것이 설움이라. 류상(柳上)에 우는 황조(黃鳥) 벗을 오라 한다마는 황천 가신 우리 낭군 네 어이 불러오며 화간(花間)에 우는 두견 불여귀(不如歸)라 한다마는 가장 치상 못한 내가 어디로 가자느냐. 동원도리편시춘(東園桃李片時春)에 내 신세를 어찌하며 춘초년년(春草年年) 푸르른데 낭군 어이 귀불귀(歸不歸)오. 애고애고 설운지고. 염라국(閻羅國)이 어디 있어 우리 낭군 가 계신고. 북해상(北海上)에 있으며는 안족서(雁足書)나 부칠 테오. 농산(롱山)이 가까우면 앵무소식(鸚鵡消息) 오련마는 주야(晝夜) 동포(同抱)하던 정리(情理) 영이별(永離別) 되단 말인가. 애고애고 설운지고."
애원한 목소리가 화주성(華周城)이 무너질 듯 시냇물이 목메인다.
이 때에 화림(花林) 속으로 산나비 하나 날아 오는데 매우 덤벙거려 붉은 칠 실양갓에 주황사(朱黃絲) 나비 수염, 은구영자(銀鉤纓子) 공단(貢緞) 끈을 두 귀에 덮어매고 총감투 소년당상(少年堂上) 외꽃 같은 은관자(銀貫子)를 양편에 떡 붙이고, 서양포(西洋布) 대쪽누비 상하 통같이 입고, 한산세저(韓山細苧) 잇물 장삼(長衫), 진홍(眞紅) 분합(分合) 눌러 띠고, 흰 총박이 사날 초혜(草鞋), 고운 새김 버선목을 행전(行纏) 위에 덮어 신고, 좋은 은으로 꾸민 화류승도(花柳僧刀) 것고름에 늦게 차고, 오십시 진상칠선(進上漆扇) 기름 결어 손에 쥐고, 동구(洞口) 색주가(色酒家)에 곡차(曲茶)를 반취(半醉)하여 용두(龍頭) 새긴 육환장(六環杖)을 이리로 철철 저리로 철철, 청산 석경(石逕) 구비길로 흐늘거려 내려오다 울음 소리 잠깐 듣고 사면을 둘러보며 무한이 주저터니 여인을 얼른 보고 가만가만 들어가니 재치있는 저 여인이 중 오는 줄 먼저 알고 온갖 태를 다 부린다. 옥안(玉顔)을 번듯 들어 먼산도 바라보고 치마자락 돌려다가 눈물도 씻어 보고 옥수를 잠깐 들어 턱도 받쳐 보고, 설움을 못 이겨 머리도 뜯어보고 가도록 섧게 운다.
"신세를 생각하면 해당화(海棠花) 저 가지에 결항치사(結項致死)할 테로되 설부화용(雪膚花容) 이내 태도 아직 청춘 멀었으니 적막공산(寂寞空山) 무주고혼(無主孤魂) 그 아니 원통한가. 광대한 천지간에 풍류호사(風流豪士) 의기남자 응당 많이 있건마는 내 속에 먹은 마음 그 뉘라 알 수 있나. 애고애고 섧운지고."
중놈이 그 얼굴 태도를 보고, 정신을 반이나 놓았더니 이 우는 말을 들으니 죽을 밖에 수 없구나. 참다 참다 못 견디여 제가 독을 쓰며 죽자하고 쑥 나서며,
"소승(小僧) 문안(問安)드리오."
여인이 힐끗 보고 못 들은 체 연해 울어,
"오동에 봉 없으니 오작이 지저귀고 녹수에 원 없으니 오리가 날아든다. 에고애고 설운지고."
중놈이 이 말을 들으니 저를 업신여기는 말이거든 죽고살기로 바짝바짝 달여들며,
"소승 문안이오, 소승 문안이오."
여인이 울음을 그치고 점잖히 꾸짖으며,
"중이라 하는 것이 부처님의 제자이니 계행(戒行)이 다를 텐데 적막산중(寂寞山中) 숲 속에서 전후불견(前後不見) 여인에게 體貌 없이 달려드니 버릇이 괘씸하다. 문안은 그만하고 갈 길이나 어서 가제."
저 중이 대답하되,
"부처님의 제자기로 자비심이 많삽더니 시주(施主)님 저 청춘에 애원이 우는 소리 뼈 저려 못 갈 테니 우는 내력 아사이다."
여인이 대답하되,
"단부처 산중 살아 강근지친 없삽더니 신수가 불행하여 가군 초상 만났는데 송장조차 험악하여 치상할 수 없삽기로 여기 와서 우는 뜻은 담기(膽氣) 있는 남자 만나 가군 치상한 연후에, 청춘 수절(守節)할 수 없어 그 사람과 부부되어 백년해로 하자 하니 대사의 말씀대로 자비심이 있다면 근처로 다니시며 혈기남자(血氣男子) 만나거든 지시하여 보내시오."
저 중이 또 물어,
"우리절 중 중에도 자원(自願)할 이 있으며는 가르쳐 보내리까."
"치상만 한다면 그 사람과 살 터이니 승속(僧俗)을 가리겠소."
저 중이 크게 기뻐하여,
"그리하면 쉬운 일 있소. 그 송장 내가 치고 나와 살면 어떻겠소."
"아까 다 한 말이니 다시 물어 쓸 데 있소."
저 중이 좋아라고 양갓 감투 벗어 찢고 공단갓끈 금관자(金貫子)는 주머니에 떼어 넣고 장삼 벗어 띠로 묶어 어깨에 들어 메고 여인은 앞을 서고 대사는 뒤에 서서 강쇠집을 찾아 올 때 중놈이 좋아라고 장난이 비상하다. 여인의 등덜미에 손도 씩 넣어보고 젖도 불끈 쥐여 보고 허리 질끈 안아보고 손목 꽉 잡아보며,
"암만해도 못 참겠네, 우선 한번 하고 가세."
여인이 책망(責望)하여,
"바삐 먹으면 목이 메고, 급히 더우면 쉬 식나니 여러 해 주린 색심(色心) 아무리 그러하나, 죽은 가장 방에 두고 새 낭군 그 노릇이 내 인사 되겠는가. 다 되어 가는 일을 마음 조금 진정하소."
중놈이 대답하되,
"일인즉 그러하네."
수박 같은 대가리를 짜웃짜웃 흔들면서,
"십년 공부 아마타불 참 부처는 될 수 없어 삼생가약(三生佳約) 우리 미인 가부처(假夫妻)나 되어 보세."
강쇠 문 앞에 당도하여,
"시체 방이 어디 있노."
여인이 가리키며,
"저 방에 있소마는 시체가 불끈 서서 형용이 험악하니 단단히 마음 먹어 놀래지 말게 하오."
이놈이 여인에게 협기(俠氣)를 보이느라고 장담(壯談)을 벗석하여,
"우리는 겁이 없어 칠야 삼경 깊어 가며 궂은 비 흣뿌릴 때, 적적(寂寂)한 천왕각(天王閣) 혼자 자는 사람이라 그처럼 섰는 송장 조금도 염려(念慮)없제."
속으로 진언치며 방문 열고 들어서서 송장을 얼른 보고 고개를 푹 숙이며 중의 버릇하느라고 두 손을 합장(合掌)하고, 문안 죽음으로 요만하고 열반했제.
강쇠 여편네가 매장포(埋葬布), 백지(白紙) 등물(等物) 수습(收拾)하여 가지고서 뒤쫓아 들어가니 허망하구나. 중놈이 벌써 이 꼴 되었구나. 깜짝 놀라 발구르며,
"애고 이것 웬일인가. 송장 하나 치려다가 송장 하나 또 생겼네."
방문을 닫고서 뜰 가운데 홀로 앉아 송장에게 정설하며 자탄 신세 우는구나.
"여보소, 변서방아, 어찌 그리 무정한가. 청석관에 만난 후에 각 포구로 다니면서 간신(艱辛)히 모은 전량(錢兩) 잡기로 다 없애고 산중살이 하쟀더니, 장승 어이 패여 때여 목신 동증 소년 죽음 모두 자네 자취(自取)로세. 사십구일 구병(救病)할 때 내 간장이 다 녹았네. 험악한 저 신세를 할 수 없어 대로변 가는 중을 간신히 홀렸더니 허신(許身)도 한 일 없이 강짜를 하느라고 송장치러 간 사람을 저 죽음 시켰으니 이 소문(所聞) 나거드면 송장 칠 놈 있겠는가. 송장만 쳐낸 후에 자네의 유언대로 수절(守節)을 할 터이니 다시는 강짜마소. 애고애고 내 신세야. 치상을 뉘가 할꼬."
애긍히 우노라니 천만의외 솔대밋 친구 하나 달여들어,
"예. 돌아왔소. 구름 같은 집에 신선 같은 나그네 왔소. 퉤, 옥 같은 입에 구슬 같은 말이 쑥쑥 나오. 퉤, 이 개야, 짓지 마라. 낯은 왜 안 씻어 눈꼽이 다닥다닥, 나를 보고 짖느니 네 할애비를 보고 짖어라, 퉤."
이런 야단 없구나. 여인이 살펴보니 구슬상모(象毛), 담벙거지, 바특이 맨 통장구에 적 없는 누비저고리, 때 묻은 붉은 전대(纏帶) 제멋으로 어깨 띠고, 조개장단 주머니에 주황사 벌매듭, 초록 낭릉(浪綾) 쌈지 차고, 청 삼승 허리띠에 버선코를 길게 빼어 오메장 짚신에 푸른 헝겊 들메고 오십살 늘어진 부채, 송화색(松花色) 수건 달아 덜미에 엇게 꽂고, 앞뒤꼭지 뚝 내민 놈 앞살 없는 헌 망건에 자개관자 굵게 달아 당줄에 짓눌러 쓰고, 굵은 무명 벌통 한삼(汗衫) 무릎 아래 축 처지고, 몸집은 짚동 같고, 배통은 물항 같고, 도리도리 두 눈구멍, 흰 고리테 두르고 납작한 콧마루에 주석(朱錫) 대갈 총총 박고, 꼿꼿한 센 수염이 양편으로 펄렁펄렁, 반백(半白)이 넘은 놈이 목소리는 새된 것이 비지땀을 베씻으며, 헛기침 버썩 뱉으면서,
"예, 오노라 가노라 하노라니 우리집 마누라가 아씨마님 전에 문안 아홉 꼬장이, 평안 아홉 꼬장이, 이구십팔 열여덟 꼬장이 낱낱이 전하라 하옵디다. 당 동 당. 페."
여인이 기가 막혀 초라니를 나무라며,
"아무리 초라닌들 어찌 그리 경망한고. 가군의 상사 만나 치상도 못한 집에 장고소리 부당(不當)하네."
"예, 초상이 낫사오면 중복(重服)막이, 오귀(惡鬼)물림 잡귀(雜鬼) 잡신(雜神)을 내 솜씨로 소멸(消滅)하자. 페. 당 동 당. 정월 이월 드는 액(厄)은 삼월 삼일 막아내고, 사월 오월 드는 액은 유월 유두(流頭) 막아내고, 칠월 팔월 드는 액은 구월 구일 막아내고, 시월 동지(冬至) 드는 액은 납월(臘月) 납일(臘日) 막아내고, 매월 매일 드는 액은 초라니 장고(長鼓)로 막아내세. 페.당 동 당. 통영칠(統營漆) 도리판에 쌀이나 되어 놓고 명실과 명전(命錢)이며, 귀가진 저고리를 아끼지 마옵시고 어서어서 내어 놓오."
"여보시오. 이 초라니, 가가(家家) 문전(門前) 들어가면 오라는 데 어디 있소."
"뒤꼭지 지르면서 핀잔 악담 하는 것을 꿀로 알고 다니오니 난장(亂杖) 쳐도 못 가겠소. 박살(撲殺)해도 못 가겠소."
억지를 마구 쓰니 여인이 대답하되,
"중복(重複)막이 오귀물림 호강의 말이로세. 서서 죽은 송장이라 쳐 낼 사람 없어 시각(時刻)이 민망(憫망)하네."
초라니가 좋아라고 장고를 두드리며 방정을 떠는구나.
"사망이다, 사망이다. 발뿌리가 사망이다. 불리었다 불리었다 좋은 바람 불리었다. 페. 둥 동 당. 재수 있네 재수 있네, 흰 고리눈 재수 있네. 복이 있네 복이 있네, 주석코가 복이 있네. 페. 둥 동 당. 어제 저녁꿈 좋기에 이상히 알았더니 이 댁 문전 찾아와서 소장 사망 터졌구나. 페. 당 동 당. 신사년(辛巳年) 괴질(怪疾)통에 험악하게 죽은 송장 내 손으로 다 쳤으니, 그 같은 선 송장은 외손의 아들이니 삯을 먼저 결단하오. 페. 당 동 당."
여인이 게으른 강쇠에게 간장이 다 녹다가 이 손의 거동(擧動)보니 부지런하기가 위에 없어 짐대 끝에 앉아서도 정녕 아니 굶겠구나. 애긍히 대답하되,
"가난한 내 형세에 돈 없고 곡식 없어, 치상을 한 연후에 부부되어 살 터이오."
초라니가 또 덩벙여,
"얼씨구나 멋있구나, 절씨구나 좋을씨고. 페. 당 동 당. 맛속 있는 오입장이 일색미인(一色美人) 만났구나. 시체 방문 어서 여오, 내 솜씨로 쳐서 낼께. 페, 동 당."
여인이 방문 여니 초라니 거동보소. 시방(屍房) 문전 당도터니 몸 단속(團束) 매우 하며 장고 끈 졸라 매고, 채손에 힘을 주어 험악한 저 송장을 제 고사(告祀)로 눕히려로 부지런히 서두는데,
"여보소 저 송장아, 이내 고사 들어 보소. 페, 당 동 당. 오행 정기 생긴 사람 노소간에 죽어지면 혼령은 귀신되고 신체는 송장이되, 무슨 원통 속에 있어 혼령은 안 헤치고, 송장은 뻣뻣 섰노. 페, 당 동 당. 이내 고사 들어 보면 자네 원통 다 풀리리. 살았을 때 이승이요, 죽어지면 저승이라. 만사 부운(浮雲) 되었으니 처자 어찌 따라갈까. 훼파은수(毁破恩讐) 자세(仔細) 보니 옛 사람의 탄식일세. 페, 당 동 당."
부드럽던 장고채가 뒤마치만 소리하여
"꽁꽁꽁."
풀입 같은 새된 목이 고비 넘길 수가 없고, 날쌔게 놀던 몸집 삼동에 뒤틀이고, 한출첨배(汗出沾背) 가뿐 숨이 어깨춤에 턱을 채여, 한 다리는 오금 죽여 턱 밑에 장고 얹고, 망종(亡終) 쓰는 한 마디 목 하염없이 구성이라. 뒤마치 꽁치며 고사 죽음 돌아가니, 여인이 깜짝 놀라 손바닥을 딱딱 치며,
"또 죽었네, 또 죽었네. 방정맞은 저 초라니 자발없이 덤벙이다 허망히도 돌아간다. 고단한 내 한 몸이 세 송장을 어찌 할꼬."
담배를 피워 물고 먼산 보고 앉았더니 대목 미처 파장(罷場)인가, 어 농(漁農) 풍년 시평인가. 오색(五色)발가리 친구들이 지껄이며 들어온다. 풍각(風角)장이 한 패가 오는데, 그 중에 앞선 가객(歌客) 다 떨어진 통량갓에 벌이줄 매어 쓰고, 소매 없는 배중치막 권생원(權生員)께 얻어 입고, 세목(細木)동옷 때 묻은 놈 모동지(毛同知)께 얻어 입고, 안만 남은 누비저고리 신선달(申先達)께 얻어 입고, 다 떨어진 전등거리 송선달(宋先達)께 얻어 입고, 부채를 부치되 뒤에 놈만 시원하게 부치면서 들어와서 말버슴새 씨는 경조(京調) 원터도 못다 가고 금강(錦江) 이쪽 어투였다.
"여보시오, 이 마누라, 댁 송장이 접사(接死)하여 쳐낼 사람 없다 하니, 내 수단에 쳐내면 나하고 둘이 살겠소."
여인이 대답하되,
"무슨 재조(才操) 지니셨소."
"예, 나는 소리 명창(名唱) 가객(歌客)이오."
여인이 또 물어,
"송선달 아시오."
"예, 그게 내 제자요."
"신선달 아시오."
"예, 둘째 제자지요."
"세상 사람 하는 말이 목단(牧丹)은 화중왕(花中王), 송선달은 가중왕(歌中王), 다시 윗수 없다는데 그 사람들 선생 되면 당신의 목 재조는 가중의 천자(天子)인가 보오."
"남들이 그렇다고 수군수군한답디다."
그 뒤에 퉁소쟁이 빡빡 얽은 전벽소경 통솟대 손에 쥐고, 강경장(江景場) 넉마 큰 옷 뻣뻣하게 풀을 먹여 초록 실띠 눌러 띠고, 지팡 막대 잡은 아이 열댓 살 거의 된 놈 굵은 무명 홑고의(袴衣) 길목 신고, 모시행전(行纏), 홍일광단(紅日光緞) 도리줌치, 갈매 창옷, 송화색(松花色) 동정, 쇠털 같은 노랑머리 밀기름칠 이마 재여 공단(貢緞) 댕기 벗게 땋고, 검무(劒舞) 출 칼 가졌으며, 가얏고 타는 사람 빳빳 마른 중늙은이 피골(皮骨)이 상련(相連)한데, 토질(土疾) 먹은 기침 소리 광쇠 치는 소리 같고, 긴 손톱 검은 때와 빈대코 코거웃이 입술을 모두 덮고, 떡메모자 대갓끈에 가얏고를 메었으되, 경상도 경주(慶州) 도읍(都邑) 그 시절에 난 것이라 복판이 좀이 먹고 도막난 열 두 줄을 망건(網巾)당줄 이어 매고, 쥐똥나무 괘(괘)를 고여 주석 고리 끈을 달아 왼어깨에 둘러메고 북 치는 놈 맵시 보소. 엄지러기 총각놈이 여드름과 개기름이 용천뱅이 초 잡은듯 짧은 머리 길게 땋고, 외손질로 늙은 놈이 체바퀴 열 두 도막 도막도막 주워 이어, 노구녹피(老狗鹿皮) 북을 매어 쐐기 제겨 끈을 달아, 양어깨에 둘러메고, 거들거려 들어오며 장담들을 서로 한다.
"송장이 어디 있소. 그 같은 것 쳐 내기는 똥누기는 발허리나 시제."
여인이 이른 말이,
"그렇게 장담하다 실없이 죽은 사람 몇이 된 줄 모르겠소."
사람들이 대답하되,
"그 염려는 마시오. 내 노래 한 곡조는 읍귀신(泣鬼神)하는 터요, 가얏고 의논하면 진국미인(秦國美人) 허청금(許聽琴)에 형장사(荊壯士)도 잡았으며, 왕소군(王昭君) 출새곡(出塞曲)은 호인(胡人)도 낙루(落淚)하고, 옹문금(雍門琴) 슬픈 소리 맹상군(孟嘗君)도 울었으니, 내 또한 상심곡(傷心曲)을 처량(凄凉)히 타고 나면 멋있는 저 송장이 날 괄세(恝視)할 수 없제."
통소장이 하는 말이,
"내 통소(洞蕭) 부는 법은 여읍여소(如泣如訴) 슬픈 소리, 계명산(鷄鳴山) 추야월(秋夜月)에 장자방(張子房)의 곡조로다. 팔천 제자 흩어질 때 우미인(虞美人)은 목 찌르고 항장사(項壯士)도 울었거든, 제까짓 송장이야 동지 섣달 불강아지."
북치는 놈 내달으며,
"이 내 솜씨 북을 치면 전단(田單)이 되놈 칠 때, 시석지소(矢石之所) 우뚝 서서 원포고지(援포鼓之)하던 소리, 장익덕(張益德) 고성현(古城縣)에 관공(關公)님의 용맹 보자 삼통고(三通鼓) 치던 소리, 제아무리 험한 송장 아니 쓰러질 수 있나."
검무 추는 아이 놈이 양손에 칼을 들고 연풍대(燕風臺) 좌우 사위 번듯번듯 둘러메고,
"여보시오, 기탄(忌憚) 마오. 소년 십오(十五) 이십시(二十時)에 일검증당백만사(一劍曾當百萬死)라 홍문연(鴻門宴) 큰 모임에 항장(項莊)의 날랜 칼이 날 당할 수가 없고, 양소유(陽少游) 대진중(大陣中)에 심오연(沈오烟)의 추던 춤이 내게 비하지 못할 테니 송장 치기 두말 있나. 송장 방이 어디 있소."
각기 재조 자랑하니, 여인이 생각한즉 식구가 여럿이요, 재주가 저만하니 송장 서넛 쳐내기는 염려가 없겠거든,
"여보시오, 저 손님네, 송장 먼저 보아서는 아마 기가 막힐 테니 시체 방문 닫은 채로 툇마루에 늘어앉아 각색 풍류 하였으면, 맛있는 송장이니 감동하여 눕거든 묶어내기 쉬울 테니 그리하면 어떠하오."
"그 말이 장히 좋소."
굿하는 집에 공인뽄으로 마루에 늘어앉고 검무장이 일어서서 여민락(與民樂) 심방곡(心方曲)을 재미있게 한참 노니, 방에서 찬바람이 스르르 일어나며 쌍창문이 절로 열려 온몸이 으슥하며 독한 내가 코 찌르니, 눈뜬 식구들은 송장을 먼저 보고 제 맛으로 다 죽는다. 가객의 거동 보소. 초한가(楚漢歌)를 한참할 때,
"일후(日後) 영웅 장사들아, 초한 승부 들어보소. 절인지력(絶人之力) 부질없고, 순민심(順民心)이 으뜸일레. 한 패공(沛公) 십만대병(十萬大兵) 구리산하(九里山下) 십사면에 대진을 둘러 치고, 초 패왕(覇王)을 잡으려 할 때 거리거리 마병이요, 마루마루 복병(伏兵)이라."
부채를 쫙 펼치며 숨이 딸각.
가얏고 놀던 사람 짝타령을 타노라고,
"황성(荒城)에 허조벽산월(荒城 虛照碧山月)이요, 고목(古木)은 진입창오운(盡入倉梧雲)이라 하던 이태백(李太白)으로 한 짝. 삼년적리관산월(三年笛裡關山月)이요, 만국병전초목풍(萬國兵前草木風)이라 하던 두자미(杜子美)로 한 짝. 둥덩덩 지둥덩둥."
그만 식고.
북치던 늙은 총각 다시 치는 소리 없고, 칼춤 추던 어린아이 오도가도 아니하고 선자리에 꽉 서 있고, 통소 불던 얽은 봉사 송장 낯을 못 본 고로 죽음 차례 모르고서 먼눈을 번득이며 봉장추를 한창 불 때, 무서운 기운이 왈칵 들고, 독한 내가 콱 지르니 내미는 힘이 점점 줄어 그만 자진(自盡)하였구나.
여인이 기가 막혀서 울음도 울 수 없고, 사지(四脂)가 나른하여, 애겨 이를 어찌 할꼬. 이것들 앉은 대로 여기다 두어서는 아무 사람 와 보아도 우선 놀라 갈 테니, 방안에다 감추자고 하나씩 고이 안아 동서편 두 벽 밑에 차례로 앉혀 놓으니, 앉은 것은 명부전(冥府殿)에 시왕뽄, 집 이름은 초상(初喪) 상자(喪字), 팔상전(八喪殿) 시방문(尸房門) 닫고서 대문간에 비껴 서서 대로변을 바라보니 어떠한 사람 하나 맛있는 연비정(燕飛程)을 권생원 비슷하게 냅다 떠는데,
"이봐, 벗님네야. 이때는 어느 땐고, 하사월(夏四月) 초파일(初八日)에 연자(燕子)는 남으로 펄펄 날아들고, 석양산로에 어디로 가자느냐. 천지로 장막(帳幕) 삼고, 일월로 등촉(燈燭) 삼고, 남의 집 내 집 삼고, 가는 길 노자(路資)되고, 멍석자리 등돗삼아 두고 꿰질러 다니다가 달은 밝고 바람 찬 밤에 광충다리 홀로 우뚝 서서 이내 신세를 솜솜 생각하니, 팔만장안(八萬長安) 억만가구(億萬家口) 방방곡곡(方方曲曲) 가가호호(家家戶戶) 귀돌적간을 꿰질러 다니며 보아도 이런 벌건 목두기의 아들 놈 팔자 또 어디 있을꼬. 애고애고 설운지고."
으스러지게 부르면서 문전으로 들어오는데, 산쇠털 벙거지 넓은 끈 졸라매고 마가목채 등덜미에 꽂고 때묻은 고의 적삼 육승포(六升布) 온골전대 허리를 잡아매고 발감기 곱게 하여 짚신을 들멨는데, 키는 장승 같고, 낯은 징짝 같고, 눈은 화등잔(火燈盞)만, 코는 메주덩이, 입은 싸전 장되, 발은 동작(銅雀)이 거루선만, 초라니 탈 아니 써도 천생 말뚝이 뽄이거든, 여인을 썩 보더니 경조로 세치를 내갈기는데,
"이런 제어미를, 그리하여서 마누라가 낭군의 송장 쳐 주면 둘이 살자고 하는 마누라요."
여인이 애긍히 대답하여,
"그러하오."
"그 제어미를 할 송장이 어떻게 죽었단 말이오."
불끈 일어서서 두 주먹 불끈 쥐고 이 놈이 연해 희색하여,
"누구를 콱 치려고 두 다리 벋디디고, 누구를 탁 차려고 두눈을 딱 부릅떴소. 에게, 그것이 용병이어든 그도 그렇겠지. 그도 가수제. 집에 갈퀴 있소."
"예, 있소."
"그 놈의 눈구멍을 내가 아니 보려 하니 고개를 숙이고서 그 놈 눈 웃시울을 긁어서 덮을 테니 마누라는 밖에 서서 갈퀴가 웃시울에 닿거든 닿았다 하오."
이 놈이 갈퀴 들고 시체방에 들어서서 고개를 푹 숙이고, 두 손으로 갈퀴 들어 송장눈에 대면서,
"웃시울에 닿았소."
여인이 뒤에 서서,
"조금 올리시오."
"닿았소."
"조금 내리시오."
"닿았소."
딱 잡아 긁은 것이 손이 조금 미끄러져 아랫시울 긁어 놓으니 눈이 툭 불거져서 앙하고 호랑이 재조를 하는구나. 가만히 쳐다보더니 이 놈이 깜짝 놀라 갈퀴를 내버리고 바로 뛰여 도망할 때 그물의 내 맡은 숭어 뛰듯, 선불 맞은 호랑이 닫듯, 곧 들고 째는구나.
여인이 대경하여 급히 급히 쫓아가며,
"여보시오, 저 손님네, 말씀이나 하고 가오."
저 놈이 손 헤치며,
"그런 소리 하지 마오. 나 돌아가오, 나 돌아가오. 위방(危邦)은 불입(不入)이라, 나 돌아가오 ."
여인이 연해 불러,
"송장 치라 아니 하니 말만 잠깐 듣고 가오."
꽃 같은 저 미인이 옥 같은 말소리로 따라오며 간청하니, 오입한 사람이라 어찌 할 수가 있나. 돌아서며 대답하되,
"무슨 말씀 하시려오."
여인이 하는 말이,
"노변(路邊)에서 괴이하니 내 집으로 둘이 가서 딴방에서 잠을 자고 내가 이리 고적(孤寂)하니 말벗이나 하옵시다."
저 놈이 흠득(欽得)하여,
"그리 합시다."
허락하고 여인의 손목 잡고 정담하며 도로 올 때, 여인이 자세(仔細) 물어,
"어디서 사옵시며 존호(尊號)는 누구신데 어디로 가시다가 내 집을 어찌 알고 수고로이 오시니까."
저 놈이 대답하되,
"예, 나는 서울 사는 뎁득이 김서방 재상댁(宰相宅) 마종(馬從)으로 경상도 황산역(黃山驛)에 좋은 말이 있다기에 그리로 가다가 마누라 일색으로 가군이 험사하여 치상하여 주는 사람 작배(作配)하여 살자는 말이 삼남 천지에 떠들썩하여 사람마다 전하기에 불원천리(不遠千里) 찾아왔소."
여인이 또 물어,
"서울 사시고 신수 저리 건장한데 그만 송장 염려하여 버리고 가시기에는 내 얼굴이 누추(陋醜)하여 당신 눈에 아니 드오."
뎁득이 이 말 듣고 여인의 등을 치며,
"미인 보면 정 있다가 송장 보면 정 떨어지오."
언사(言辭) 좋은 저 여인이 속을 연해 질러 보아,
"사제갈(死諸葛)이 주생중달(走生仲達) 옛글로만 들었더니 저러한 호풍신(好風身)에 송장에게 쫓긴단 말 어디 행세할 수 있소. 불쌍한 이내 신세 버리고 가신다면 고통 자진할 터이니 그 아니 불쌍한가. 날 살리쇼, 날 살리쇼. 한양 낭군 날 살리쇼. 자네 만일 가려 하면 나를 먼저 죽여 주소."
허리를 질끈 안고 온가지 어린 냥에 백만 교태(嬌態) 다 부리니, 서울 사나이라 뒤가 탁 풀이는데 허리에 띤 전대로 눈물을 씻기면서,
"울지 마오, 울지 마오. 아니 감세, 아니 감세. 죽으면 내가 죽지 자네 죽게 하겠는가."
집으로 들어오며 의사를 새로 내어,
"자네 집에 떡메 있나."
"떡메는 무엇하게."
"영투지(寧鬪智) 불투력(不鬪力)을 먼저 생각 못 하였네."
떡메를 내어 주니, 뎁득이 둘러메고 집 뒤로 돌아가서 주해(朱亥)의 진비(晉鄙) 치듯, 경포(경布)의 함관(函關) 치듯, 뒷벽을 쾅쾅 치니 송장이 벽에 치어 덜퍽 뒤쳐지는구나.
뎁득이가 좋아라고 땀씻으며 장담하여,
"제깟놈이 어디라고."
여인은 더위한다 부채질하며 송장 묶어 내려 할 때 아무리 장사기로 송장 여덟 질 수 있나. 근처 마을 찾아 가서 삯군을 얻쟀더니, 마침 각설이패 셋이 달려드는데 온 머리를 다 둥치고 옆에 약간(若干) 남은 털을 감이상투 엇게 하여 이마에 붙이고서 영남의 돌림이라 영남장(嶺南場)만 헤 가겠다.
"떠르르 돌아왔소, 각설이라 멱설이라 동설이를 짊어지고 뚤뚤 몰아 장타령(場打令) 안경(眼鏡) 주관(柱管) 경주장(慶州場) 최복(최服) 입은 상주장(尙州場), 이 술 잡수 진주장(晋州場), 관민분의(官民分義) 성주장(星州場), 이랴 채쳐 마산장(馬山場), 펄쩍 뛰여 노리골장, 명태(明太) 옆에 대구장(大邱場), 순시(巡視) 앞에 청도장(淸道場)."
한 놈은 옆에 서서 입장고 낑낑 치고, 한 놈은 옆에 서서 살만 남은 헌 부채로 뒤꼭지를 탁탁 치며 두 다리를 빗디디고 허리짓 고개짓.
"잘한다, 잘한다. 초당 짓고 한 공부(工夫)냐, 실수가 없이 잘한다. 동삼 먹고 한 공부냐, 기운차게 잘한다. 목구멍에 불을 켰나, 훤하게도 잘한다. 뱃가죽도 두껍다, 일망무제(一望無除) 나온다. 네가 저리 잘할 때에 네 선생은 할 말 있나. 네 선생이 나로구나. 잘한다, 잘한다. 대목장에 목 쉴라. 잘한다, 잘한다. 너 못하면 내가 하마."
여인이 묻는 말이,
"목소리는 명창이나 우리집에 송장 많아 지금 묶어 내려 하니 함께 묶어 지고 가면 삯을 후이 줄 테니 소견이 어떠한가."
저 놈들 하는 말이,
"송장을 쳐 내이면 여인하고 산다기에 짚신짝 떼 붙이고 애써 애써 예 왔더니 남의 손에 떼였으니 송장이나 지고 갈께 송장 하나 닷 냥 삯에, 술, 밥, 고기 잘 먹이오."
여인이 허락하니 네 놈이 송장 칠 때 한 등짐에 두 마리씩 공석으로 곱게 싸서 세 죽마다 태줄로 단단히 얽은 후에 짚으로 밖을 싸서 새끼로 자주 묶어 새벽달 못 떨어져 네 놈이 짊어지고, 여인은 뒤를 따라 북망산(北邙山)을 찾아갈 때 어화성 목 어울러 행색이 처량하다.
"어이 가리, 너허 너허. 연반군(延반軍)은 어디 가고 담뱃불만 밝았으며, 행자곡비(行者哭婢) 어디 가고 두견이는 슬피 우노. 어허 너허. 명정(銘旌), 공포(功布) 어디 가고 작대기만 짚었으며, 앙장(仰帳) 휘장(揮帳) 어디 가고 헌 공석을 덮었는고. 어허 너허. 장강(長강)틀은 어디 가고 지게송장 되었으며, 상제(喪制) 복인(服人) 어디 가고 일미인만 따라오는고. 어허 너허. 북망산이 어떻기에 만고영웅 다 가시노. 진 시황의 여산 무덤, 한 무제(武帝)의 무릉(茂陵)이며, 초 패왕의 곡성(穀城) 무덤, 위 태조의 장수총(將帥塚)이 다 모두 북망이니 생각하면 가소롭다. 어허 너허. 너 죽어도 이 길이요, 나 죽어도 이 길이라. 북망산천 돌아들 때 어욱새 더욱새, 떡갈나무 가랑잎, 잔 빗방울, 큰 빗방울, 소소리바람 뒤섞이어 으르렁 시르렁 슬피 불 때 어느 벗님 찾아오리. 어허 너허. 주부도(酒不到) 유령(劉伶) 분상토(墳上土)요, 금인(今人)이 경종(耕種) 신릉(信陵) 분상전(墳上田)에 번화 부귀 죽어지면 어디 있나. 어허 너허. 지고 가는 여덟 분이 다 모두 호걸이라 기주탐색(嗜酒耽色) 풍류가금(風流歌琴) 청누화방(靑樓花房) 어찌 잊고 황천북망 돌아가노. 어허 너허."
한참을 지고 가니 무겁기도 하거니와 길가에 있는 언덕 쉴 자리 매우 좋아, 네 놈이 함께 쉬어 짐머리 서로 대어 일자(一字)로 부리고 어깨를 빼려 하니 그만 땅하고 송장하고 짐꾼하고 삼물조합(三物調合) 꽉 되어서 다시 변통(變通) 없었구나. 네 놈이 할 수 없어 서로 보며 통곡한다.
"애고애고 어찌 할꼬. 천개지벽(天地開闢)한 연후에 이런 변괴 또 있을까. 한 번을 앉은 후에 다시 일 수 없었으니 그림의 사람인가, 법당에 부처인가. 애고애고 설운지고. 청하는 데 별로 없이 갈 데 많은 사람이라, 뎁득이 자네 신세 고향을 언제 가고, 각설이 우리 사정 대목장을 어찌 할꼬. 애고애고 설운지고. 여보시오 저 여인네, 이게 다 뉘 탓이오. 죄는 내가 지었으니 벼락은 네 맞아라 굿만 보고 앉았으니 그런 인심 있겠는가. 주인 송장, 손님 송장 여인 말은 들을 테니 빌기나 하여 보소."
여인이 비는구나.
"여보소 변낭군아, 이것이 웬일인가. 험악하게 죽은 송장 방안에서 썩을 것을 이 네 사람 공덕으로 염습(殮襲) 담부(擔負) 나왔으니, 가만히 누웠으면 명당을 깊이 파고 신체를 묻을 것을, 아이 밸 때 덧궂으면 날 때도 덪궂다고, 갈수록 이 변괸가. 사람 어디 살겠는가. 집에서 하던 변은 우리끼리 보았더니 이러한 대로변에 이 우세를 어찌할꼬. 날이 점점 밝아 오니 어서 급히 떨어지소. 안장(安葬)을 한 연후에 수절시묘(守節侍墓)하여 줌세."
뎁득이가 중맹(重盟)을 연해 지어,
"여인의 치마귀나 만졌으면 벗긴 쇠아들이오. 상인이 없었으니 발상(發喪)이라도 하오리다."
여인이 연해 빌어,
"대사(大師), 촐보, 풍각(風角)님네 다 각기 맛에 겨워 이 지경이 되었으니, 수원수구(誰怨誰咎)하자 하고 이 우세를 시키는가. 청산에 안장할 때 하관시(下棺時)가 늦어가니 어서 급히 떨어지소."
아무리 애걸(哀乞)하되 꼼짝 아니 하는구나. 날이 훤히 새어 놓으니 뎁득이가 하는 말이,
"배고파 살 수 없네. 여인은 바가지 들고 동내로 다니면서 밥을 많이 얻어다가 우리들이 먹게 하되 짚 두어 묶음 얻어 오쇼."
"짚은 무엇하게."
"몇 해가 지나든지 목숨 끊기 전까지는 이 자리에 있을 테니, 비 오면 상투 덮게 주저리나 틀어 두게."
여인을 보낸 후에 각기 설움 의논할 때, 이것들 앉은 데가 원두(園頭)밭 머리로서 참외 한참 산영하니, 막은 아직 아니 짓고 밭 임자 움생원(生員)이 집에서 잠을 자고 밭 보려 일찍 올 때, 먼지 낀 묵은 관을 돛 단 듯이 높이 쓰고, 진동 좁고 된짓 달아 소매 좁은 소창의와 굽 다 닳은 나막신에 진 담뱃대 중동 쥐고, 살보 짚고 오다가서 밭머리 사람 보고 된 목으로 악써 물어,
"네, 저것들 웬 놈이냐."
뎁득이 대답하되,
"담배 장사요."
"그 담배 맛 좋으냐."
"십상 좋은 상관초(上關草)요."
"한 대 떼어 맛 좀 보자."
"와서 떼어 잡수시오."
마음 곧은 움생원이 담배 욕심 잔뜩 나서 달려들어 손을 쑥 넣으니 독한 내가 코 쑤시고, 손이 딱 붙는구나. 움생원이 호령하여,
"이놈, 이게 웬일인고."
뎁득이 경판으로 물어,
"왜, 어찌 하셨소."
"괘씸한 놈 버릇이라 점잖은 양반 손을 어찌 쥐고 아니 놓노."
뎁득이와 각설이가 손뼉치며 대소하여,
"누가 손을 붙들었소."
"이것이 무엇이냐."
"바로 하제. 송장 짐이오."
"네 이놈, 송장짐을 외밭머리 놓았느냐."
"새벽길 가는 사람 외밭인지 콩밭인지 아는 제어미할 놈 있소."
움생원이 달래여,
"그렇든지 저렇든지 손이나 떼다고."
네 놈이 각문자(各文字)로 대답하되,
"아궁불열(我窮不閱)이오,"
"오비(吾鼻)도 삼척(三尺)이오."
"동병상련(同病相憐)이오."
"아가사창(我歌査唱)이오."
움생원이 문자속은 익어,
"너희도 붙었느냐."
"아는 말이오."
"할 장사가 푹 쌓였는데 송장장사 어찌 하며, 송장이 어디 있어 저리 많이 받아 지고 어느 장을 가려 하며, 송장 중에 붙는 송장 생전 처음 보았으니, 내력이나 조금 알게 자상(仔詳)히 말하여라."
뎁득이 하는 말이,
"지리산중 예쁜 여인 가장이 악사하여 치상을 해주면 함께 살자 한다기에 그 집을 찾아간즉 송장이 여덟이라 간신히 치상하여 각설이 세 사람과 둘씩 지고 예 왔더니, 나도 붙고 게도 붙어 오도가도 못할 터니 그 내력을 알 수 있소."
움생원이 의사(意思) 내어,
"그리하면 좋은 수 있다. 오고가는 사람들을 보는 대로 후려들여 무수히 붙였으면 소일(消日)도 될 것이요, 뗄 의사도 날 것이니 그 밖에 수가 없다."
"기소불욕(己所不欲)을 물시어인(勿施於人)이라니 일은 아니 되었으되, 궁무소불위(窮無所不爲)라니 재조대로 하여 보오."
이 때에 하동(河東) 목골, 창평(昌平) 고살메, 함열(咸悅) 성불암(成佛庵), 담양(潭陽), 옥천(沃川), 함평(咸平) 월앙산(月仰山) 가리내패가 창원(昌原), 마산포(馬山浦), 밀양(密陽), 삼랑(三浪), 그 근방들 가느라고 그 앞으로 지나다가 움생원의 관을 보고, 걸사(乞士)들이 절을 하여,
"소사(小士) 문안이오, 소사 문안이오."
그 뒤에 아기네들이 낭자도 곱게 하고 고방머리 엇게 하고, 다리 아파 잘쑥잘쑥 지팡막대 짚었으며, 두 줄에 다리 넣고 걸사 등에 업혔으며, 수건으로 머리 동여 긴담뱃대 물었으며, 하하 대소 웃으면서, 낭낭옥어(琅琅玉語) 말도 하고 무수히 오는구나. 움생원이 불러,
"이애 사당(寺黨)들아, 너의 장기대로 한 마디씩 잘만 하면 맛 좋은 상관 담배 두 구부씩 줄 것이니 쉬어 가면 어떠하냐."
이것들이 담배라면 밥보다 더 좋거든,
"그리 하옵시다."
판놀음 차린 듯이 가는 길 건너편에 일자로 늘어앉아, 걸사들은 소고(小鼓) 치며, 사당은 제차(第次)대로 연계사당 먼저 나서 발림을 곱게 하고,
"산천초목이 다 성림(盛林)한데 구경가기 즐겁도다. 이야어. 장송(長松)은 낙낙(落落), 기럭이 펄펄, 낙낙장송이 다 떨어졌다. 이야어. 성황당(城隍堂) 궁벅궁새야 이리 가며 궁벅궁 저 산으로 가며 궁벅궁 아무래도 네로구나."
움생원이 추어,
"잘한다, 내 옆에 와 앉거라. 네 이름이 무엇이냐."
"초월(初月)이오."
또 하나 나서며,
"녹양방초(綠楊芳草) 저문 날에 해는 어이 더디 가고, 오동야우(梧桐夜雨) 성긴 비에 밤은 어이 길었는고. 얼싸절싸 말 들어 보아라, 해당화 그늘 속에 비 맞은 제비같이 이리 흐늘 저리 흐늘, 흐늘흐늘 넘논다. 이리 보아도 일색이요, 저리 보아도 일색이요, 아무래도 네로구나."
"잘한다. 네 이름은 무엇이냐."
"구강선(具江仙)이오."
한 년은 또 나서며,
"오돌또기 춘향(春香) 춘향 유월의 달은 밝으며 명랑한데, 여기 저기 연저 버리고 말이 못된 경이로다. 만첩청산(萬疊靑山)을 쑥쑥 들어가서 늘어진 버드나무 들입다 덤뻑 휘여잡고 손으로 줄르르 훑어다가 물에다 둥둥 띄워 두고 둥덩둥실 둥덩둥실 여기 저기 연저 버리고 말이 못된 경이로다."
"어, 잘한다. 네 이름은 무엇이냐."
"일점홍(一點紅)이오."
또 한년 나서며,
"갈까보다 갈까보다, 임을 따라 갈까보다. 잦힌 밥을 못 다 먹고 임을 따라 갈까보다. 경방산성(傾方山城) 빗두리길로 알배기 처자(處子) 앙금살살 게게 돌아간다."
"잘한다, 네 이름은 무엇이냐."
"설중매(雪中梅)요."
한 년이 나서며 방아타령을 하여,
"사신(使臣) 행차(行次) 바쁜 길에 마중참(站)이 중화(中和), 산도 첩첩 물도 중중(重重) 기자왕성(箕子王城)이 평양, 모닥불에 묻은 콩이 튀어나니 태천(太川), 청천(靑天)에 뜬 까마귀 울고 가니 곽산(郭山), 차던 칼을 빼어 내니 하릴없는 용천 (龍川), 청총마(靑聰馬)를 둘러 타고 돌아보니 의주(義州)."
"잘한다. 네 이름은 무엇이냐."
"월하선(月下仙)이오."
한 년은 자진방아 타령을 하여,
"누각(樓閣)골 처녀는 쌈지장사 처녀, 어라뒤야 방아로다. 왕십리 처자는 미나리장사 처자, 순담양 처자는 바구니장사 처자, 영암(靈岩) 처자는 참빗 장사 처자."
"어, 잘한다. 네 이름은 무엇이냐."
"금옥(金玉)이오."
한참 이리 농탕(弄蕩)칠 때, 이 때에 시임(時任) 향소(鄕所) 옹좌수(雍座首)가 수유(受由)하고 집이 갔다 돌아오는 길이었다. 도포 입고 안장말에 향청(鄕廳) 하인(下人) 후배(後陪)하여 달래달래 돌아가니 움생원이 불러,
"여보소, 옹좌수. 자네가 아관(亞官)으로 기구가 좋다하여 출패(出牌)나 무서워 하지, 나 같은 빈천지교(貧賤之交) 시약불견(視若不見) 지나가니 부귀자교인(富貴者驕人) 말이 자네 두고 한 말일쎄."
좌수가 할 수 있나, 말에서 내려 걸어오니 움생원이 제 옆에 앉혔구나. 좌수가 물어,
"노형의 평생행세 내가 대강 짐작하니 이러한 큰 길가에서 협창행락(挾娼行樂) 의외로세."
움생원이 연해 웃어,
"꿈 같은 우리 인생 육십이 가까우니 남은 날이 며칠인가 파탈(擺脫)하고 놀아 주세. 얘, 옥천집, 좌수님 들으시게 시조(時調)나 하나 하여라."
그렁저렁 장난 후에 좌수가 하직(下直)하여,
"향청(鄕廳)에 일 많아서 총총히 돌아가니 노형(老兄)은 사당하고 행락을 하게 하소."
움생원이 웃어,
"자네 소견대로."
좌수 불끈 일어서니 밑구멍이 안 떨어져,
"애겨, 이게 웬일인고."
움생원은 좋아라고 곧장 웃어 두었구나.
"허허, 내 말 들어 보소. 노형은 내게 비하면 식자(識字)도 들었고, 경락(京洛)도 출입하고, 읍내 가 오래 있어 관장(官長)도 모셔 보고, 지사(知事)하는 아전(衙前) 친구 응당히 많을 테니, 송장이 붙는 말을 자네 혹 들었는가."
좌수 귀가 매우 밝아 깜짝 놀라 급히 물어,
"이것이 송장인가."
남은 급히 서두는데 움생원은 훨씬 늘여,
"그것은 무엇이든지 장차 수작(酬酌)하려니와, 송장이 붙는다는 말 사기(史記)에나 경서(經書)에나 혹 어디서 보았는가."
옆에 있던 사당들이 깜짝 놀라 일어서니 모두 다 붙었구나. 요망(妖妄)한 이것들이 각색으로 재변(才辯) 떨 때 애고애고 우는 년, 먼산보고 기막힌 년, 움생원 바라보며 더럭더럭 욕하는 년, 제 화에 제 머리를 으등으등 찧는 년, 살풍경(殺風景) 일어나니 좌수는 어이없어 암말도 못 하고서 굿 보는 사람나서 우두커니 앉았다가,
"여보소, 저 짐이 다 모두 송장인가."
움생원 변구(辯口)하여,
"하나씩이면 좋게."
"둘씩이란 말인가."
"방사(倣似)한 말이로세."
"어느 고을 올 시절이 송장 풍년 그리 들어 몰똑하게 지고 왔소."
뎁득이 하던 말을 움생원이 송전(誦傳)하니, 좌수와 사당들이 서로 보고 걱정한다. 오는 사람 가는 사람 굿 보느라고 아니 가고, 먼 데 마을, 근처 마을 구경하자 모여드니, 그리 저리 모인 사람 전주장(全州場)이 푼푼하다.
구경꾼 모인 데는 호도(胡桃)엿장수가 먼저 아는 법이었다. 갈삿갓 쓰고 엿판 메고 가위 치며 외고 온다.
"호도엿 사오, 호도엿 사오. 계피(桂皮) 건강(乾薑)에 호도엿 사오. 가락이 굵고 제 몸이 유하고 양념 맛으로 댓 푼. 콩엿을 사려우, 깨엿을 사려우. 늙은이 해소에 수수엿 사오."
여러 사람들이 호도엿 사먹으며 하는 말이,
"이것이 원혼이라, 삼현(三弦)을 걸게 치고 넋두리를 하였으면 귀신이 감동하여 응당 떨어질 듯하다."
목 좋은 계대(繼隊)네를 급급히 청해다가 좌수가 자당(自當)하여 굿상을 차려 놓고 멋있는 고인들이 굿거리를 걸게 치고, 목 좋은 제대네가 넋두리춤을 추며,
"어라 만수(萬壽) 저라 만수. 넋수야 넋이로다. 백양청산(白楊靑山) 넋이로다. 옛 사람 누구 누구 만고원혼(萬古寃魂) 되었는고. 공산야월(空山夜月) 불여귀(不如歸)는 촉 망제(望帝)의 넋일런가. 무관춘풍(武關春風) 우는 새는 초 회왕(懷王)의 넋이로다. 어라 만수. 청청향초나군색(靑靑向楚羅裙色)은 우미인의 넋일런가. 환패공귀월야혼(環패空歸月夜魂)은 왕소군(王昭軍)의 넋이로다. 어라 만수 저라 대신. 넋일랑은 넋반에 담고, 신첼랑은 화단(花壇)에 뫼셔 밥전(廛), 넋전(廛), 인물전(廛)과 온필 무명, 오색 번(번)에 넋을 불러 청좌(請座)하자. 어라 만수 저라 대신. 열 대왕님 부리는, 사자(使者) 일직사자(日直使者) 월직사자(月直使者) 금강야차(金剛夜叉) 강림도령(降臨道令), 이 생 망제 잡아갈 때 뉘가 감히 거역할까. 어라 만수 저라 대신. 만승천자(萬乘天子), 삼공 육경(六卿) 기구로도 할 수 없고, 천석(千石) 노적(露積) 만금부자 값을 주고 면켔는가. 멀고 먼 황천길을 가자 하면 따라가네. 어라 만수 저라 대신. 지장보살(地藏菩薩) 장한 공덕, 보도중생(普度衆生)하려 하고 지옥문(地獄門) 닫아 놓고, 서양길을 가르칠새 불쌍한 여덟 목숨 비명에 죽었으니, 어느 대왕께 매였으며, 어느 사자 따라갈까. 어라 만수 저라 만수. 지하에 맨 데 없고, 인간에 주인 없어 원통히 죽은 혼이 신체 지켜 있는 것을 무지한 인생들이 경대(敬待)할 줄 모르고서 손으로 만져 보고 걸터앉기 괘씸쿠나. 어라 만수 저라 만수. 옹좌수 자넬랑은 일읍(一邑)의 아관(亞官)이요, 움생원 자넬랑은 양반의 도리로서 경이원지(敬而遠之) 귀신대접 어이 그리 모르던가. 어라 만수 저라 대신. 사당, 걸사, 명창, 가객, 오입장이 너의 행세 취실(取實)할 수 왜 있으리. 비옵니다, 여덟 혼령 무지한 저 인생들 허물도 과도 말고, 갖은 배반(杯盤) 진사면(陳謝免)에 제대춤에 놀고 가세. 어라 만수 저라 만수."
우두커니 짐꾼 넷만 남겨 놓고 위에 붙은 사람들은 모두 다 떨어져서, 제대에게 치하(致賀)하고 뎁득이 각설이에게 각각 하직하는구나.
이것들이 식구 많이 있을 때는 소일하기 좋았더니 비 오는 날 파장같이 경각간(頃刻間)에 흩어지니 심심하여 살 수 있나. 뎁득이가 그래도 서울 손이라 애긍히 사정으로 송장에게 비는 목이 의지하여 듣겠거든,
"천고에 의기남자 원통히 죽은 혼이 지기지우(知己之友) 못 만나면 위로할 이 뉘 있으리. 역수상(易水上) 찬 바람에 연태자(燕太子)를 하직하고 함양에서 죽었으니 협객 형경(荊卿) 불쌍하고, 계명산(鷄鳴山) 밝은 달에 우미인을 이별하고, 오강(烏江)에 자문(自刎)하니 패왕 항적(項籍) 가련하다. 이 세상에 변서방은 협기 있는 남자로서 술먹기에 접장(接長)이요 화방에 패두(牌頭)시니, 간 데마다 이름 있고 사람마다 무서워한다. 꽃 같은 저 미인과 백년을 살쟀더니 이슬 같은 이 목숨이 일조(一朝)에 돌아가니 원통하고 분한 마음 눈을 감을 수가 없어, 뻣뻣 선 장승 송장. 주 동지 자네 신세 부처님의 제자로서 선공부(禪工夫) 경문(經文) 외어 계행을 닦았으면 흰 구름 푸른 뫼에 간 데마다 도방이요, 비단 가사(袈裟) 연화탑(蓮花塔)에 열반(涅槃)하면 부처될새 잠시 음욕 못 금하여 비명횡사(非命橫死) 거적 송장. 촐첨지(僉知) 자네 정경 동냥 고사 천업(賤業)이라, 낯에는 탈을 쓰고, 목에는 장고 메고, 돈푼 쌀줌 얻자 하고 이집 저집 다닐 적에 따른 것이 아이들과 짖는 것이 개 소리라, 탄 분복(分福)이 이러한데 가량(可量) 없는 미인 생각 제 명대로 못 다 살고 남의 집에 붙음송장. 풍객(風客) 한량(閑良) 다섯 분은 오입 맛이 한통속. 왕별목장 춘향가 가객이 앞을 서고, 가얏고 심방곡(心方曲) 통소 소리 봉장취 연풍대(燕風臺) 칼춤이며, 서서 치는 북 장단에 주막(酒幕)거리 장판이며, 큰 동내 파시평에 동무 지어 다니면서 풍류로 먹고 사니 눈치도 환할 테요, 경계(經界)도 알 터인데 송장을 쳐 낸대도 계집은 하나 뿐, 누구 혼자 좋은 꼴 보이려 한꺼번에 달려들어 한날 한시 뭇태 송장 여덟 송장 각기 설움 다 원통한 송장이라. 살았을 때 집이 없고 죽은 후에 자식 없어 높은 뫼 깊은 구렁 이리 저리 구는 뼈를 묻어줄 이 뉘 있으며, 슬픈 바람 지는 달에 애고애고 우는 혼을 조상할 이 뉘 있으리. 생각하면 허사로다, 심사 부려 쓸 데 있나. 이 생 원통 다 버리고 지부명왕(地府明王) 찾아가서 절절이 원정하여 후생의 복을 타서, 부귀가에 다시 생겨 평생행락하게 하면 당신네 신체들은 청산에 터를 잡아 각각 후장(厚葬)한 연후에 년년기일 돌아오면 내가 봉사(奉祀)할 것이니 제발 덕분 떨어지오."
애긍히 빈 연후에 네 놈 불끈 일어서니 모두 다 떨어졌다.
북망산 급히 가서 송장짐을 부리니 석 짐은 다 부리고 뎁득이 진 송장은 강쇠와 초라니라 등에 붙어 뗄 수 없다. 각설이 세 동무는 여섯 송장 묻어 주고 하직하고 간 연후에 뎁득이 분을 내어 사면을 둘러보니 곳곳 큰 소나무 나란히 두주 서서 한 가운데 빈틈으로 사람 하나 가겠거든, 두 주먹을 불끈 쥐고 고울고울 달음박질 소나무 틈으로 쑥 나가니 짊어진 송장짐이 우두둑 삼동 나서 위 아래 두 도막은 땅에 절퍽 떨어지고 가운데 한 도막은 북통같이 등에 붙어 암만해도 뗄 수 없다. 요간폭포괘장천(遙看瀑布掛長天) 좋은 절벽 찾아가서 등을 갈기로 드는데 갈이질 사설이 들을 만하여,
"어기여라 갈이질. 광산(匡山)에 쇠방앗고 문장공부 갈이질. 십년을 마일검(磨一劍) 협객의 갈이질. 어기여라 갈이질. 춘풍에 저 나비가 향내만 찾아가다 거미줄을 몰랐으며, 산양에 저 장끼가 소리만 찾아가다 포수 우레 몰랐구나. 어기여라 가리질. 먼저 죽은 여덟 송장 전감(前鑑)이 밝았는데, 철모르는 이 인생이 복철(覆轍)을 밟았구나. 어기여라 갈이질. 네번째 죽은 목숨 간신히 살았으니 좋을씨고 공세상(空世上)에 오입 참고 사람되세. 어기여라 갈이질."
훨씬 갈아 버린 후에 여인에게 하직하여,
"풍류남자 가려서 백년해로하게 하오. 나는 고향 돌아가서 동아부자(同我婦子) 지낼 테오."
떨뜨리고 돌아가니 개과천선(改過遷善) 이 아닌가. 월나라 망한 후에 서시가 소식 없고, 동탁(董卓)이 죽은 후에 초선이 간 데 없다. 이 세상 오입객이 미혼진(迷魂津)을 모르고서 야용회음(冶容誨淫) 분대굴(粉黛窟)에 기인도차오평생(幾人到此誤平生)고. 이 사설 들었으면 징계가 될 듯하니 좌상에 모인 손님 노인은 백년향수, 소년은 청춘불로 수부귀다남자(壽富貴多男子)에 성세태평하옵소서. 덩지 덩지.
자료 출처 : 성두본
요점 정리
연대 : 미상
작자 : 미상
형식 : 판소리
주제 : 천하의 음남(淫男)과 음녀(淫女)의 육욕(肉慾) 탐닉(眈溺)과 그 응보
이해와 감상
신재효(申在孝)가 개작한 판소리로 6마당 중의 하나로 일명, '가루지기타령', '횡부가(橫負歌)'라고도 한다. 송만재의 '관우희'에 '변강쇠타령'이라는 곡명이 보이고, 신재효의 '판소리 여섯 마당'에 '변강쇠가'의 사설이 정리되어 있다. 또한 정노식의 '조선창극사'에 의하면 조선 말기의 명창인 송흥록·장자백 등이 이 소리를 잘 불렀다고 기록되어 있어 적어도 19세기말까지는 '변강쇠타령'이 연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20세기 이후로는 판소리의 전승과정에서 소리의 맥을 상실하였으며, 최근 박동진 명창이 신재효 대본을 바탕으로 소리를 재현한 '변강쇠가'가 가끔씩 공연되고 있다.
신재효가 지은 판소리 사설 6마당 가운데 가장 이색적인 작품으로 적나라한 성의 묘사와 노골적인 음담이 전편에 깔려 있는 외설적인 작품이다. 내용은 평안도에서 태어난 옹녀라는 잡년과 전라도에서 태어난 변강쇠란 잡놈이 있어 제각기 음란한 생활을 하여 왔다. 여자는 북쪽 여자라 남쪽으로 가고, 남자는 남쪽 남자라 북쪽으로 가다가 도중에서 만나 곧장 결혼을 하여 지리산에 들어가 살게 되는데, 어느 날 변강쇠는 장승을 패어 때다가 동티가 나서 죽고 만다. 옹녀는 중 ·초라니 ·풍각쟁이들에게 장사만 치러 주면 같이 살겠다고 하여 그들은 서로 변강쇠의 시신을 만지다가 만지는 사람마다 역시 장승에게 화를 입어 폭사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작품은 한국 고전에 드문 성문학이다. '변강쇠타령'은 비록 내용의 음란성으로 말미암아 판소리의 전승과정에서 탈락되었으나, 이 소리가 연행되던 당시의 민간생활의 일면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 가치를 지니고 있다.
심화 자료
변강쇠가(──歌 )
작자 · 연대 미상의 판소리 계통의 작품. 1권 1책. 국문 필사본. ‘ 변강쇠타령 ’ · ‘ 가루지기타령 ’ · ‘ 송장가 ’ · ‘ 횡부가(橫負歌) ’ 라고도 한다.
현존작품은 신재효 ( 申在孝 )에 의해 정착된 〈 변강쇠가 〉 만이 있을 뿐, 다른 판소리처럼 소설화되어 전하는 것은 없다. 유랑민들의 비극적 생활상을 희극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이다.
천하잡놈인 강쇠는 남쪽지방에서 북쪽지방으로 올라오고, 팔자에 과부로 운명지워졌기 때문에 마을에서 쫓겨난 옹녀는 북쪽지방에서 남쪽지방으로 내려간다. 두 사람은 개성으로 넘어오는 골목인 청석관에서 만나 즉시 부부로 결합한다.
강쇠와 옹녀는 혼인 후에도 유랑을 계속한다. 옹녀는 생활하기 위해 온갖 노력을 다 기울이는 데 반해, 강쇠는 도리어 온갖 못된 짓을 다 저지른다. 결국 이들은 떠돌이 생활을 청산하고 지리산에 정착하게 된다.
그러나 나무하러 간 강쇠가 장승을 패 와서 군불을 때고 자다가 장승 동티(動土 : 건드려서는 안될 것을 건드려 그것을 관장하는 지신의 노여움을 사서 받게 되는 재앙)로 죽는다. 죽은 강쇠의 시체를 치우기 위해서 옹녀는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한다.
맨 처음 지나가던 중이 강쇠의 시체를 묻은 뒤 옹녀와 같이 살려고 하다가, 시체에서 나오는 독기인 초상살(初喪煞)을 맞고 죽어버린다. 이어서 유랑광대패인 초라니와 풍각장이들이 나타나서 강쇠의 시체를 묻으려다가 역시 초상살을 맞고 차례로 죽어 넘어진다.
마지막으로 마종(馬從)출신의 뎁득이가 각설이패의 도움을 받아 시체를 운반하던 중, 시체들과 그것을 지고 가던 사람들이 함께 땅에 붙어버린다.
이 사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옹좌수가 굿판을 벌이자, 땅에 붙었던 사람들이 땅에서 떨어진다. 마지막까지 강쇠의 시체가 등에 가로 붙어서 애를 먹던 뎁득이도 시체를 떼어내고는 옹녀 곁을 떠나버린다.
이 작품은 기원이나 형성이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판소리사에 하나의 문제를 제기한다. 서도(西道)나 경기지방에 〈 변강쇠타령 〉 또는 〈 변강수타령 〉 이 잡가로 전하고 있는데, 〈 변강쇠가 〉 보다 단순한 내용이며 〈 변강쇠가 〉 의 기원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변강쇠가 〉 는 경기지방의 탈춤과도 상통하는 점이 있다. 작품 속의 유랑하는 대목을 보더라도, 〈 변강쇠가 〉 는 〈 배뱅이굿 〉 과 더불어 판소리의 다른 작품과는 상이하게 경기 이북 지방에서 생겨났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판소리의 형성기에 충청도 이남에서 불리는 남도창(南道唱)의 중요한 종목으로 등장된 〈 변강쇠가 〉 는 장승제의와 같은 굿에서 파생되었으리라 추정하는 견해도 있어서 기원과 형성을 밝혀 내는 일이 매듭지어진 것은 아니다.
〈 변강쇠가 〉 의 중요한 소재로는 음탕한 남녀의 이야기, 바보 온달 이야기에 나오는 〈 상여부착설화 喪輿附着說話 〉 를 들 수 있다. 이외에도 아홉번씩이나 결혼한 여자의 이야기인 〈 구부총설화 九夫塚說話 〉 , 장승동티의 민속적 금기 ( 禁忌 ), 시체를 가로지는 관습적 사실 등이 지적되어왔다.
이러한 소재들은 너무 단편적이고 서로 관련성을 맺을 수 없는 성질의 것들이어서, 〈 변강쇠가 〉 의 기원이나 형성의 구심점이 되었으리라고 보기는 어렵다. 이 소재들은 작품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을 뿐이다.
대부분의 이야기는 유랑민의 생활과 그들의 유랑 생활에서 나타나는 참혹한 모습에 관한 것이다. 작품의 전반부는 유랑하던 강쇠와 옹녀가 정착생활을 강렬히 열망함에도 불구하고 결국 좌절하고 마는 모습을 보여준다. 후반부 역시 정착생활에 실패하고 마는 유랑민들의 좌절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유랑민들의 비극적 삶을 형상화한 이 작품은 유랑광대들이 그들의 생활을 직접 이야기하는 방식을 통해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보인다. 〈 변강쇠가 〉 가 잘 짜여 있다는 인상을 주기보다는 아무렇게나 얽혀 있다는 느낌을 주고 있다는 점도 그러한 가능성을 짐작하게 해 준다.
이 작품은 겉으로는 매우 희극적으로 보이지만 속으로는 비극적 구조를 감추고 있다. 이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대부분은 떠돌아다니면서 삶을 즐기는 인물들이 아니다. 오히려 삶의 터전을 잃고 살아나가기 위해 온갖 짓을 다 해야 하는 인물들이다.
그렇게 볼 때 이들은 비참하고 불행한 인물들이다. 이러한 인물들이 작품의 진행에 따라 죽거나 파멸한다는 점에서 비극적 삶의 종말을 보여준다.
그런데 비극적 삶의 종말은 희극적으로 표현되며, 이에 따라 이 작품의 비극적 구조는 희극적 요소에 차단당한다. 비극적인 삶의 이야기가 희극적으로 나타나는 까닭은 유랑광대패가 청중이나 관중을 즐겁게 해주기 위해서 비참하고 불행한 자신들의 삶의 모습을 희극적으로 변형시켰기 때문이다.
이 작품은 판소리로 불렸던 다른 작품과 마찬가지로 풍부한 문학적 형상력을 보이고 있다. 특히 남녀의 성기를 묘사하는 기물타령(奇物打令)에서는 놀라운 상상력과 다양한 비유로써 남녀 성기의 묘사와 유랑민들의 현실적 욕구를 교묘히 묶어놓은 언어적 형상력이 나타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묘사가 일으킬 외설적 · 감각적인 자극이 투철한 현실인식을 계기로 바뀌고 있다는 점은 주목되는 일이다.
한편, 다른 판소리 작품들은 생산 주체인 광대들의 문화와 소비 주체인 양반사대부층의 문화의 상호관련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작품은 오로지 생산 주체인 하층민의 문화적 성격만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판소리사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작품은 신재효가 정착시킨 여섯 마당에 들어 있는 것으로 보아 고종 때까지는 계속 공연되었던 작품으로 보이나, 현재는 전수가 끊어진 상태이다. 다만 박동진 ( 朴東鎭 ) 명창에 의해 불려진 바가 있기는는 하다.
〈 변강쇠가 〉 보다 훨씬 더 조잡하고 음란한 대사로 구성되는 민속극은 현재까지도 전승되고 있다. 이와 관련지어 볼 때, 이 작품의 사설이 조잡하고 내용이 음란하기 때문에 판소리의 공연작품으로서의 생명이 일찍 단축되었다는 견해는 〈 변강쇠가 〉 의 판소리사적인 운명을 완전히 설명해주지 못한다.
이 문제는 이 작품의 기원이나 생성의 문제, 그리고 판소리의 생산주체인 광대층과 소비주체인 양반사대부층의 수용문제 등과 관련시켜 계속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 朝鮮唱劇史(鄭魯湜, 朝鮮日報出版局, 1940), 申在孝판소리全集(姜漢永 解題, 人文科學資料叢書 5, 延世大學校人文科學硏究所, 1955), 韓國歌謠의 硏究(金東旭, 乙酉文化社, 1961), 판소리연구(국어국문학회 편, 태학사, 1998), 申在孝와 변강쇠傳(孫洛範, 學術界 1-1, 1958). 변강쇠歌硏究(徐鍾文,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5).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