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백아절현(伯牙絶鉉)의 유래

by 송화은율
반응형

 

백아절현(伯牙絶鉉) // ‘백아(伯牙)가 친구의 죽음을 슬퍼하여 거문고 줄을  었다는 고사에서 참다운 벗의 죽음을 이르는 말.

出典列子 湯問篇 / ‘荀子 勸學篇

 

춘추 시대, 거문고의 명수로 이름 높은 백아(伯牙)에게는 그 소리를 누구보다 잘 감상해 주는 친구 종자기(鍾子期)가 있었다. 백아가 거문고를 타며 높은 산과 큰 강의 분위기를 그려 내려고 시도하면 옆에서 귀를 기울이고 있던 종자기의 잎에서는 탄성이 연발한다.

 

, 멋지다. 하늘 높이 우뚝 솓는 그 느낌은 마치 태산(泰山)같군

, 훌륭해, 넘칠 듯이 흘러 가는 그 느낌은 마치 황하(黃河)같군

 

두 사람은 그토록 마음이 통하는 연주자였고 청취자였으나 불행히도 종자기는 병으로 죽고 말았다. 그러자 백아는 절망한 나머지 거문고의 줄을 끊고 다시는 연주하지 않았다고 한다.

 

지기(知己)를 가리커 지음(知音)이라고 일컫는 것은 이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순자(荀子)勸學篇,

옛날에 호파가 비파를 타면 물 속에 있던 물고기가 나와 들었고, 백아(伯牙)가 거문고를 타면 여섯 필의 말이 풀을 뜯다가 고개를 들어 쳐다 보았다. 그러므로 소리는 작더라도 들리지 않는 것이 없고 행동은 숨기어도 나타나지 않는 것이 없다. 옥이 산에 있으면 풀과 나무가 윤택하고, 연못에 진주가 생기면 언덕이 마르지 않는다. 을 행하고 을 쌓지 않는다면 어찌 명성이 들리지 않겠는가?

 

그 후부터 친한 벗이 죽었을 때 <백아절현(伯牙絶鉉)>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동의어백아파금(伯牙破琴)

유사어지음(知音), 고산유수(高山流水)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