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백범 김구(金九) / 정치이념

by 송화은율
반응형

백범 김구(金九)

 

본관 안동. 호 백범(白凡). 아명 창암(昌岩). 본명 창수(昌洙). 개명하여 구(,). 법명 원종(圓宗). 초호 연하(蓮下). 황해도 해주 출생. 15세 때 한학자 정문재(鄭文哉)에게서 한학을 배웠고, 1893년 동학(東學)에 입교하여 접주(接主)가 되고 이듬해 팔봉도소접주(八峯都所接主)에 임명되어 해주에서 동학농민운동을 지휘하다가 일본군에게 쫓겨 1895년 만주로 피신하여 김이언(金利彦)의 의병단에 가입하였다. 이듬해 귀국, 일본인에게 시해당한 명성황후(明成皇后)의 원수를 갚고자 일본군 중위 쓰치다[土田壤亮]를 살해하고 체포되어 사형이 확정되었으나 고종의 특사로 감형되었다. 복역 중 1898년 탈옥하여 공주 마곡사(麻谷寺)의 승려가 되었다가 이듬해 환속(還俗), 1903년 기독교에 입교하였다.

 

1909년 황해도 안악의 양산학교 교사로 있다가 이듬해 신민회(新民會)에 참가하고, 1911‘105인 사건으로 체포되어 종신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 감형으로 1911년 출옥하여 김홍량(金鴻亮)의 동산평 농장 농감(農監)이 되어 농촌을 계몽하였다. 31운동 후 상하이[上海]로 망명, 대한민국 임시정부 조직에 참여하고 경무국장(警務局長)내무총장국무령(國務領)을 역임하면서, 1928년 이시영(李始榮)이동녕(李東寧) 등과 한국독립당을 조직, 총재가 되었다. 이로부터 항일 무력 활동을 시작, 결사단체인 한인애국단을 조직, 1932년 일본왕 사쿠라다몬[櫻田門] 저격 사건, 상하이 훙커우[虹口]공원 일본왕 생일 축하식장의 폭탄투척 사건 등 이봉창(李奉昌)윤봉길(尹奉吉) 등의 의거를 지휘하였다. 1933년 난징[南京]에서 장제스[蔣介石]를 만나 한국인 무관학교 설치와 대()일본전투 방책을 협의하고 1935년 한국국민당을 조직하였으며, 1940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충칭[重慶]으로 옮길 때 이를 통솔하였고, 한국 광복군 총사령부를 설치, 사령관에 지청천(池靑天)을 임명하고 1944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에 선임되었.

 

1945년 대한민국의 이름으로 대일선전포고(對日宣戰布告)를 하는 한편, 광복군 낙하산 부대를 편성하여 본국 상륙 훈련을 실시하다가 815광복으로 귀국하였는데, 임시정부가 미군정으로부터 정부로서의 정통성을 인정받지 못하였으므로 한국독립당 위원장으로서 모스크바 3상회의 성명을 반박하고 신탁통치 반대 운동을 주도하였다. 대한독립촉성중앙협의회 부의장, 민주의원 부의장, 민족통일총본부를 이승만(李承晩)김규식(金奎植)과 함께 이끌면서 극우파로 활약하였다. 1948년 남한만의 단독 총선거를 실시한다는 국제연합의 결의에 반대하여 통일정부수립을 위한 남북협상을 제창하였다. 그 후 북한으로 들어가 정치회담을 열었으나 실패하였다. 그 후 정부수립에 참가하지 않고 중간파의 거두로 있다가 1949626일 경교장(京橋莊)에서 육군 포병 소위 안두희(安斗熙)에게 암살당하였다. 국민장으로 효창공원에 안장되었으며, 저서로는백범일지(白凡逸志)가 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두산 세계 대백과

 

김구의 글 <정치 이념>

 

나의 정치 이념(政治理念)은 한 마디로 표시하면 자유다. 우리가 세우는 나라는 자유(自由)의 나라라야 한다.

자유란 무엇인가. 절대로 각 개인이 제멋대로 사는 것을 자유라 하면, 이것은 나라가 생기기 전이나 저 레닌의 말 모양으로 나라가 소멸된 뒤에나 있을 일이다. 국가 생활을 하는 인류에게는 이러한 무조건의 자유는 없다. 왜 그런고 하면 국가란 일종의 규범의 속박이기 때문이다. 국가생활을 하는 우리를 속박하는 것은 법이다. 개인의 생활이 국법(國法)에 속박되는 것은 자유 있는 나라나 자유 없는 나라나 마찬가지다.

 

자유와 자유 아님이 갈리는 것개인의 자유를 속박하는 법이 어디서 오느냐 하는 데 달렸다. 자유 있는 나라의 법은 국민의 자유로운 의사에서 오고, 자유 없는 나라의 법은 국민 중의 어떤 일 개인 또는 일 계급에서 온다. 일 개인에서 오는 것을 전체(全體) 또는 독재(獨裁)라 하고, 일 계급에서 오는 것을 계급 독재(階級獨裁)라 하며 통칭 파쇼(fascio)라고 한다.

나는 우리 나라가 독재의 나라가 되기를 원치 아니한다. 독재의 나라에서는 정권에 참여하는 계급 하나를 제외하고는 다른 국민은 노예가 되고 마는 것이다.

 

독재 중에서 가장 무서운 독재는 어떤 주의(主義), 즉 철학을 기초로 하는 계급 독재다. 군주나 기타 개인 독재자의 독재는 그 개인만 제거되면 그만이거니와, 다수의 개인으로 조직된 한 계급이 독재의 주체일 때에는 이것을 제거하기는 심히 어려운 것이니, 이러한 독재는 그보다도 큰 조직의 힘이거나 국제적 압력이 아니고는 깨뜨리기 어려운 것이다.

 

우리 나라의 양반 정치(兩班政治)도 일종의 계급 독재이거니와, 이것은 수백 년 계속하였다. 이탈리아의 파시스트(fascist), 독일의 나치스(Nazis)의 일은 누구나 다 아는 일이다.

 

그러나 모든 계급 독재 중에도 가장 무서운 것철학을 기초로 한 계급 독재이다. 수백 년 동안 이조 조선(조선조)에 행하여 온 계급 독재는 유교(儒敎), 그 중에도 주자학파(朱子學派)의 철학을 기초로 한 것이어서 다만 정치에 있어서만 독재가 아니라 사상, 학문, 사회 생활, 가정 생활, 개인 생활까지도 규정하는 독재였었다. 이 독재 정치 밑에서 우리 민족의 문화는 소멸되고 원기(元氣)는 마멸된 것이었다. 주자학(朱子學 : 성리학) 이외의 학문은 발달하지 못하니, 이 영향은 예술, 경제, 산업에까지 미쳤다.

 

우리 나라가 망하고 민력(民力)이 쇠잔하게 된 가장 큰 원인이 실로 여기 있었다. 왜 그런고 하면 국민의 머릿속에 아무리 좋은 사상과 경륜(經綸)이 생기더라도 그가 집권 계급의 사람이 아닌 이상, 또 그것이 사문 난적(斯文亂賊)이라는 범주(範疇) 밖에 나지 않는 이상, 세상에 발표되지 못하기 때문이었다. 이 때문에 싹이 트려다가 눌려 죽은 새 사상, 싹도 트지 못하고 밟혀 버린 경륜이 얼마나 많았을까. 언론의 자유가 얼마나 중요한 것임을 통감(痛感)하지 아니할 수 없다. 오직 언론의 자유가 있는 나라에만 진보가 있는 것이다.

 

시방 공산당이 주장하는 소련식 민주주의란 것은 이러한 독재 정치 중에도 가장 철저한 것이어서, 독재 정치의 모든 특징을 극단으로 발휘하고 있다. , 헤겔(Hegel)에게서 받은 변증법(辯證法), 포이에르바하(Feuerbach)의 유물론(唯物論)의 두 가지와, 애덤 스미스(Adam Smith)의 노동 가치론(勞動價値論)을 가미한 마르크스(Kari Marx)의 학설을 최후의 것으로 믿어, 공산당과 소련의 법률과 군대와 경찰의 힘을 한데 모아서, 마르크스의 학설에 일점 일획(一點一劃)이라도 반대는 고사하고 비판만 하는 것도 엄금하여, 이에 위반하는 자는 죽음의 숙청(肅淸)으로써 대하니 이는 옛날 조선의 사문 난적(斯文亂賊)에 대한 것 이상이다.

 

만일 이러한 정치가 세계에 퍼진다면 전 인류의 사상은 마르크스주의 하나로 통일될 법도 하거니와, 설사 그렇게 통일이 된다 하더라도 그것이 불행히 잘못된 이론일진대 그런 큰 인류의 불행은 없을 것이다. 그런데 마르크스의 학설의 기초인 헤겔의 변증법의 이론이란 것이 이미 여러 학자의 비판으로 말미암아 전면적(全面的) 진리가 아닌 것이 알려지지 아니하였는가. 자연계(自然界)의 변천이 변증법에 의하지 아니함은 뉴턴(Newton), 아인슈타인(Einstein) 등 모든 과학자들의 학설을 보아서 분명하다.

 

그러므로 어느 한 학설을 표준으로 하여서 국민의 사상을 속박하는 것은 어느 한 종교를 국교(國敎)로 정하여서 국민의 신앙을 강제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옳지 아니한 일이다. 산에 한 가지 나무만 나지 아니하고 들에 한 가지 꽃만 피지 아니한다. 여러 가지 나무가 어울려서 위대한 삼림(森林)의 아름다움을 이루고 백 가지 꽃이 섞여 피어서 봄 뜰의 풍성한 경치를 이루는 것이다. 우리가 세우는 나라에는 유교도 성하고 불교도 예수교도 자유로 발달하고, 또 철학으로 보더라도 인류의 위대한 사상이 다 들어와서 꽃이 피고 열매를 맺게 할 것이니, 이러하고야만 비로소 자유의 나라라 할 것이요, 이러한 자유의 나라에서만 인류의 가장 크고 가장 높은 문화가 발생할 것이다.

 

나는 노자(老子)의 무위(無爲)를 그대로 믿는 자는 아니거니와, 정치에 있어서 너무 인공을 가하는 것을 옳지 않게 생각하는 자이다.

 

대개 사람이란 전지 전능(全知全能)할 수가 없고 학설이란 완전 무결(完全無缺)할 수 없는 것이므로 한 사람의 생각, 한 학설의 원리로 국민을 통제하는 것은 일시 속한 진보를 보이는 듯하더라도 필경은 병통(깊이 뿌리 박힌 결점)이 생겨서 그야말로 변증법적인 폭력의 혁명을 부르게 되는 것이다.

 

모든 생물에는 다 환경에 순응(順應)하여 저를 보존하는 본능이 있으므로, 가장 좋은 길은 가만히 두는 길이다. 작은 꾀로 자주 건드리면 이익보다도 해가 많다. 개인 생활에 너무 잘게 간섭하는 것은 결코 좋은 정치가 아니다. 국민은 군대의 병정도 아니요, 감옥의 죄수도 아니다. 한 사람 또는 몇 사람의 호령으로 끌고 가는 것이 극히 부자연하고, 또 위태한 일인 것은 파시스트 이탈리아와 나치스 독일이 불행하게도 가장 잘 증명하고 있지 아니한가!

 

미국은 이러한 독재국에 비겨서는 심히 통일이 무력한 것 같고 일의 진행이 느린 듯하여도 그 결과로 보건대 가장 큰 힘을 발하고 있으니, 이것은 그 나라의 민주주의 정치의 효과이다. 무슨 일을 의논할 때에 처음에는 백성들이 저마다 제 의견을 발표하여서 훤훤 효효(喧喧囂囂)하여 귀일(歸一)할 바를 모르는 것 같지마는 갑론 을박(甲論乙駁)으로 서로 토론하는 동안에 의견이 차차 정리되어서, 마침내 두어 큰 진영으로 포섭되었다가 다시 다수결의 방법으로 한 결론에 달하여, 국회의 결의가 되고 원수(元首)의 결재를 얻어 법률이 이루어지면, 이에 국민의 의사가 결정되어 요지부동(搖之不動)하게 되는 것이다.

 

이 모양으로 민주주의란 국민의 의사를 알아보는 한 절차 또는 방식이요, 그 내용은 아니다. 즉 언론의 자유, 투표의 자유, 다수결에 복종이 세 가지가 곧 민주주의다. 국론(國論), 즉 국민의 의사의 내용은 그때 그때의 국민의 언론전으로 결정되는 것이어서, 어느 개인이나 당파의 특정한 철학적 이론에 좌우되는 것이 아님이 미국식 민주주의의 특색이다. 다시 말하면, 언론투표다수결 복종이라는 절차만 밟으면 어떠한 철학에 기초한 법률도, 정책도 만들 수 있으니, 이것을 제한하는 것은 오직 그 헌법의 조문(條文)뿐이다.

 

그런데 헌법도 결코 독재국의 그것과 같이 신성 불가침(神聖不可侵)의 것이 아니라 민주주의의 절차로 개정할 수가 있는 것이니, 이러므로 민주, 즉 백성이 나라의 주권자(主權者)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나라에서 국론을 움직이려면 그 중에서 어떤 개인이나 당파를 움직여서는 되지 아니하고, 그 나라 국민의 의견을 움직여야 된다. 백성들의 작은 의견은 이해 관계(利害關係)로 결정되거니와, 큰 의견은 그 국민성과 신앙과 철학으로 결정된다. 여기서 문화와 교육의 중요성이 생긴다.

 

국민성(國民性)을 보존하는 것이나 수정(修正)하고 향상하는 것이 문화와 교육의 힘이요, 산업의 방향도 문화와 교육으로 결정됨이 큰 까닭이다. 교육이란 결코 생활의 기술을 가르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교육의 기초가 되는 것은 우주와 인생과 정치에 대한 철학이다. 어떠한 철학의 기초 위에 어떠한 생활의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곧 국민 교육(國民敎育)이다. 그러므로 좋은 민주주의의 정치는 좋은 교육에서 시작될 것이다. 건전한 철학의 기초 위에 서지 아니한 지식과 기술의 교육은 그 개인과 그를 포함한 국가에 해가 된다. 인류 전체로 보아도 그러하다.

 

이상에 말한 것으로 내 정치 이념(政治理念)이 대강 짐작될 것이다. 나는 어떠한 의미로든지 독재 정치를 배격한다. 나는 우리 동포를 향하여서 부르짖는다. 결코 독재 정치가 아니 되도록 조심하라고. 우리 동포 각 개인이 십분(十分)의 언론 자유를 누려서 국민 전체의 의견대로 되는 정치를 하는 나라를 건설하자고. 일부 당파나 어떤 한 계급의 철학으로 다른 다수를 강제함이 없고, 또 현재의 우리들의 이론으로 우리 자손의 사상과 신앙의 자유를 속박함이 없는 나라, 천지와 같이 넓고 자유로운 나라, 그러면서도 사랑의 덕과 법의 질서가 우주 자연의 법칙과 같이 준수되는 나라가 되도록 우리 나라를 건설하자고. 그렇다고 나는 미국의 민주주의 제도를 그대로 직역(直譯)하자는 것은 아니다. 다만 소련의 독재적인 민주주의에 대하여 미국의 언론 자유적인 민주주의를 비교하여서 그 가치를 판단하였을 뿐이다. 둘 중에서 하나를 택한다면 사상과 언론의 자유를 기초로 한 것을 취한다는 말이다.

 

나는 미국의 민주주의 정치 제도가 반드시 최후적인 완성된 것이라고는 생각지 아니한다. 인생의 어느 부분이나 다 그러함과 같이 정치 형태에 있어서도 무한한 창조적(創造的) 진화(進化)가 있을 것이다. 더구나 우리 나라와 같이 반만 년 이래로 여러 가지 국가 형태를 경험한 나라에는 결점도 많으려니와, 교묘하게 발달된 정치 제도도 없지 아니할 것이다.

까이 이조 시대로 보더라도 홍문관(弘文館), 사간원(司諫院), 사헌부(司憲府) 같은 것은 국민 중에 현인(賢人)의 의사를 국정에 반영하는 제도로 멋있는 제도요, 과거 제도(科擧制度)와 암행 어사(暗行御史) 같은 것도 연구할 만한 제도다. 역대의 정치 제도를 상고(詳考)하면 반드시 쓸 만한 것도 많으리라고 믿는다. 이렇게 남의 나라의 좋은 것을 취하고, 내 나라의 좋은 것을 골라서 우리 나라의 독특한 좋은 제도를 만드는 것도 세계의 문운(文運)에 보태는 일이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