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길 / 요점정리/ 이태준
by 송화은율작자소개
이태준(李泰俊: 1904- ? )
강원도 철원 출생. 호는 상허(尙虛). 동경 상지대학 예과 중퇴. 1925년 <시대일보>에 <오몽녀(五夢女)>로 등단. 이화여전 강사, <조선 중앙일보> 학예부장 역임. <구인회(九人會)> 동인. <문장>지 주관. 해방 후 <조선 문학가 동맹 중앙 집행 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좌익 문학 운동을 하다가 1946년 월북함. 그는 탁월한 미학적 문체로 예술적 정취가 짙은 단편을 남겼다. 그는 이러한 서정적 작품 속에서도 시대 정신을 추구한 작가로 평가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까마귀>, <달밤>, <사냥>, <제2의 운명>, <불멸의 함성> 등이 있다.
요점정리
갈래 : 단편소설
배경 : 시간 - 일제 강점기
공간 - 인천 월미도와 주안
성격 : 사실적, 비극적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의의 : 이태준의 몇 안 되는 리얼리즘 계열의 작품 중 하나로 절망적인
시대 상황을 잘 나타내고 있다.
주제 : 하층민의 비극적 삶과 비애.
인물 : 황 서방 - 처자식을 서울에 둔 채 인천으로 내려와 건축 공사
현장에서 일하는, 성실하고 품성이 선량 한 노동자.
아이의 죽음 앞에서 오열한다.
권 서방 - 황 서방과 함께 공사장에서 일하는 인부.
주인집 어른 - 서울 수표교 근처에 있는, 황 서방네가 행랑살이 하는
집의 주인.
구성 : 발단 - 계속되는 비 때문에 공사를 쉬고 있는 인천 건축 공사장.
전개 - 공사장에 황 서방네 집주인이 나타남.
위기 - 죽어 가는 아이를 안고 당황하는 황 서방.
절정 - 아이가 빨리 죽기를 기다리는 아버지의 비통한 마음.
결말 - 아이를 묻고 통곡하는 황 서방.
이해와 감상
1940년 <문장>에 발표된 단편 소설. 이태준의 작품 중 작가의 현실 인식의 수준을 엿볼 수 있는 수작(秀作)이다. 1930년대 도시 빈민의 궁핍한 삶과 어린아이의 죽음 앞에 어쩌지 못하는 어버지의 마음이 잘 나타나 있다. 칠흑 같은 밤, 계속하여 내리는 비, 아이의 죽음이라는 비극적 결말과는 전혀 상관없이 들려 오는 개구리와 맹꽁이 울음 소리는 이 소설의 침울한 분위기를 더욱 비극적으로 만든다.
작가 이태준의 현실 인식 수준을 보여 주는 작품으로, '밤'과 '줄곧 그치지 않는 비'라는 배경을 통해 암흑기의 절망적 상황과 하층민의 가난을 그리고 있다.
행랑살이를 하던 황 서방은 아들을 낳자 돈을 모아야겠다는 생각으로 공사장으로 내려온다. 그러나 황 서방의 꿈은 깨어지고 만다. 아내의 가출, 아이의 병, 그리고 끝내는 죽어가는 아이를 안고 어쩔 줄 모르는 황 서방의 모습, 게다가 집주인이 들기도 전에 새 집에서 시체를 내갈 수 없다는 생각에 죽어가는 아이를 안고 집을 나오는 장면에서 착하기만 한 노동자의 모습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작가는 이러한 비극의 원인을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서 찾기보다는 그 책임이 전적으로 가출한 그의 아내에게 있는 것처럼 그림으로써 극에 달한 황 서방의 분노와 절규를 보여 줄 뿐이다. 그러므로 근본적인 가난의 문제보다는 하층민의 삶의 애환을 비극적으로 다루는 수준에 머물고 말았다.
문체면에서 볼 때, 이 작품은 작가의 가라앉은 시선을 잘 보여 준다. 아이의 죽음이라는 극한적 결말에도 불구하고 배경과 상황을 처리하는 작가의 시선은 차라리 냉정한 쪽이다. 특히, 결말 부분에서 황 서방의 절규와는 상관없이 "하늘은 그저 먹장이요, 빗소리 속에 개구리와 맹꽁이 소리뿐이다."라고, 결코 흥분하지 않는 문체로 서술하고 있다.
줄거리
심성이 착한 황 서방은 서울에서 행랑살이를 하다가 첫아들을 보자 어서 돈을 모아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그래서 아내와 아이를 행랑살이하던 주인집에 맡겨 놓고 인천 월미도로 내려와 신축 공사장에서 모간꾼 노릇을 한다. 한동안 돈도 벌고 먹고 싶은 것도 사 먹었으나 이것도 잠시뿐, 계속되는 장마로 인해 공사는 중단되고 돈만 까먹으며 비가 그치기만을 기다린다.
황 서방보다 훨씬 젊은 그의 아내는 바람이 나서 가출하고 남은 아이들은 굶주림과 병에 시달리게 된다. 더구나, 젖먹이 아들은 병에 걸려 죽어 간다. 이를 보다 못한 주인 영감이 아이들을 월미도 공사장에 이끌고 내려와 황 서방에게 넘기고 가 버린다.
어린아이를 안고 허둥지둥 병원을 찾았으나 아이의 병세는 매우 위독하여 오늘밤을 못 넘기겠다고 한다. 공사장으로 돌아온 황 서방은 새로 지은 집에 주인이 들어오기도 전에 시체를 내갈 수 없다는 권 서방의 생각에 동의하며 비 내리는 밤길에 죽어가는 아이를 안고 나온다.
동료인 권 서방과 함께 아이가 빨리 죽기를 기다리지만 아이는 금방 죽을 것 같으면서도 쉬 숨이 끊어지지 않는다. 둘은 주안 쪽을 향해 걷다가 아이의 숨이 끊어졌다고 판단하여 산비탈에 구덩이를 파고 아이를 묻으려 한다. 순간 아이의 목숨이 아직도 붙어 있음을 알고 권 서방은 놀란다.
한참을 기다린 끝에 아이가 죽자 구덩이에 아이를 묻고, 황 서방은 "내 이년을 그예 찾아 한 구뎅에 처박구 말 테여."라고 외치며 통곡한다. 어둠과 빗줄기 속에 황 서방은 주저앉아 버리고, 개구리와 맹꽁이 소리만 들려 올 뿐이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