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바다 2- 정지용

by 송화은율
반응형

2

- 정지용

 

 

바다는 뿔뿔이

달아나려고 했다.

 

푸른 도마뱀 떼같이

재재발렀다.

 

꼬리가 이루

잡히지 않았다.

 

흰 발톱에 찢긴

산호(珊瑚)보다 붉고 슬픈 생채기!

 

가까스로 몰아다 부치고

변죽을 둘러 손질하여 물기를 씻었다.

 

이 애쓴 해도(海圖)

손을 씻고 떼었다.

 

찰찰 넘치도록

돌돌 구르도록

 

휘동그란히 받쳐 들었다!

지구(地球)는 연()잎인 양 오므라들고 …… 펴고 …….

(시원 5, 1935.12)


<감상의 길잡이>

<바다> 연작시 10여편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이 작품은 정지용의 초기시 특징의 하나인 선명한 이미지 제시를 위한 시작 방법을 엿볼 수 있다. 지용은 여러 감각적 이미지 중 시각적 이미지를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또한 그 이미지를 직조해 내기 위해 직유법을 즐겼다. 그리고 직유에 사용된 보조 관념(vehicle)은 동물계의 자연물이 많이 등장한다. 이렇게 그가 직유를 즐기고 동물계 보조 관념을 많이 사용한 까닭은 움직이는 상태, 즉 동적 세계를 형상화하기 위함이라 할 수 있다. 정지해 있지 않고 부단히 움직이는 세계는 외부로 열려진 세계이고 밖으로 확산되는 세계이다. 그렇다면 그가 <바다>라는 연작시에 집착했던 이유는 보다 분명해진다. 결국 바다는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에서 볼 수 있었던 것처럼, 개화기부터 일제하에 이르기까지 서구에 대한 동경과 새로운 것의 갈망이라는 지식인들의 정신 편향을 드러내는 상징적 사물로 지용에게도 역시 예외가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파도가 밀려오는 푸른 바다의 모습을 놀랄 만큼 신선하고 신비로운 이미지로 제시하고 있는 이 시는 14연의 앞 단락에서는 바다의 역동적 모습을, 58연의 뒷 단락에서는 해안선까지 확대된 시인의 시선을 통해 바다를 총체적으로 관찰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먼저 끊임없이 밀려왔다가 밀려가는 파도의 모습을 뿔뿔이 / 달아나려고, 파도가 뭍에 부딪쳐 흩어지는 모습을 푸른 도마뱀 떼, ‘꼬리가 이루 / 잡히지 않을 만큼 빠른 파도의 움직임을 재재발렀다, 하얗게 부서지는 포말(泡沫)흰 발톱으로 형상화함으로써 바다를 투시하던 시인의 혜안(慧眼)은 아득히 먼 곳으로부터 달려왔다가 해변에 이르러 하얗게 부서져 쓰러지는 파도의 기진한 모습에서 산호보다 붉고 슬픈 생채기!’를 발견하게 된다. 따라서 바다가 가까스로 몰아다 부치고 / 변죽을 둘러 손질하여 물기를 씻는 것으로 생각하는 시인은 마침내 자신의 상상으로 조형한 해도(海圖)를 총체적으로 그려 보여 준다. ‘찰찰돌돌이라는 첩어를 통해 충만하고 경쾌한 바다를 제시하는 한편, 바다에 둘러싸인 지구를 바다가 지구를 떠받들고 있는 것으로, 또한 바다에 둘러싸인 지구가 마치 연잎처럼 오므라들기도 펴지기도 하는 것으로 해도를 그리는 데까지 나아간다. 이렇게 하여 바다에 대한 단순한 인식 차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시인은 바다와 하나가 된 무아경(無我境)의 세계에서 바다를 응시함으로써 바다에서 도마뱀을 찾아내고 꼬리흰 발톱’, 나아가 육지를 떠받들고 있는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기에 이른 것이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