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의 성분
by 송화은율
1.문장의 성분
(1) 문장 성분의 성립
1) 문장의 골격과 성분
① 문장의 골격 : 국어의 기본 문장은 서술어의 성질에 따라 나뉨.
‘무엇이 어찌한다’ - 서술어가 동사. 순이가 운다.
‘무엇이 어떠하다’ - 서술어가 형용사. 하늘이 푸르다.
‘무엇이 무엇이다’ - 서술어가 체언+서술격조사. 철수가 학생이다.
② 문장의 성분 : 어느 어절이 다른 어절이나 단어에 대해 갖는 관계. 한 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들.
2) 문장 성분의 갈래
① 주성분 : 문장의 골격을 이루는 필수적 성분.
주어 - ‘무엇이’에 해당하는 말.
서술어 - ‘어찌한다, 어떠하다, 무엇이다’에 해당하는 말.
목적어 - ‘무엇을, 누구를’에 해당하는 말.
보어 - ‘무어가’에 해당하는 말.
② 부속 성분 : 주성분의 내용을 꾸며주는 구실의 수의적 성분.
관형어 - 체언을 수식하는 말.
부사어 - 용언을 한정하는 말.
③ 독립 성분 : 주성분이나 부속 성분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이 그 문장에서 따로 떨어진 수의적 성분.
* 독립어 - 문장의 어느 성분과도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말.
3) 문장 성분의 재료
① 단어 - 자립할 수 있는 말.자립 형태소에 붙으며 쉽게 분리되는 말.
문 +밖 +에 +아주 +새 +차 +가 +한 +대 +서 +있다
② 구(句) - 중심이 되는 말과 그것에 부속되는 말들을 한데 묶은 것.
대개 중심이 되는 말의 품사와 일치한다.
명 사 구 : 명사와 그에 딸린 말들의 묶음. 우리 삼천만 겨레는
동 사 구 : 동사와 그에 딸린 말들의 묶음. 꽃이 활짝 피었다.
형용사구 : 형용사와 그에 딸린 말들의 묶음. 그녀는 매우 아름답다.
관형사구 : 관형사와 그에 딸린 말들의 묶음. 겨우 세 사람이
부 사 구 : 부사와 그에 딸린 말들의 묶음. 매우 빨리 뛰어간다.
독립어구 : 독립어와 그에 딸린 말들의 묶음. 빠른 경제 발전, 우리의 지상 과제이다.
③ 절(節) - 하나의 온전한 문장이 한 문장의 재료가 되는 것.
명사절 : 명사와 같은 구실. 농사가 잘 되기를 바란다.
서술절 : 서술어와 같은 구실. 그는 아들이 의사다.
관형절 : 관형어와 같은 구실. 책을 빌려준 기억이 없다.
부사절 : 부사어와 같은 구실. 소리도 없이 다가온다.
인용절 : 남의 말을 인용할 때. ‘예’하고 대답했다.
* 절을 포함한 문장을 ‘안은 문장’이라고 한다.
|
구(句) 와 절(節) |
|
|
|
|
1. 어떤 성분이 생략된 관형어도 한 성분을 보충할 수 있으면 모두 ‘절(節)’로 본다. 도서관은 책을 읽는 학생들로 가득하다. (학생들이) - 주어 생략 철수가 그린 풍경화가 전람회에서 1등으로 뽑혔다. (풍경화를) - 목적어 생략 넓은 밭에는 보리가 누렇게 익어 가고 있다. (밭이) - 주어 생략 2. 관형절을 안은 문장을 둘로 나누면 각각 완전한 문장이 되나, 체언을 꾸미는 말로 분리하여 완전한 문장이 되지 못하면 ‘(명사)구’이다. 저 새 차는 비싸다. 검은 빛깔의 자동차가 많다. |
4) 주어부와 서술부
① 주어부 : 주어 또는 주어와 그에 딸린 부속 성분의 부분.
우체국이 학교에서 가깝다.
철희는 그림을 잘 그린다.
저 붉은 건물이 학교다.
② 서술부 : 서술어 또는 서술어와 그에 딸린 부속 성분 및 목적어, 보어의 부분.
철수가 새 동화책을 읽고 있다.
그가 노벨상을 타게 됐다는 것이 밝혀졌다.
5) 주어부와 서술부의 확대
① 주어부의 확대 : 주어 앞에 여러가지 말을 붙여 확대함.
관형어의 첨가 : 아름다운 꽃이 피었다.
체언의 병렬 연결 : 앞산과 뒷산이 모두 하얗다.
관형절의 첨가 : 영희가 본 사람이 철수였다.
② 서술부의 확대 : 서술어 앞에 여러 가지 말을 붙여 서술어에 딸린 부분을 만들 수 있다.
③ 주어부와 서술부의 구분 : 한 문장 안에서 주어까지가 주어부, 그 뒷부분이 서술부.
(2) 주성분(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1) 주어 : 한 문장의 주체를 나타내며, 서술어에 대하여 ‘무엇이, 누가’라는 관계를 가짐.
① 주어의 성립 : 체언 + 주격 조사
② 주어는 서술어보다 생략이 잘됨. (특히 구어체에서)
③ 주어는 다른 성분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할아버지께서는 시조를 잘 읊으시었다.
저 사람은 너무 자기만 아껴.
④ ‘에서’는 단체적 의미를 띠는 무정 명사에 붙는다.
학교에서 , *3학년 학생들에서
2) 서술어 : 주어를 서술하는 말.
① 서술어의 성립 : 동사, 형용사, 서술격 조사의 종결형으로 성립됨.
체언(명사구 또는 명사절) + 서술격 조사 ; 철수는 학생이다.
용언의 연결형 ; 날씨가 이렇게 추운데, 오늘 행사는...
용언의 관형사형 ; 시가 이렇게 아름다운 사실을 몰랐다.
용언의 명사형 ; 충무공이 거북선을 만들었음이 ...
서술절 ; 저 아이는 키가 작다.
② 체언에서 서술격 조사 ‘이다’를 생략하기도 한다. 여기는 자유의 땅.
③ 용언에서 접미사 ‘하다’를 생략하기도 한다.
우리 탁구 세계 제패(신문 기사의 표제, 광고문, 시 등)
④ 서술격 조사를 붙여 다양하게 서술어를 만들기도 한다.
철수가 알고 싶은 것은 성적이 높으냐이다.
⑤ 연결형이나 명사형으로 끝맺기도 한다.
철수가 그 책을 가졌었는데. 독일 국민에게 고함.
⑥ 서술어의 자릿수
㈀ 한 자리 서술어 : 주어 한 자리만 필요로 함.(자동사, 형용사)
새가 운다. 꽃이 붉다.
㈁ 두 자리 서술어 : 주어 이외에 또 하나의 필수적 문장 성분을 요구함.(타동사)
⇒ 주어+목적어/보어/필수부사어
나는 물을 마셨다. 물이 얼음이 된다.
그는 서울 지리에 밝다. 이곳의 기후는 농사에 적합하다.
㈂ 세 자리 서술어 : 주어 이외에 두개의 필수적 문장 성분을 요구.
주격, 목적격 조사 이외의 격조사를 가진 문장 성분이 필요하다.
(수여 동사 - 주다, 보내다) ⇒ 주어 + 목적어 + 목적어/필수 부사어
내가 너에게 선물을 주겠다. 순이가 나를 손을 잡아끈다.
⑦ 서술어 쓰임의 제한
㈀ 용언은 특정한 종류의 체언을 요구하기도 한다.
철수는 눈을 감았다. 영수는 입을 다물었다.
㈁ 용언은 어떤 말과는 어울리고, 어떤 말과는 어울리지 않는다.
아기가 운다.웃는다. 우유를 마신다. 웃어른을 공경하자.
> 유정 명사 > 액체, 기체 > 높임을 나타내는 명사
|
자릿수를 달리하는 서술어 |
|
|
|
|
1. 용언의개별적특성에 따라 - - 양양(兩樣) 동사 아이들이 즐겁게 논다. 날씨가 참 좋다. ⇒한 자리 서술어 아이들이 윷을 논다. 나는 네가 더 좋다. ⇒두 자리 서술어 2. 타동사라 하더라도 때에 따라 두 자리 서술어도 되고 세 자리 서술어도 된다. 아이가 과자를 먹는다. ⇒ 두 자리 서술어 누나가 내 옷에 단추를 달았다. ⇒ 세 자리 서술어 |
3) 목적어 : 행위의 대상이 되는 말로 타동사로 표현된다.
① 목적어의 성립 : ‘을/를’이 붙으면 무조건 목적어 취급.
㈀ (체언/ 명사의 성격을 띤 구와 절/ 문장) + 목적격 조사
㈁ 조사 없이 명사만으로 성립. 그 문제 못 풀었다.
㈂ 보조사 중에서 목적격 조사를 취하는 것도 있다.
㈃ 극히 제한된 서술어에 한하여 방향이나 처소를 나타내는 말이 의미 없이 목적격 조사를 취하기도 한다.(의미상 부사어이다.)
너 어디에 가니? ⇒ 너 어디를 가니?
기차를 내렸다. 영희가 예쁘지를 않다. 몸이 좋지를 못하다.
㈄ 목적어와 서술어 사이에 부사어가 개입하기도 한다.
㈅ 목적어 자리에 목적격 조사 대신 보조사가 와도 의미상 ‘을/를’로 바꿀 수 있으면 목적어이다.
㈆ 때로는 목적어답지 않은 말이 목적격 조사를 취하여 목적어 노릇을 한다.
매를 때렸다.
② 목적어의 겹침 - 한 문장에서 목적어가 하나 이상일 수도 있다.
어머니께서 나에게 용돈을 천원을 주셨다.
(둘째 번 목적어가 첫째 목적어의 수량을 나타냄.)
순이가 철수를 손을 잡아끈다.
(둘째 번 목적어가 첫째 목적어의 한 부분임.)
그가 나를 더 좋은 것을 주었다.
(처소를 나타내는 말에 첫째 목적어가 별 의미 없이.)
4) 보어 : 완전하지 않은 문장을 완전한 문장으로 만들기 위하여 보충하는 어절.
두 자리 서술어인 ‘되다, 아니다’ 앞에 필수적으로 요구 되는 성분.
(‘주어+보어+서술어’의 구조를 지님.)
** 보어의 성립 :
㈀ 보어를 만드는 격조사로 ‘-이, -가’가 있다.
물이 얼음이 되다.(‘무엇이’),
나는 바보가 아니다.(‘누가’) (체언 + 보격조사)
지금은 말할 때가 아니다. (명사구 + 보격조사)
너는 감기가 든 것이 아니다. (명사절 + 보격조사)
㈁ ‘-만, -도, -는’의 보조사도 보어를 만든다.
그가 원래부터 나쁜 사람은 아니다.
㈂ 용언의 명사형 ; 휴식을 충분히 취함은 아니다.
(3) 부속 성분(관형어, 부사어)
1) 관형어 : ‘어떤’에 해당하는 말.
① 관형어의 성립 : 관형사, 체언+(관형격 조사), 용언의 관형사형.
② 관형격 조사 ‘의’를 붙임. ⇒ ‘의’의 쓰임이 다양하다. 다의적이다.
③ 관형사형의 기능 :
㈀ 시간을 자유롭게 표현한다. -는, -(으)ㄴ, -(으)ㄹ, -던
㈁ 대체로 용언의 관형사형이 관형어가 될 때에는, 꾸밈을 받는 체언이 용언의 주어, 목적어, 부사어 가 되고, 관형사형은 서술어가 된다.
빨간 장미를 ⇒ 장미가 빨갛다.
지은 시가 ⇒ 시를 지었다.
그가 태어난 1955년은 ⇒ 1955년에 태어났다.
④ 관형어의 특징 :
㈀ 부사어는 단독으로 쓰이나, 관형어는 단독으로 쓰이지 못함.
이것이 헌 신이냐, 새 신이냐? ⇒ *헌 , *새 (관)
천천히 갈까요, 빨리 갈까요? ⇒ 천천히 , 빨리 (부)
㈁ 부사어는 대체로 용언 앞에 놓이나, 관형어는 체언 앞에만 놓임.
⑤ 관형어의 겹침 :
㈀ ‘지시 관형어 → 수 관형어 → 성상 관형어’의 순서로 놓임.
저 두 젊은 남녀는 부부다.
㈁ 관형어 뒤에 체언으로 된 관형어(체언+‘의’)가 쓰일 때에는 반점(, )을 써서 꾸밈을 받는 말을 분 명히 해야 한다.
훌륭한, 우리나라의 부모님을 보시오.(부모님 수식)
훌륭한 우리나라의 부모님을 보시오.(우리나라 수식)
2) 부사어 : ‘어떻게’에 해당하는 말.
① 부사어의 성립 : 부사, 체언+부사격조사, 부사적 성격을 띤 의존 명사구
② 부사격 조사 : 처소, 도구, 자격, 지향점, 원인, 공동, ‥‥‥
③ 부사어의 갈래 :
㈀ 성분 부사어 - 특정한 성분을 수식하는 부사어.
어서 떠납시다. 너무 아프다. 아주 새 차다.
아주 많이 팔렸다. 겨우 셋이 덤비겠어.
㈁ 문장 부사어 - 문장 전체를 꾸며 주는 부사어. 말하는 이의 태도를 반영한다.
과연, 다행스럽게도, 확실히, 의외로
④ 부사어의 특징 :
㈀ 보조사를 비교적 자유롭게 취함.
㈁ 자리를 자유롭게 옮길 수 있으나 다른 부사어나 관형어, 체언을 꾸밀 때에는 어렵다.
㈂ 부정 부사어(‘아니, 못’) 도 자리를 옮기지 않는다.
㈃ 관형어와는 달리, 주어진 문맥 속에서 단독으로 쓰인다.
이곳에 자주 오시나요, 가끔 오시나요? 가끔.
⑤ 필수적 성분의 부사어
- 서술어가 되는 용언의 특성에 따라 부사어를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것이 있다.
㈀ ‘같다, 다르다, 비슷하다, 닮다, 틀리다, ‥‥’등은 ‘체언+과/와’로 된 부사어가 필요하다.
이 그림이 실물과 똑같군요.
㈁ ‘넣다, 드리다, 두다, 던지다, 다가서다, ‥‥’등은 ‘체언+에/에게’로 된 부사어가 필요하다.
이 편지를 우체통에 넣어라.
㈂ 수여 동사는 목적어 이외에 ’체언+에게‘로 된 부사어가 필요하다.
순이가 너에게 무엇을 주더냐?
㈃ ‘삼다, 변하다’는 ‘체언+(으)로’로 된 부사어가 필요하다.
할아버지는 조카를 양자로 삼으셨다.물이 얼음으로 변하였다.
㈄ 이외에도 특정 용언은 ‘체언+부사격조사’로 된 부사어가 필요하다.
여기다, 다니다, 주다, 부르다, 하다, 못하다, 바뀌다, 속다,
제출하다, 맞다, 적합하다, 선출하다, 어울리다, (-으로) 만들다,
일컫다, (-이라) 이르다, (-와) 의논하다, (-에서) 살다
(4) 독립 성분 (독립어)
1) 독립어 : 한 문장 안에서 다른 문장성분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성분.
2) 독립어의 성립
㈀ 감탄사, 체언(유정명사) + 호격조사,
㈁ 제시어(표제어), 접속 부사 (‘및, 또는’은 제외)
어머니, 아직 촛불을 켤 때가 아닙니다.
㈂ 명령어나 의지를 표현하는 말이 일어문(一語文) 을 만들 때.
조용히! 어서! 싫어!
㈃ 감탄사는 모두 독립어가 되나, 독립어가 모두 감탄사는 아니다.
|
문장 부사와 독립어 |
|
|
|
|
독립어는 꾸밈을 받는 말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나, 문장부사는 직접적인 관련이 있음. 불행하게도 사고를 당했다.⇒사고를 당한 것이 불행하다. 문장부사 |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