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명정사십년(酩酊四十年) / 본문 일부 및 해설 / 변영로

by 송화은율
반응형

명정사십년(酩酊四十年) / 변영로

 

 본문

백주(白晝)에 소를 타고

역시 혜화동 우거(寓居)에서 지낼 때이었다. 어느 하룻밤 바커스(Bacchus)의 후예(後裔)들인지, 유명의 직손들인지는 몰라도 주도의 명인들인 공초, 성제, 횡보 주 삼선(三仙)이 내방하였다. 설사 주인이 불주객이란 대도 이런 경우를 당하여서는 별도리가 없었을 것은 거의 상식 문제인데, 주인이랍시고 나 역시 술마시기로는 결코 그들에게 낙후되지 않는 처지로, 그야말로 불가무(不可無) 일배주(一杯酒)이었다.

 

하나, 딱한 노릇은 네 사람이 주머니를 다 털어도 불과 수삼원, 그때 수삼원이면 보통 주객인 경우에는 삼, 사인이 해갈(解渴)함직하였으나 오배 사인에 한하여서는 그런 금액쯤은 유불여무(有不如無)였다. 나는 아무리 하여도 별로 시원한 책략이 없어 '궁(窮)하면 통한다'는 원리와는 다르다 해도 일개의 악지혜(惡智慧)-그실 악은 없지만 안출하였다. 동내에서 모인집 사동(使童) 하나를 불러다가 몇 자 적어 화동 납작집에 있던 동아일보사로 보내었다. 당시 동아일보사의 편집국장은 고(故) 고하(古下, 송진우)였는데, 편지 사연은 물을 것도 없이 술값 때문이었다. --- 좋은 기고를 하여 줄 터이니 오십 원을 보내 달라는 - 우리는 아이를 보내 놓고도 마음이 여간 조이지를 않았다. 혹, 거절을 당한다든지 하면 어찌나 함이었다. 십분, 이십분, 삼십분, 한시간, 참으로 지리한 시간의 경과이었다. 마침내 보냈던 아이가 손에 답장을 들고 오는데 우리 4인의 시선은 약속이나 한 것같이 한군데로 집중되었다. 직각도 직각이지만, 봉투 모양만 보아도 빈 것은 아니었다. 급기 뜯어 보니 소기(所期)대로, 아니 소청(所請)대로 50원, 우화(寓話) 중의 업오리 금알 낳듯 하였다.

 

이제부터 이 50원을 어떻게 유효 적절하게 쓰느냐는 공론이었다. 그 때만 해도 50원이면 대금이라 아무리 우리 넷이 술을 잘 먹는대도 선술집에 가서는 도저히 비진(費盡)시킬 수 없었던 반면에, 낮부터 요정에를 가서 서둘다가는 안심 안 될 정도였다.

 

끝끝내 지혜(선악간에)의 공급자는 나로서 나는 야유(野遊)를 제의한 바, 일기도 좋고 하니 술 말이나 사고 고기 근이나 사 가지고 나 있는 곳에서 지척인 사발정 약수터(성균관 뒤)로 가자 하니 일동 낙(諾)타 하였다. 그리하여 우리 일행은 명륜동에 있는 통신중학관(고 강상희 군이 경영하는)으로 가서 그곳 하인 어서방(魚書房)을 불러 내어 이러저리 하라, 만사를 유루(遺漏)없이 분부하였다. (하략)

 

 요점 정리

 작자 : 변영로

 형식 : 수필

 성격 : 일화적

 주제 : 개인의 주사(酒史)에 얽힌 일화

 

 내용 연구

 명정(酩酊) : 정신을 차리지 못할 정도로 술을 마심

 공초 : 오상순 호

 성제 : 이관구 호

 횡보 : 염상섭 호

 고하 : 송진우의 호

 불가무 : 없어서는 안 된 ( = 불가결 )

 유불여무 : 있어도 없는 것과 같음

 

 이해와 감상

 이 명정기에 주정이 없다 하면 평자 자신이 숙취중(宿醉中)이란 말을 들을 것이다. 광태라고 부를 만한 실행(失行)도 없지 않다. 하지만 원칙적으로 작폐(作弊)의 주정이 아니다. 더러 결정적 실수가 있었다 해도 웃을 수 있는 실수다. 경음(鯨飮, 고래같이 마심)하는 거인(巨人)의 실태(失態)라서 트로이의 영웅들이 총동원해서 이루는 전쟁기를 연상시킨다. 웃는 낯에 침 못 뱉는다고 한 것처럼 웃을 수 있는 실태에 험구(險口,험담)를 늘어 놓을 수 없다. 희극의 주인공이 늘 사랑받는 것과 같은 이치다. 작폐가 없으면 깨끗한 주정이다. 거기다 웃음마저 곁들였으니 금상첨화의 주정이다.  <변영로론>

 

글 김열규

 심화 자료

 

 바커스(Bacchus)

 로마 신화에서는 바코스(Bachos)라고 한다. 바카스 ·바쿠스 ·바커스 등으로도 불린다. 제우스와 세멜레의 아들. 제우스의 사랑을 받는 세멜레를 질투한 제우스의 비(妃) 헤라가 세멜레를 속여서 제우스가 헤라에게 접근할 때와 똑같은 모습으로 나타나게 해 달라는 소원을 하도록 세멜레에게 권하였다. 어떤 소원이라도 들어 주기로 약속한 바 있는 제우스는 본의는 아니지만 번개의 모습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세멜레는 그 자리에서 타죽었다. 그러나 태내에 있던 디오니소스는 살아나 제우스의 넓적다리 속에서 달이 찰 때까지 자란 끝에 태어났다. 이렇게 태어난 디오니소스는 니사의 요정(님프)의 손에서 자란 후로 각지를 떠돌아다녔는데, 이것은 헤라가 그에게 광기(狂氣)를 불어넣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는 먼저 이집트로 갔고, 이어 시리아로 옮겼다가 아시아 전역을 떠돌아다니면서 포도재배를 각지에 보급, 문명을 전달했다고 전한다. 또한 그는 지옥에서 어머니인 세멜레를 데리고 나와 천상(天上)에 있는 신들의 자리에 앉혔다.

 

 디오니소스에 대한 신앙은 트라키아 지방으로부터 그리스로 흘러들어온 것으로 생각되며, 디오니소스는 대지의 풍요를 주재하는 신인 한편, 포도재배와 관련하여 술의 신이 되기도 한다. 이 술의 신에 대한 의식(儀式)은 열광적인 입신(入神)상태를 수반하는 것으로, 특히 여성들이 담쟁이덩굴을 감은 지팡이를 흔들면서 난무하고, 야수(野獸)를 때려죽이는 등 광란적인 의식에 의해 숭배되는 자연신이었으나, 그리스에 전해져서는 이 신의 제례에서 연극이 발생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로마 시대에 와서도 이 신앙은 계속되어 점차 비교적(秘敎的) 경향이 강해졌다. (출처 : 동아대백과사전)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