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앙정가( 仰亭歌)
by 송화은율면앙정가( 仰亭歌)
무등산 한 지맥이 동쪽으로 뻗어 있어
(무등산을)멀리 떨치고(멀리 떼어 버리고) 나와 제월봉이 되었거늘
(제월봉은) 끝없이 넓은 벌판에 무슨 생각을 하느라고
일곱 굽이가 한 곳에 움츠려 무더기무더기 벌여 놓은 듯하고
(제월봉의) 가운데 굽이는 구멍에 든 늙은 용이
선잠(풋잠)을 막 깨어 머리를 얹어 놓은 듯하니
너럭바위 위에
소나무와 대나무를 헤치고 정자를 앉혔으니
구름을 탄 청학이 천리를 가려고
두 날개를 벌리고 있는 듯.
옥천산, 용천산에서 흘러 내린 물이
정자 앞 넓은 들에 끊임없이 펴진 듯이
넓거든 길지나 말지, 프르거든 희지나 말지
두 마리의 용이 몸을 뒤트는 듯, 긴 비단을 쫙 펼쳐놓은 듯
어디로 가느라고 무슨 일이 바빠서
달리는 듯, 따르는 듯, 밤낮으로 흐르는 듯.
물 따라 펼쳐진 모래밭은 눈같이 (하얗게) 펼쳐져 있는데
어지럽게 나는 기러기는 무엇을 어르느라고
앉았다가 날았다가, 모였다 흩어졌다가 (하면서)
갈대꽃을 사이에 두고 울면서 따라다니느냐.
넓은 길 밖이요, 긴 하늘 아래
두르고 꽂은 것은 산인가, 병풍인가, 그림인가 아닌가.
높은 듯 낮은 듯, 끊어지는 듯 이어지는 듯
숨거니 보이거니, 가거니 머물거니(숨기도 하고 보이기도 하며, 가기도 하고 머물기도 하며)
어지러운 가운데 유명한 체 뽐내며(유명한 척하며) 하늘도 두려워하지 않고
우뚝이 서 있는 여러 산봉우리 가운데, 추월산이 머리를 이루고
용구산, 봉선산
불대산, 어등산
용진산, 금성산이
허공에 늘어서 있거든(허공에 벌어져 있으니)
멀리 가까이에 있는 푸른 절벽에 머문 것도 많기도 하구나.
흰 구름, 뿌연 안개와 놀, 푸른 것은 산아지랑이로구나.
수많은 바위와 골짜기를 제 집으로 삼아 두고
나면서 들면서(나오기도 하고 들어가기도 하면서) 아양도 떠는구나.
날아오르다가, 내려 앉다가(오르기도 하고 내리기도 하며)
공중으로 떠났다가, 넓은 들로 건너갔다가(먼 하늘로 떠나기도 하고 넓은 들판으로 건너가기도 하며)
푸르기도 하고 붉기도 하고, 옅기도 하고 짙기도 하고
석양과 섞이어 가랑비조차 뿌린다(뿌리느냐).
뚜껑 없는 가마를 재촉해 타고 소나무 아래 굽은 길로
오며 가며 하는 때에
푸른 버드나무에서 우는 꾀꼬리는 홍에 겨워 아양을 떠는구나.
나무와 억새풀이 우거져 녹음이 짙어진 때에
긴 난간에서 긴 졸음을 내어 펴니
물위에서 불어오는 서늘한 바람이야 그칠 줄을 모르는구나.
된서리 걷힌 후에 산빛이 수놓은 비단 같구나.
누렇게 익은 곡식은 또 어찌 넓은 들에 퍼져 있는고?
고기잡이를 하며 부르는 피리도 흥을 이기지 못하여 달을 따라 계속 부는가.(어부가 부는 피리도 흥을 이기지 못하여 달을 따라 부는가?)
초목이 다 떨어진 후에 강산이 (눈 속에)묻혔거늘
조물주가 야단스러워 얼음과 눈으로 꾸며 내니
경궁요대와 옥해은산(과 같이 아름다운 설경이)같은 설경이
눈 아래 펼쳐져 있구나
하늘과 땅도 풍성하구나. 가는 곳마다 아름다운 경치로구나.
인간 세상을 떠나와도 내 몸이 한가로울 겨를이 없다.
이것도 보려하고 저것도 들으려 하고
바람도 쐬려 하고(끌어당기려 하고), 달도 맞으려 하고
밤은 언제 줍고 고기는 언제 낚고(낚으며)
사립문은 누가 닫으며 떨어진 꽃은 누가 쓸 것인가.
아침에도 (시간이) 모자라거니(부족한데) 저녁이라고 (자연을 완상할 시간이)싫을소냐.
오늘도 (자연을 완상할 시간이)부족한데 내일이라고 (자연을 완상할 시간이)넉넉하랴.
이 산에 앉아보고 저 산에 걸어보니
번거로운 마음이지만 버릴 일이 전혀 없다.
쉴 사이도 없는 데 (이 아름다운 자연을 구경하러 올)길이나마 (사람들에게)전할 틈이 있으랴.
다만 하나의 푸른 명아주 지팡이가 다 무듸어져 가는구나.
술이 익어가니 벗이 없을 것인가
(노래를)부르게 하며, (가야금, 거문고 등의 악기를)타게 하며 (해금 등의 악기를)켜게 하며, (방울 등을)흔들며
온갖 소리로 취흥을 재촉하니
근심이라 있으며 시름이라 붙었으랴(붙어 있겠는가)
누웠다가 앉았다가 구부렸다가 젖혔다가(눕기도 하고 앉기도 하며, 구부리기도 하고 젖히기도 하며)
(시를)읊다가 휘파람을 불었다가 마음 놓고 노니
천지도 넓으며 세월도 한가하다.
복희씨도 태평성대를 모르고 지냈더니 지금이야말로 그때로구나
신선이 어떤 것인가, 이 몸이야말로 신선이로구나
아름다운 자연을 거느리고 내 한평생을 다 누리면
악양루 위에 이태백이 살아온들
넓고 끝없는 정다운 회포야 이보다 더할소냐(이것보다 더하겠느냐?)
이 몸이 이렇게 지내는 것도 역시 임금의 은혜이시도다
또 다른 해석
무등산 한 줄기 산이 동쪽으로 뻗어 있어, (무등산을) 멀리 떼어 버리고 나와 제월봉이 되었거늘, 끝 없는 넓은 들에 무슨 생각을 하느라고, 일곱 굽이가 한데 움치리어 우뚝우뚝 벌여 놓은 듯, 그 가운데 굽이는 구멍에 든 늙은 용이 선잠을 막 깨어 머리를 얹혀 놓은 듯하며,
넓고 편편한 바위 위에 소나무와 대나무를 헤치고 정자를 앉혀 놓았으니, 마치 구름을 탄 푸른 학이 천 리를 가려고 두 날개를 벌린 듯하다.
옥천산, 용천산에서 내리는 물이 정자 앞 넓은 들에 끊임없이 (잇달아) 퍼져 있으니, 넓거든 길지나, 푸르거든 희지나 말거나(넓으면서도 길며 푸르면서도 희다는 뜻), 쌍룡이 몸을 뒤트는 듯, 긴 비단을 가득하게 펼쳐 놓은 듯, 어디를 가려고 무슨 일이 바빠서 달려가는 듯, 따라가는 듯 밤낮으로 흐르는 듯하다.
물 따라 벌여 있는 물가의 모래밭은 눈같이 하얗게 펴졌는데, 어지러운 기러기는 무엇을 통정(通情)하려고 앉았다가 내렸다가, 모였다 흩어졌다 하며 갈대꽃을 사이에 두고 울면서 서로 따라 다니는고?
넓은 길 밖, 긴 하늘 아래 두르고 꽂은 것은 산인가, 병풍인가, 그림인가, 아닌가. 높은 듯 낮은 듯, 끊어지는 듯 잇는 듯, 숨기도 하고 보이기도 하며, 가기도 하고 머물기도 하며, 어지러운 가운데 유명한 체하여 하늘도 두려워하지 않고 우뚝 선 것이 추월산 머리 삼고, 용구산, 몽선산, 불대산, 어등산, 용진산, 금성산이 허공에 벌어져 있는데, 멀리 가까이 푸른 언덕에 머문 것(펼쳐진 모양)도 많기도 많구나.
흰 구름과 뿌연 안개와 놀, 푸른 것은 산 아지랭이다. 수많은 바위와 골짜기를 제 집을 삼아 두고. 나며 들며 아양도 떠는구나. 오르기도 하며 내리기도 하며 넓고 먼 하늘에 떠나기도 하고 넓은 들판으로 건너가기도 하여, 푸르락 붉으락, 옅으락 짙으락 석양에 지는 해와 섞이어 보슬비마저 뿌리는구나.
뚜껑 없는 가마를 재촉해 타고 소나무 아래 굽은 길로 오며 가며 하는 때에, 푸른 들에서 지저귀는 꾀꼬리는 흥에 겨워 아양을 떠는구나. 나무 사이가 가득하여(우거져) 녹음이 엉긴 때에 긴 난간에서 긴 졸음을 내어 펴니, 물 위의 서늘한 바람이야 그칠 줄 모르는구나.
된서리 걷힌 후에 산빛이 수놓은 비단 물결 같구나. 누렇게 익은 곡식은 또 어찌 넓은 들에 퍼져 있는고? 고기잡이를 하며 부는 피리도 흥을 이기지 못하여 달을 따라 부는 것인가?
초목이 다 떨어진 후에 강과 산이 묻혀 있거늘 조물주가 야단스러워 얼음과 눈으로 자연을 꾸며 내니, 경궁요대와 옥해은산같은 눈에 덮힌 아름다운 대자연이 눈 아래 펼쳐 있구나. 자연도 풍성하구나. 가는 곳마다 아름다운 경치로다.
인간 세상을 떠나와도 내 몸이 한가로울 겨를이 없다. 이것도 보려 하고, 저것도 들으려 하고, 바람도 쏘이려 하고, 달도 맞으려고 하니, 밤은 언제 줍고 고기는 언제 낚으며, 사립문은 누가 닫으며 떨어진 꽃은 누가 쓸 것인가? 아침나절 시간이 부족한데 (자연을 완상하느라고) 저녁이라고 싫을소냐? (자연이 아름답지 아니하랴.) 오늘도 (완상할) 시간이 부족한데 내일이라고 넉넉하랴? 이 산에 앉아 보고 저 산에 걸어 보니 번거로운 마음이면서도 아름다운 자연은 버릴 것이 전혀 없다. 쉴 사이가 없는데(이 아름다운 자연을 구경하러 올) 길이나마 전할 틈이 있으랴. 다만 하나의 푸른 명아주 지팡이가 다 못 쓰게 되어 가는구나.
술이 익었거니 벗이 없을 것인가. 노래를 부르게 하며, 악기를 타게 하며, 악기를 끌어당기게 하며, 흔들며 온갖 아름다운 소리로 취흥을 재촉하니, 근심이라 있으며 시름이라 붙었으랴. 누웠다가 앉았다가 구부렸다 젖혔다가, 시를 읊었다가 휘파람을 불었다가 하며 마음 놓고 노니, 천지도 넓고 넓으며 세월도 한가하다. 복희씨의 태평성대를 모르고 지내더니 이 때야말로 그것이로구나. 신선이 어떻던가 이 몸이야말로 그것이로구나.
江山 風月 거느리고 (속에 묻혀) 내 평생을 다 누리면 악양루 위에 이백이 살아온다 한들 넓고 끝없는 정다운 회포야말로 이보다 더할 것인가.
이 몸이 이렇게 지내는 것도 역시 임금의 은혜이시도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