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화찬(梅花讚) / 본문 및 해설 / 김진섭
by 송화은율매화찬(梅花讚) / 김진섭
나는 매화를 볼 때마다 항상 말할 수 없이 놀라운 감정에 붙들리고야 마는 것을 어찌할 수가 없으니, 왜냐하면, 첫째로 그것은 추위를 타지 않고 구태여 한풍(寒風)을 택해서 피기 때문이요, 둘째로 그것은 그럼으로써 초지상적(超地上的)인, 비현세적인 인상을 내 마음 속에 던져 주기 때문이다.
가령, 우리가 혹은 눈 가운데 완전히 동화된 매화를 보고, 혹은 찬 달 아래 처연(悽然)히 조응된 매화를 보게 될 때, 우리는 과연 매화가 사군자의 필두(筆頭)로 꼽히는 이유를 잘 알 수 있겠지만, 적설(積雪)과 한월(寒月)을 대비적 배경으로 삼은 다음에라야만 고요히 피는 이 꽃의 한없이 장엄하고 숭고한 기세에는, 친화(親和)한 동감(同感)이라기보다는 일종의 굴복감을 우리는 품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니, 매화는 확실히 춘풍이 태탕( 蕩)한 계절에 난만(爛漫)히 피는 농염한 백화(百花)와는 달라, 현세적인, 향락적인 꽃이 아님은 물론이요, 이 꽃이야말로 이 세상에서 우리가 찾을 수 있는 가장 초고(超高)하고 견개( 介)한 꽃이 아니면 안 될 것이다.
모든 것이 얼어붙어서 찬 돌같이 딱딱한 엄동(嚴冬), 모든 풀, 온갖 나무가 모조리 눈을 굳이 감고 추위에 몸을 떨고 있을 즈음, 어떠한 자도 꽃을 찾을 리 없고 생동(生動)을 요구할 바 없을 이 때에, 이 살을 저미는 듯한 한기를 한기로 여기지 않고 쉽사리 피는 매화, 이는 실로 한때를 앞서서 모든 신산(辛酸)을 신산으로 여기지 않는 선구자의 영혼에서 피어 오르는 꽃이랄까?
그 꽃이 청초하고 가향이 넘칠 뿐 아니라, 기품과 아취가 비할 곳 없는 것도 선구자적 성격과 상통하거니와, 그 인내와 그 패기와 그 신산에서 결과(結果)된 매실(梅實)은 선구자로서의 고충을 흠뻑 상징함이겠고, 말할 수 없이 신산한 맛을 극(極)하고 있는 것마저 선구자다워 재미있다.
매화가 조춘 만화(早春萬花)의 괴(魁)로서 엄한(嚴寒)을 두려워하지 않고 발화하는 것은, 그 수성(樹性) 자체가 비할 수 없이 강인(强靭)한 것을 말하는 것으로, 이 동양고유의 수종이 그 가지를 풍부하게 뻗치고 번무(繁茂)하는 상태(狀態)를 보더라도, 이 나무가 다른 과수(果樹)에 비해서 얼마나 왕성한 식물인가 하는 것을 알 수 있거니와, 그러므로 또한 매실이 그 독특한 산미(酸味)와 특종의 성분을 가지고 고래로 귀중한 의약(醫藥)의 자(資)가 되어 효험(效驗)이 현저한 것도 마땅한 일이라 할밖에 없다.
여하간에 나는 매화만큼 동양적인 인상을 주는 꽃을 달리 알지 못한다. 특히 영춘(迎春) 관상용(觀賞用)으로 재배되는 분매(盆梅)에는 담담한 가운데 창연(蒼然)한 고전미가 보이는 것이 말할 수 없이 청고(淸高)해서 좋다.
작자 : 김진섭(金晋燮 1903-?)
갈래 : 중수필
성격 : 주관적. 사색적. 주정적
문체 : 만연체
제재 : 매화
주제 : 매화 예찬
출전 : 월간 '여성' 3월호(1939)
구성 :
기(처음 - 피어오르는 꽃이랄까?) 매화에 대한 경탄과 매화의 기품
서(그 꽃이 청초하고 - 일이라 할밖에 없다.) 매화의 속성, 수성, 효용
결(여하간에 - 끝) 매화의 인상
찬(讚) : 남의 아름다운 행적이나 서화를 일컬어 기리는 글
초지상적(超地上的) : 땅 위에서 이루어지는 보편적인 것을 벗어난
비현세적(非現世的) : 현실의 것이 아닌
동화(同化)된 : 성질이 같게 된
처연(悽然)히 : 마음이 쓸쓸하고 처량하게
조응(照應) : ①두 개의 물건이 서로 대응함. ②원인에 따라서 결과가 생김. 여기서는 서로 대응이 되어 조화를 이룸의 뜻
필두(筆頭) : 단체, 기관, 사물 따위의 우두머리. 서열의 첫머리라는 뜻
태탕( 蕩)한 : 봄의 경치가 화창한
난만(爛漫)히 : 화려한 광채가 넘쳐 흐르는 모양
농염(濃艶)한 : 화사하리만큼 아름다운
백화(百花) : 여러 가지 꽃
초고(超高)하고 : 혼자 뛰어나게 높고. 아주 품위가 높아 천하지 않고
엄동(嚴冬) : 몹시 추운 겨울
신산(辛酸) : ① 세상살이의 쓰라림. ② 맛이 맵고 심
청초(淸楚)하고 : 말쑥하며 깨끗하고
가향(佳香) : 아름다운 향기
기품(氣品) : 고상하게 보이는 품위
아취(雅趣) : 고상하고 담박한 정취. 아담한 정취
상통(相通) : 서로 통함
패기(覇氣) : ① 패자가 가질 수 있는 늠름한 기상. ② 어떠한 어려운 일이라도 해낼 수 있는 자신감과 기백
흠뻑 : 모자람이 없이 넉넉하게
극(極)하고 : 아주 심하여 더할 수 없는 정도에 이르고
조춘만화(早春萬花) : 이른봄에 피는 온갖 꽃
괴(魁) : 사물의 중요한 정도로 본 우두머리. 으뜸
발화(發花) : 꽃이 핌
수성(樹性) : 나무의 성질
강인(强靭) : 억세고 질김
번무(繁茂)하는 : 풀과 나무들이 번식하여 무성한. 번성하는
산미(酸味) : 신맛
고래(古來)로 : '자고이래(自古以來)'의 준말. 예로부터 지금까지
자(資) : 약재. 재료
효험(效驗) : 일의 보람. 작용의 좋은 보람
영춘(迎春) : 봄을 맞이함
관상용(觀賞用) : 보고 감상하여 즐기는 데 쓰이는 것
분매(盆梅) : 화분에 심어 가꾼 매화 나무
담담(淡淡)한 : 빛이 엷고 맑은. 욕심이 없이 조촐한
창연(蒼然)한 : ①물건이 오래 되어 예스러운 빛이 그윽한. ②빛깔이 새파란. ③날이 어두운 뒤의 그 빛이 아늑한
고전미(古典美) : 옛 것에서 풍기는 은근한 맛
청고(淸高)해서 : 맑고 고결해서
말할 수 없이 놀라운 감정에 붙들리고야 마는 : 더할 수 없이 큰 감동을 받게 되는. 매화에 대한 경탄.
한풍을 택해서 피기 때문이요. : 지상의 다른 꽃들은 모두 시들어 버리는 겨울철에 역경, 시련, 고난에 굴복하지 않고 오히려 그것에 도전해 꽃을 피워 자신의 진가(眞價)를 드러내기 때문이요. 한풍을 택해 → 찬바람이 부는 겨울을 택해(의인법)
눈 가운데 완전히 동화된 매화 : 눈의 기질과 아름다움을 완전히 닮아 그것과 하나가 되어 그 조화의 극치를 이루고 있는 매화. 설경(雪景)을 배경으로 하여 핀 매화의 아름다움
찬 달 아래 처연히 조응된 매화. : 겨울날 차디찬 달빛을 받으며 쓸쓸하고도 구슬프게 달과 서로 짝을 이루고 있는 매화.
매화가 사군자의 필두로 꼽히는 이유 : 매(梅), 난(蘭), 국(菊), 죽(竹)의 사군자 중 매화를 넷 중에서 가장 먼저 손꼽는 까닭. 필두가 되는 까닭은 매화의 초고, 견개한 그리고 고결한 기품 때문임을 뜻함
적설과 한월을 대비적 배경으로 삼은 : 하얗게 쌓인 눈과, 그리고 차디찬 달빛을 서로 맞대어 배경으로 한, 즉 땅 위에 쌓인 백설과 하늘에서 비치는 차디찬 달빛이 서로 조응을 이루는 가운데. 여기서 '대비적'이란 말은 약간 어색한 쓰임인데 이는 곧 눈과 달이 매화에 대하여 대비적 분위기를 조성하여 주는 배경이 된다는 말. 적설(눈)와 한월(달)이 서로 대비적 관계는 있다는 뜻이 아님에 유의할 것
그 인내와 그 패기와 그 신산에서 결과된 매실 : 추위를 견디어 낸 인내와 엄동에서 피는 기상과, 추위의 고초를 극복하고 맺어진 매화 열매. 매실(시련과 고초를 극복한 결과로 얻은 보람)
선구자로서의 고충을 흠뻑 상징함이겠고 : 앞서가는 사람이 겪는 괴로움을 흠뻑 간직할 것이고. 매화가 봄철에 앞서 피기까지의 역경(선구자[비유] → 연상적 표현)
말할 수 없이 신산한 맛을 극복하고 있는 것마저 선구자다워 재미있다. : 매실의 맛이 몹시 신 것도, 매실이 다른 모든 과실에 앞서 열매를 맺기 위해 겪어야 했던 온갖 괴로움을 말해 주는 것 같아 재미있다. 매실의 맛이 신 것('온갖 고통'에 비유)
그 독특한 산미(酸味)와 특종의 성분을 가지고 고래로 귀중한 의약(醫藥)의 자(資)가 되어 효험(效驗)이 현저한 것도 마땅한 일이라 할밖에 없다. : 매실만이 지닌 색다른 신맛과 특수한 성분으로 해서 옛날부터 의약의 귀중한 약재가 되어 온 것도 당연하다. 매화의 수성이 강인하고 왕성하여 그 열매 또한 약효가 현저할 수밖에 없다는 말
나는 매화만큼 동양적인 인상을 주는 꽃을 달리 알지 못한다. : 나는 매화가 가장 동양적인 특징을 지닌 꽃이라고 생각한다. 이 글에서 필자가 표현한 동양적인 인상은 ① 초지상적이고 비현세적인 것, ② 장엄하고 숭고한 기세, ③ 초고하고 견개한 것, ④ 청초하고 가향이 넘치는 것, ⑤ 담담한 가운데 보이는 창연한 고전미
분매(盆梅)에는 담담한 가운데 창연(蒼然)한 고전미가 보이는 것이 말할 수 없이 청고(淸高)해서 좋다 : 화분에 심어 가꾼 매화나무는 아무런 욕심도 없이, 그저 수수하면서도 예스러운 전통적인 멋이 감돌아 말로 다 표현할 수 없을 만큼 고결해서 좋다.
동양 문화권에서는 매화를 사군자(四君子) 중의 으뜸으로 치고 많은 학자, 문인, 선비들이 그 덕을 찬미하여 왔다. 이 수필은 이처럼 전통적 매화 예찬과 맥락이 이어지면서, 근대 수필의 개척자인 김진섭의 수필 문학 세계를 보여 주고 있으며, 우리 근대 수필의 한 양상을 제시해 주고 있다.
이 글은 수필 일반에 대한 것뿐 아니라, 근대 수필의 특성도 가늠해 보며 나아가 기품 있는 삶을 추구하였던 선인들의 긍지를 존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는 글이다.
이 글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매화는 추위를 타지 않고 적설과 한풍을 택해 피어나며, 초지상적이고 비현세적인 꽃이기에 경탄해 마지 않는다. 초고하고 견개한 꽃인 매화는 또한 선구자적 기품과 기백, 동양적인 인상과 청고한 고전미가 있어 좋다.
그리고 이 작품의 몇 가지 표현상 특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체적인 관찰을 통해 매화의 속성을 파악하고 있으며, 이를 인생과 관련지으면서 예찬하는 이면에 필자의 휴머니즘이 담겨 있다. 둘째, 난해한 한자어의 사용과 함께 고졸한 인격미의 친근함을 느끼게 한다. 셋째, 문장의 길이가 길고, 문장의 흐름이 우리말의 일반적인 흐름에서 벗어난 면도 있다.
또한 이와 관련된 시조들이 많이 있는데, 그 대표적인 시조로 안민영의 '매화사'가 있다.
매화
매화의 고자(古字)는 ‘某’인데 ‘梅’의 본자이다. 강희안(姜希顔)은 '양화소록(養花小錄)'의 화목9등품론에서 1품으로 분류하였다. 만물이 추위에 떨고 있을 때, 꽃을 피워 봄을 가장 먼저 알려주므로서 불의에 굴하지 않는 선비정신의 표상으로 삼았고, 늙은 몸에서 정력이 되살아나는 회춘(回春)을 상징하였다. 또한 사랑을 상징하는 꽃 중에서 으뜸이며 시나 그림의 소재로도 많이 등장한다. 꽃말은 ‘고격·기품’이다.
매화사 전체 8수
'매화사' 요점 정리
작자 : 안민영
형식 : 평시조, 연시조
성격 : 영매가
표현 : 의인법, 영탄법, 설의법 등을 통해 매화의 향기 높음과 굳은 절개를 나타내고 있다.
주제 : 매화 예찬
출천 : <금옥총부(金玉叢部)>
이해와 감상
조선 고종 때 안민영(安玟英)이 지은 시조. 모두 8수의 연시조로 작자의 개인 가집인 ≪금옥총부 金玉叢部≫에 수록되어 있고 ≪가곡원류 歌曲源流≫의 여러 이본들에 두루 실린 것으로 보아 당시 널리 향유된 노래로 보인다.
작자가 1870년(고종 7) 겨울에 스승인 박효관(朴孝寬)의 운애산방(雲崖山房)에서 벗과 기생과 더불어 금가(琴歌)로 놀 때, 박효관이 가꾼 매화가 안상(案上)에 피어 있는 것을 보고 이를 영탄한 노래라고 한다. 이에 따라 ‘영매가(半梅歌)’혹은 ‘영매사(半梅詞)’라는 별칭이 있다.
이 작품이 모두 8수로 짜여진 것은 우조(羽調) 8곡을 한바탕으로 하여 부르는 가곡창의 순서를 그대로 따라 ‘초삭대엽-이삭대엽-중거-평거-두거-삼삭대엽-소용(騷聳)-우롱(羽弄)’의 악곡에 맞춰 8연으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형식은 모두 평시조를 취했으나 제7연만 사설시조로 되었는데 그것은 그 곡이 사설시조를 주로 부르는 소용이란 악곡에 얹어 부르기 때문이다. 작품의 구성은 이러한 악곡적 짜임의 분위기와 긴밀한 관련을 보이는데, 즉 ① 1연(초삭대엽)-② 2∼5연(이삭대엽계 : 중거·평거·두거는 이삭대엽의 19세기 파생곡임)-③ 6연(삼삭대엽)-④ 7∼8연(소용·우롱)의 4단으로 되어 있다.
①에서는 원경(遠景)을 노래하되 밖에서 방안을 들여다보는 형식으로 진술되며, 매화, 여인, 백발옹, 거문고, 노래, 달, 술잔이 한 폭의 그림처럼 어우러져 있다. ②에서는 시점이 원경에서 근경(近景)으로 바뀌면서 진술의 초점이 매화 자체에 모아진다.
그러면서 ‘눈 속에 피는 매화’,‘매화 향기 속의 달’을 묘사하되 가장 조화롭고 아정(雅正)한 사설을 얹어 부르는 곡에 어울리게 소박한 정서적 경이의 표현으로 그려 놓았다.
③은 ②에서 ④로 넘어가는 중간고리 역할을 한다. 즉 방안의 매화를 노래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②쪽으로 연결되면서 한편으로 독백체의 진술 형식을 취한다는 점에서는 ④와 연결되는 진술 패턴을 보인다.
④에서는 시점이 방안의 매화에서 밖의 매화로 이동하여 노래하는 변화를 보인다. 매화에의 애틋한 사랑이 의식의 확산을 통해 방 밖의 매화로 확대되고 눈 속의 매화의 봄뜻을 기리는 소망을 잘 표현해 놓았다. 묘사와 미적 짜임이 뛰어나 작자의 대표작이라 할 만하다.
≪참고문헌≫ 金玉叢部硏究(沈載完, 靑丘大學論文集 4, 1961), 金玉叢部에 對하여(姜銓燮, 語文硏究 7, 1971), 19世紀 時調의 變貌樣相(李東姸, 梨花女子大學校博士學位論文, 1995).(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매화 타령(매화가)
십이가사의 하나. ‘매화가(梅花歌)’라고도 한다. ≪청구영언≫과 ≪남훈태평가 南薰太平歌≫ 등에 실려 전한다.
서두를 보면, “매화야 옛 등걸에 봄철이 돌아온다. 춘설(春雪)이 하 분분하니, 필지 말지도 하다마는, 북경사신역관(北京使臣譯官)들아 오색당사(五色唐絲)를 붙임을 하세. 그물 맺세, 그그그물 맺세, 오색당사로 그그그물 맺세. 그물 치세, 그그물 치세, 부벽루 하에 그물 치세, 그그물 치세……”로 시작하여, 매화꽃에 얹어 봄날의 사랑을 갈구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그물을 맺고 푸는 것으로 남녀간의 사랑이 맺고 풀리는 이치를 흥겨운 노랫가락에 얹어 불렀다. 음악적 배려에 의한 자구의 반복이 두드러진다. 사랑의 대상으로 북경에 사신 갔다 오는 역관을 설정한 것은 노래제작자의 신분과 함께 역관의 지위가 상승되어 가던 당시의 사회상을 간접적으로 반영하고 있어 흥미를 끈다.
이 노래가 언제부터 12가사의 수구(首句)로 불렸는지의 연대는 자세히 알 수 없고 대개 조선 후기로 추측하고 있다. 장단은 4분의 6박자이고 리듬은 경쾌하다.
6박자의 8마디가 한 연(聯)을 이루며 모두 13연(마루)으로 분장(分章)된다. 1연의 첫째·둘째 마디만 다를 뿐 2연 이하 10연까지는 2연의 반복이다. 또 11·12연은 같은 부분이고 맨끝 13연은 앞 두 부분의 음악적 특징이 함께 나타나고 있는 종결적 부분이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매화 타령
경기민요의 하나. 옛날부터 꽃을 노래한 꽃타령이 많았는데, 그 가운데에서 뛰어난 것이 이 〈매화타령〉이다. 가사의 1절과 후렴은 다음과 같다.
인간이별 만사 중에 독수공방이 상사난(相思難)이란다.
(후렴) 좋구나 매화로다. 어야 더야 어허야 에-두견아
울어라 좋구나 매화로다.
이 노래는 서울의 12잡가 가운데 〈달거리〉 끝에 붙는 노래였으나, 사설과 곡조가 독립성을 가지고 있어서 따로 떼어 부르게 된 것이다.
곡명 ‘매화타령’은 단지 ‘좋구나 매화로다.’라는 후렴이 있어서 붙은 이름이다. 사설 내용은 남녀 상사(相思)의 정을 노래한 것으로 굿거리장단의 가볍고 유창한 노래이다.
≪참고문헌≫ 歌詞譜(李珠煥, 가곡연구회, 1966), 한국음악(김기수, 국립국악원, 1972), 國樂總論(張師勛, 正音社, 1976), 韓國歌唱大系(李昌培, 弘人文化社, 1976).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