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또 다른 고향 / 핵심정리 및 해설 / 윤동주

by 송화은율
반응형

또 다른 고향 - 윤동주

 

 

고향(故鄕)에 돌아온 날 밤에

내 백골(白骨)이 따라와 한 방에 누웠다.

 

어둔 방은 우주(宇宙)로 통하고

하늘에선가 소리처럼 바람이 불어온다.

 

어둠 속에서 곱게 풍화작용(風化作用)하는

백골(白骨)을 들여다 보며

눈물 짓는 것이 내가 우는 것이냐

백골(白骨)이 우는 것이냐

아름다운 혼이 우는 것이냐

 

지조(志操) 높은

밤을 새워 어둠을 짖는다.

 

어둠을 짖는 개는

나를 쫓는 것일 게다.

 

가자 가자

쫓기우는 사람처럼 가자.

백골(白骨) 몰래

아름다운 또 다른 고향(故鄕)에 가자.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48)


<핵심 정리>

 

감상의 초점

윤동주는 고향인 북간도에서 아름다웠던 유년 시절을 보냈으나 서울 유학 생활을 하면서 현실의 암담한 상황을 깨닫게 된다. 그후 고향에 돌아왔으나 마음에 그리던 고향을 상실하고 내적 자아가 분열을 일으키고 있는 상태를 형상화한 것이 이 시이다. 이 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 백골, 아름다운 혼의 관계를 파악해야 한다.

성격 : 상징적, 성찰적, 관조적

특징 : 자아의 대립에 의한 갈등 구조

구성 : 귀향과 자아 분열(1,2)

두 자아의 갈등(3)

불안과 강박 관념(4,5)

이상향의 동경(6)

제재 : 고향의 상실

주제 : 이상향에 대한 동경

 

<연구 문제>

1. 이 시는 시적 화자가 의식의 분열을 일으켜 서로 갈등을 일으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1)갈등을 일으키고 있는 두 자아를 찾아 쓰고, (2)어떠한 자아인지 설명하라.

(1) ‘백골아름다운 혼

 

(2) ‘백골’ : 현실에 안주하여 살고자 하는 도피적 자아

아름다운 혼’ : 현실을 극복하고자 하는 이상적인 자아

 

2. 이 시에서 화자가 갈등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세계를 지향하게 하는 획기적 계기를 마련해 준 것은 무엇인가?

어둠을 짖는 개

 

3. (1)화자가 처한 상황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두 시어를 찾아 쓰고, (2)그것이 뜻하는 바를 쓰라.

(1) ‘

(2) ‘’ : 암담한 상황, ‘’ : 부자유스런(닫힌) 세계

 

4. 이 추구하는 세계가 같다고 본다면 어떤 점에서 같은지 설명하라.

현실의 어둠을 거부하고 그로부터 벗어나려 한다.

 

 

< 감상의 길잡이 1 >

6연으로 이루어진 이 시는 조금 난해한 작품이다.

1연은, 그리던 고향에 돌아왔으나 그 곳에는 유년의 평화로움이나 아름다움은 사라지고 어둠으로 가득찬 장소일 뿐이다. 이미 육신이나 영혼이 함께 편안히 안주할 수 있는 장소는 아니다. 고향에서 안주하고자 하는 는 이 암담한 식민지 현실 속에서 이미 죽어 백골과 같은 존재가 되고 말았다.

 

2연에서는 닫힌 세계(‘어둔 방’)에 있으려니 를 열린 세계(‘우주’)로 부르는 바람 소리가 들린다. ‘하늘에서 불어 오는 바람은 현실에 안주하려는 를 새로운 세계로 향하게 한다.

 

3연은 고향에 돌아와 자아가 분열되어 갈등을 일으키는 현상을 형상화한 것이다. 현실에서 안주하고자 하는 현실적 자아(‘백골’)와 현실의 안주를 거부하고 이상을 추구하려는 이상적 자아(‘아름다운 혼’)가 갈등을 일으킨다. ‘백골은 식민지 현실 속에서 생명력이 이미 다한 자신의 현실적인 모습을 표현한 것일 터이다.

 

4연에서는 어디선가 본질을 지키라는 소리가 들린다. ‘어둠을 짖는 개는 암담한 현실 속에서 무력한 생활을 하는 를 일깨우는 것으로 풀이된다.

 

5연에서는 의 안일한 자세를 일깨우는 소리가 의 양심을 압박해 온다. 강박 관념을 표현한 것이다.

 

6연은 현실에 안주하고자 하는 부끄러운 자아를 떼어 놓고 새로운 이상의 세계로 가자는 것이다. ‘또 다른 고향에 가자는 말은 시대적 상황으로 정신적 고뇌를 겪고 있는 스스로를 구현하기 위해 새로운 세계(, 미래의 이상향)를 지향하는 것으로 읽힌다.

 

윤동주 시의 주요한 모티프를 이루고 있는 그리움은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특히 고향에 대한 그리움은 대단하다. 평화롭기만 했던 유년 시절의 추억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이 시는 고향에 대한 단순한 그리움만을 노래한 것은 아니다. 평화롭고 아름답기만 했던 고향을 떠나 평양, 서울, 일본을 전전하면서 암담한 현실을 깨닫고 고향에 돌아와 보니 옛날의 고향이 아님을 알게 되고 비애, 불안 심리, 강박 관념에 사로잡히게 되자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고향으로 가자는 것이다. 이 시는 그 갈등과 화해의 과정을 보여 주고 있다.

 

< 감상의 길잡이 2 >

이 시는 19419월 연희 전문학교 졸업반 때 쓴 작품이다. 인간은 누구나 현실에 바탕을 둔 내면 세계와 탈()현실의 단면을 띤 또 다른 내면 세계를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고향마저도 실재하는 현실적 고향과 스스로 그려서 이룩해 낸 탈현실의 고향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시는 현실적 자아가 누워 있는 고향’(만주 용정)과 이상적 자아가 도달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고향’(정신적 안식처)을 두 축으로 설정하여 그것들이 서로 엇갈리는 가운데 빚어지는 고뇌와 불안을 다루고 있는 작품이다. 이 시에서는 고향또 다른 고향이 한 대응 체계를 이루고 있는 한편, ‘백골아름다운 혼으로 빚어진 또 하나의 대응 체계가 있다. ‘는 개인적 자아본래적 자아요, ‘백골은 사회적 자아유한적 자아로 이 둘은 모두 현실적 자아를 의미하고, ‘아름다운 혼은 종교적 자아영원한 자아로 이상적 자아를 뜻한다.

 

현실적 고향에 돌아온 날 밤에 백골이라는 피압박의 자의식이 를 따라와 함께 눕는다. ‘어둔 방으로 표상된 불안과 고독의 절망적 분위기 속에서, 본래적 자아인 와 사회적 자아인 백골과 이상적 자아인 아름다운 혼으로 분열된 자아가 하나로 통합되어, ‘백골을 들여다 보며 / 눈물 짓는자아 성찰의 몸부림을 한다. 그러나 고향백골을 벗어나 또 다른 고향아름다운 혼의 차원으로 승화하고 싶은 욕망 때문에 고향또 다른 고향’, 그리고 백골아름다운 혼은 화합을 이루지 못한 채 끝끝내 대립을 이루게 된다.

 

고향의 어두운 방에 백골로 누워 괴로워하고 있는 그 때, ‘또 다른 고향우주’(어둔 방은 우주로 통한다고 했음)로 승화시켜 주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바람이 불어오고, ‘어둠을 짖는 개의 울음 소리가 들려 온다. ‘아름다운 혼을 지향하는 지조(민족 정기) 높은 그 백골과 등가(等價)를 이루는 어둠을 떨쳐 버리기 위하여 밤을 새워 짖는다. (‘백골소리처럼 불어오는 바람으로 인해 풍화 작용을 하여 소멸하는 것이고, ‘어둠밤을 새워 어둠을 짖는 개의 울음 소리로 점차 사라지는 것이기에 이 두 사물은 등가를 이룬다.) 결국 이 작품은 현실적 공간을 뛰어넘어 밝고 넓은 초현실의 공간으로 승화하고자 하는 영원한 삶에 대한 동경을 노래하고 있는데, 이 몸부림을 더욱 자극시키고 채찍질하는 것이 바로 소리처럼 느껴지는 바람지조 높은 개가 밤새워 우는 울음인 것이다.

 

< 감상의 길잡이 3 >

이 시는 현실적으로 고향을 상실할 수밖에 없는 암울한 시대 상황 속에서 이러한 현실 상황을 극복하고 이상적인 새로운 세계를 추구하고자 하는 시적 자아의 고뇌를 표현한 시이다.

 

이 시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백골아름다운 혼’, ‘’, 그리고 고향또 다른 고향의 의미 관계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백골아름다운 혼과 대립하면서 늘 아름다운 혼을 제약하고 있는 존재이다. ‘아름다운 혼아름다운 또 다른 고향에 가고자 하며 진실로 행복과 평화가 있는 세계를 지향하는 정신이므로, ‘백골은 이러한 초월 의지를 제약하는 현실적인 자아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아름다운 혼’, ‘백골과 한 방에 누워 있는, 두 자아가 결합된 실존적 자아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는 늘 백골아름다운 혼사이의 갈등과 대립으로 인해 고민하고 방황하는 모습을 보인다. 한편, ‘고향어둔 방이고, ‘소리처럼 바람이 불어 오는곳이며, ‘풍화 작용을 일으켜 백골로 변질되게 만드는 암울한 시대적 현실이다. 그러므로 또 다른 고향은 진실한 평화와 행복이 존재하는 이상적인 세계이다.

 

시인은 지조 높은 개를 등장시켜, 그 개가 어둠을 향해 짖지만, 그것은 자신을 쫓는 울부짖음이라고 생각하며, 이를 암울한 현실을 극복하지 못하고 방황하는 자신을 꾸짖는 시대의 외침으로 받아 들이고 있다. , 시인은 개 짖는 소리에서 자극을 받아 어둠이라는 조건 상황을 제거하려는 거부의 몸짓을 지닐 것을 스스로에게 다짐하고 있는 것이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