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간(肝)- 윤동주

by 송화은율
반응형

()

- 윤동주

 

 

 

바닷가 햇빛 바른 바위 위에

습한 간()을 펴서 말리우자.

 

코카서스 산중(山中)에서 도망해 온 토끼처럼

둘러리를 빙빙 돌며 간을 지키자.

 

내가 오래 기르는 여윈 독수리!

와서 뜯어 먹어라, 시름없이

 

너는 살찌고

나는 여위어야지, 그러나

 

거북이야

다시는 용궁(龍宮)의 유혹에 안 떨어진다.

 

프로메테우스 불쌍한 프로메테우스

불 도적한 죄로 목에 맷돌을 달고

끝없이 침전(沈澱)하는 프로메테우스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948)


<핵심 정리>

 

감상의 초점

이 시는 두 개의 이질적인 설화를 결합하여 형상화하였다. , 거북이의 꾐에 빠져 간()을 잃을 뻔하였다가 기지(機智)를 발휘하여 목숨을 건진다는 구토지설(龜兎之說)과 인간을 위해 제우스를 속이고 불을 훔친 죄로 코카서스 산에 쇠사슬로 묶여, 날마다 낮에는 독수리에게 간을 쪼아 먹히나 밤에는 그의 간은 되살아나서 영원히 고통을 겪는다는 프로메테우스의 신화를 결합하여 우의적(寓意的)으로 표현한 시다. 이 시를 이해하기 위해서 토끼, 독수리, 거북이, 등의 원형적 이미지를 파악하도록 하자.

성격 : 상징적, 저항적, 우의적

심상 : 설화에서 취재한 원형적 이미지

어조 : 현실을 극복하려는 남성적 어조

특징 : 두 자아의 대비적 표현

설화와 신화의 결합

시상 전개 : 화자의 이동에 따른 전개

구성 : 환상에서 현실로 귀환(1,2)

자아의 갈등과 자포자기(3,4)

현실적 유혹의 거부(5)

현실적 고난의 인고(忍苦)(6)

제재 : 구토설화와 프로메테우스 신화

주제 : 현실적 고난 극복의 의지

 

 

<연구 문제>

1. 두 개의 설화가 한 편의 시에서 결합되도록, 매개체 역할을 하는 소재를 찾아 쓰.

()

 

2. 이라고 한 이유가 무엇인가? 구토설화와 관련하여 50자 이내로 쓰라.

거북의 꾐으로 부귀영화를 누려 보겠다는 환상에 빠졌던 더러운 양심(본질)을 바로잡기 위해.

 

3. 은 화자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 설명하라.

현실에 영합하려는 또하나의 자아.(부정적인 자아)

 

4. 이 시에서 (1)시인이 자기와 동일시하고 있는 소재를 둘 찾아 쓰고, (2)각각을 통해 드러내고자 한 의식을 쓰라.

(1) 토끼와 프로메테우스

(2) 토끼 : 항거 의식

프로메테우스 : 속죄양 의식

 

<감상의 길잡이>(1)

이 시는 ()’을 매개로 하여 두 개의 설화를 결합하고 있다. 한때 용궁의 유혹에 빠져 간을 잃을 뻔했던 토끼가 기지를 발휘하여 목숨을 건진다는 구토지설(龜兎之說)과 인간을 위해 제우스를 속이고 불을 훔친 죄로 코카서스의 큰 바위에 묶여 독수리에게 간을 쪼아 먹히는 형벌을 묵묵히 감내한다는 프로메테우스 신화가 그것이다. 궁지에 몰려서도 슬기롭게 자기의 을 지킨 토끼와 죄 아닌 죄를 짓고서 속죄양이 될 수밖에 없었던 프로메테우스의 처지는 식민지 시대를 살면서 생명과도 같은 인간의 존엄성과 양심을 지켜야 하는 윤동주의 시심을 자극하고도 남음이 있다고 하겠다.

 

바로 여기에 토끼프로메테우스를 자기와 동일시하는 근거가 있다. 그러나 윤동주는 설화의 문면을 글자 그대로 받아들이지는 않는다.

 

1,2연에서 화자는 한때 유혹에 빠져, ‘습한 간을 말림으로써 양심과 자기 존엄성을 회복하는 한편 그것을 지키자고 자신에게 다짐한다.

 

3,4연에 오면 화자는 스스로 기른 독수리에게 자신의 간을 뜯어 먹게 한다. ‘로 지칭된 독수리가 정신적 자아라면 는 육체적 자아라고 할 만한 것인데, 자신의 육체를 희생하더라도 정신을 살찌우겠다는 의지가 표현된 것이다.

 

5연에서 화자는 다시는 용궁의 유혹에 안 떨어진다고 자기 의지를 확인한다. ‘용궁의 유혹에 빠진다는 것은 자신의 생명과도 같은 양심을 저버리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일 터이다.

 

6연에 이르면 불쌍하기는 하지만, 프로메테우스처럼 자신도 인간을 위한 속죄양이 될 수밖에 없음을 토로하게 된다.

 

 

<감상의 길잡이>(2)

19411129일 연희 전문학교 졸업반 때 쓴 작품으로 알려진 이 시가 갖는 특수성은 각기 다른 동서양의 두 고전을 형상화한 점에 있다. , 거북이의 꾐에 빠져 간()을 잃을 위기에 처했던 토끼가 특유의 기지(機智)를 발휘하여 목숨을 건지는 내용의 귀토지설(龜兎之說)’과 인간을 위해 제우스를 속이고 불을 훔친 죄로 코카서스 산에 쇠사슬로 묶여, 낮에는 독수리에게 간을 쪼아 먹히다가 밤에는 그 간이 되살아나 영원히 고통을 겪는다는 프로메테우스 신화를 교묘히 결합하여 현실적 고난을 극복하는 의지를 밝힌 작품이다. 이 두 고전을 차용한 까닭은 귀토지설에서는 지배자에 대한 피지배자의 항거 의식을, ‘프로메테우스 신화에서는 속죄양 의식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윤동주는 벼랑 끝에 몰린 위기에서도 슬기롭게 자기의 을 지킨 토끼와, 죄 아닌 죄를 짓고 속죄양이 될 수밖에 없었던 프로메테우스를 인간의 존엄성과 양심을 지키며 식민지 시대를 살아야 했던 자신과 동일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는 두 고전의 문면(文面)을 글자 그대로 수용하지 않고 적절히 변용하여 작품 속에 투영시키고 있다.

 

먼저 1연에서는 거북의 유혹에 빠져 목숨을 잃을 뻔 했던 토끼, 즉 화자가 지상 낙원이 용궁이 아니라 제가 살고 있는 산중임을 깨달은 후, 그 곳으로 돌아와 을 꺼내 바위 위에 말리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토끼의 행동은 바로 간의 소중함에 대한 재인식으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간이 있어야 살 수 있다는 평범한 사실보다도 간이야말로 거북에게 맞설 수 있는 가장 크고 효율적인 무기가 된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습한것은 한때 유혹에 빠졌기 때문이며, 그것을 햇빛에 말리는 것은 다시는 유혹에 빠져들지 않겠다는, 욕망의 절제를 통한 의지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2연에서는 프로메테우스 신화귀토지설속에 끼어들고 있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두 고전에 공통적으로 이 등장하기 때문이며, 또한 이 은 모두 상대와 맞설 수 있는 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3연에서는 화자가 자신이 기른 독수리에게 자기의 간을 뜯어 먹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 독수리는 4연에서 로 지칭되고 있는데, ‘가 육체적 자아라면 는 정신적 자아라 할 수 있다. 결국 라는 독수리는 화자 자신에게 고통을 주는 자아의 예리한 의식이 된다. 그러므로 너는 살찌고 / 나는 여위어야지라는 구절은 자신의 육체는 희생되더라도 정신만은 지키겠다는 의미이다. 한편, 끝머리의 그러나는 여위어 대항할 힘은 없어도, 정신만은 빼앗기지 않겠다는 의지의 반영으로, 뜯어 먹히더라도 간은 결코 내놓을 수 없다는 결의를 표명한 것이다.

 

5연에서 화자는 다시는 용궁의 유혹에 안 떨어진다.’며 자신의 의지를 확인하고 있다. ‘용궁의 유혹에 떨어진다는 것은 자신의 생명과도 같은 양심을 저버리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6연에서는 불쌍하기는 하나, 프로메테우스처럼 화자도 인간을 위한 속죄양이 되겠다는 의지를 보여 주고 있다. ‘목에 맷돌을 달고 / 끝없이 침전하는 것은 그 같은 거룩한 자기 희생 정신의 표현이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