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등악양루(登岳陽樓)

by 송화은율
반응형

등악양루(登岳陽樓)

 

옛날에 동정호에 들었더니

이제서야 악양루에 오르는구나.

오나라와 초나라가 동남쪽에 갈라졌고

하늘과 땅이 밤낮으로 떠 있다.

가까운 친구의 편지도 없으니

늙어감에 외로운 배뿐이로다.

싸움터의 말이(전쟁 중) 관산 북쪽에 있으니

난간에 의지해 눈물을 흘리노라.

요점 정리

지은이 : 두보

갈래 : 한시, 오언율시

연대 : 두보 57세 때 768년에 지음

표현 : 대구법, 감정이입(고독한 서정적 자아를 배에 빗대어 표현한 것으로 '배'를 객관적 상관물이라고 한다. 객관적 상관물이란 시에서 정서와 사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찾아낸 사물(事物), 정황(情況), 사건(事件)을 이르는 말로 엘리엇(Eliot, T. S.)이 처음 사용하였다. 이 시에서도 두보는 흐르는 세월 속에서 외롭게 방황하는 자신의 처지를 직설적으로 드러내지 않고, 외로운 배라는 구체적 사물에 의탁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

압운 : 수, 루, 부, 주, 류

구성 : 선경후정

옛날에 동정호에 들었더니

이제서야 악양루에 오르는구나. (1-2행 악양루에 오름) - 수련

오나라와 초나라가 동남쪽에 갈라졌고

하늘과 땅이 밤낮으로 떠 있다. (3-4행 동정호의 장관) - 함련

가까운 친구의 편지도 없으니

늙어감에 외로운 배뿐이로다. (5-6행 방랑의 고뇌) - 경련

싸움터의 말이(전쟁 중) 관산 북쪽에 있으니(아직도 전쟁중이니)

(악양루의) 난간에 의지해 눈물을 흘리노라. (7-8행 우국과 향수) - 미련

제재 : 악양루에 오름

주제 : 우국과 향수

특성 : 기쁨과 슬픔을 선명하게 대비하여 향수와 우국지심을 잘 표현함

출전 : 분류두공부시언해 중간본 권14

내용 연구

등악양루 : 악양루에 오른다는 뜻으로, '악양루'는 중국 후난성에 있는 악주의 문루로, 동정호를 내려다 보기에 가장 좋은 누각으로 알려져 있고, 그 주변의 절경이 뛰어나다고 함

옛날에 동정호에 들었더니

이제서야 악양루에 오르는구나. (1-2행 악양루에 오름)

오나라와 초나라가 동남쪽에 갈라졌고

하늘과 땅이 밤낮으로 떠 있다. (3-4행 동정호의 장관)

가까운 친구의 편지도 없으니

늙어감에 외로운 배[]뿐이로다. (5-6행 방랑의 고뇌)[3, 4행, 5, 6행은 광활한 자연과 외롭고 초라한 인간을 대비시키는 효과를 거두며 대구를 이루고 있음]

싸움터의 말이(전쟁 중) 관산 북쪽에 있으니(아직도 전쟁중이니)

(악양루의) 난간에 의지해 눈물을 흘리노라. (7-8행 우국과 향수)[아름다운 동정호의 모습을 보면서도 전쟁이 계속되고 있는 현실과 그로 인한 슬픔을 표현]

 

동정 호수의 장관에 대해 예전에 듣고 이제야 악양루에 올라 그것을 보게 되니, 몹시

기쁘다는 것으로, 감격의 찬탄사로, 전구와 형식상으로 대구이나 내용상으로는 오로지

이 후구를 위하여 전구가 이바지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오나라와 초나라가 동쪽과 남쪽으로 갈라져 있다는 말로, 동정의 광활한 모습을 묘사한

것으로, 하늘과 땅이 모두 비친다는 뜻임

친한 벗에게 편지 한 장 없는 자신의 고독함을 배에 빗대어 표현하고 있다. 외로운 배는

세월의 흐름 속에 방랑하는 시적 화자의 애수를 의탁한 객관적 상관물이다.

전쟁 중에 있는 나라와 고향에 대한 근심으로 난간에 기대어 서 있으니 눈물이 흐른다는

표현으로, 화자의 정서가 가장 직접적으로 표현된 구절로 아름다운 동정호의 모습을 보면서도 시대 상황에 대한 근심과 그로 인한 슬픔을 표현하고 있는 이 연은 우국충정과 향수를 나타내는 이 시의 주제연이다.

이해와 감상

지은이가 유랑중에 있던 57세 때, 악양루에 올라 말로만 듣던 동정호수를 바라보고 그 감회를 지은 시로, '등악양루(登岳陽樓)'는 두보가 57세(768년) 때 지은 오언 율시(五言律詩)이다. 동정호를 소문으로만 들어왔는데 오늘에야 비로소 악양루에 올라 보니 그 광대, 장려한 모습이 압도적이다. 그러나 이를 마주한 자신은 외로이 떠도는 방랑객이고 더욱이 전쟁까지 벌어지고 있어 근심으로 하염없이 눈물이 흐른다. 자연과 인간, 기쁨과 슬픔의 대비가 선명히 이루어져 있다. 특히 3∼4행(함련,

)은 천고(千古)의 절창(絶唱)으로 손꼽히고 있으며, 고독과 절망에 빠져 있던 당시 두보의 심정을 진솔하게 표현한 이 시는 자연과 인간, 기쁨과 슬픔을 선명하게 대비시켜 선경후정의 효과를 잘 살린 작품이며, 향수의 정과 우국(憂國)지심을 잘 표현하고 있다.

심화 자료

수구초심(首丘初心)

여우도 죽을 때는 제가 살던 쪽으로 머리를 돌린다는 뜻으로, 근본을 잊지 않음을 가리키는 말.=호사수구(狐死首丘). 《出典》'禮記' 檀弓上篇 문왕(文王)과 무왕(武王)을 도와서 은(殷)나라를 멸하고 주(周)나라를 일으킨 여상(呂尙) 태공망(太公望)은 제(齊)나라에 있는 영구(營丘)에 봉해졌는데, 계속해서 다섯 대(代)에 이르기까지 주(周)의 호경(鎬京)에 반장(反葬)했다. 군자께서 이르시기를 음악은 그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바를 즐기며 예(禮)란 그 근본을 잊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옛사람의 말에 이르되, 여우가 죽을 때에 머리를 자기가 살던 굴 쪽으로 바르게 향하는 것은 인(仁)이라고 하였다. 太公封於營丘 此及五世 皆反葬於周 君子曰 樂樂其所自生 禮不忘其本 古之人有言曰 狐死正 丘首仁也.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