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김영랑

by 송화은율
반응형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 김영랑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같이

풀 아래 웃음짓는 샘물같이

내 마음 고요히 고운 봄길 위에

오늘 하루 하늘을 우러르고 싶다.

 

새악시* 볼에 떠오는 부끄럼같이

()의 가슴에 살포시* 젖는 물결같이

보드레한 에메랄드* 얇게 흐르는

실비단 하늘을 바라보고 싶다.

 

(시문학 2, 1930.6)

 

* 새악시 : 새색시의 사투리

* 살포시 : 살며시. 매우 부드럽고 가볍게

* 에메랄드 : 연푸른 빛을 띤 보석(emerald). 한없는 청순(淸純)을 상징.


<핵심 정리>

 

감상의 초점

이 시는 지상의 세계에서 천상의 세계, 즉 하늘을 동경하는 시다. 왜 화자가 현실 세계인 지상보다는 하늘을 동경하고 있는가를 생각해 보자. 화자가 처한 현실은 고요하거나 평화롭지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 시에는 유음(流音)을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유음은 일반적으로 경쾌하고 밝은 느낌을 준다. 김영랑의 시는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잘 살린 시어와 섬세한 감각적 표현이 뛰어난 것으로 유명하다. 이 시는 그러한 특질이 잘 나타나 있다.

성격 : 유미적, 낭만적, 관조적, 감각적

경향 : 유미주의적

심상 : 시각적 심상

운율 : 3음보, 7·5조의 음수율

두운(頭韻)과 각운(脚韻)의 사용

어조 : 여성적 소망의 어조

표현 : 참신한 비유(직유, 의인, 은유)

특징 : 정서의 투명한 순화

언어 본연의 미감을 살림

구성 : 하늘을 우러르고 싶은 소망(1)

하늘을 바라보고 싶은 소망(2)

제재 : 봄 하늘

주제 : 평화의 세계 소망

 

 

<연구 문제>

1. 이 시의 첫째 연에서는 내 마음을 두 가지로 이미지화하고 있다. 이것은 어떤 마음을 형상화한 것인지 50자 내외로 설명하라.

내 마음을 햇발과 샘물로 이미지화하여 맑고 밝은 마음을 형상화하고 있다.

 

2. 이 시에서 하늘은 시적 화자가 동경하는 세계다. ‘과 대립되는 개념으로 볼 때, 이것은 어떤 세계를 뜻하는가? 차이점을 밝혀 50자 내외로 쓰라.

은 절망과 고뇌가 있는 암담한 현실 세계이고, ‘하늘은 평화와 희망이 있는 이상 세계다.

 

3. 이 시의 미묘한 음악성은 어떻게 드러나는지 몇 항목을 들어 설명하라.

☞ ① 유음(流音)과 비음(鼻音)의 울림소리 사용

반복적 언어의 사용

두운과 각운의 사용

 

 

< 감상의 길잡이 1 >

이 시의 내용과 형식은 매우 단순하다. 4행씩 두 개의 연으로 되어 있는 이 시의 각 연 제1,2행은 모두 ‘-같이, 마지막 행은 ‘-고 싶다로 끝나고 있는 것이 눈에 띈다. 직유를 통해 어떤 간절한 소망을 되풀이하고 있다는 말이 된다. 얼핏 보기에 그 소망은 지나치게 소박하다.

 

이 소박함이 영랑 시의 한 특징이기도 하지만, 우리는 이 시가 쓰여진 1930년대의 현실을 상기하면서 그 소박하고 단순한 생각이 설득력을 지닐 수 있는 근거를 생각해 볼 필요를 느낀다. ‘하늘을 우러르고 싶다는 소망은 역설적으로 화자가 발붙이고 있는 이 땅의 현실이 불행한 것임을 암시한다. 그러나 그는 그것을 직접적으로 말하지는 않는다.

 

불행한 이 땅의 현실 속에서 그가 지닌 그늘진 마음은 밝고 평화로운 세계를 동경할 수밖에 없을 터인데 그러한 세계에 대한 지향이 햇발’, ‘샘물’, ‘물결같은 어휘에 나타나 있다. 이 또한 그의 삶이 그늘진 것임을 역설적으로 드러내 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영랑의 시는 자신이 겪은 체험의 내용을 극도로 단순화시킬뿐더러, 그것을 안으로 끌고 들어간다. 정한모 교수의 통계적 분석에 의하면, 영랑의 시세계는 한마디로 내 마음의 세계이다. 이 말은 그가 외부 세계에 대해 전혀 무관심하다기보다는 그것을 극도로 단순화시켜서 내면화하는 데 주력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 감상의 길잡이 2 >

이 작품의 내용과 짜임새는 매우 단순하다. 두 연의 제1, 2행은 모두 `- 같이'로 되어 있고, 마지막 행들은 모두 `-고 싶다'로 되어 있다. , 어떤 간절한 소망을 각각 두 가지의 직유를 써서 말한 것이 이 시의 내용이다. 그의 소망이란 `하늘을 우러르고(바라보고) 싶다'는 것뿐이다. 이런 단순한 소망을 말하는 것만으로도 시가 되는지 독자는 물을 지 모른다. 그러나 그렇게 말하기 전에 이 구절을 좀더 생각해 보자.

 

`하늘을 우러르고 싶다'는 소망은 뒤집어 말하면 그가 현재 하늘을 마음대로 우러러보며 살고 있지 못함을 의미한다. 이 때 `하늘'은 그저 예사스런 하늘에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땅과 대립되는 것으로서, 땅이 현실적인 생활의 세계를 의미한다면 하늘은 그로부터 벗어나 아무런 구속 없이 명상하고 마음을 쉴 수 있는 터전에 해당한다. 김영랑이 소망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명상과 평화의 생활이다. [해설: 김흥규]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