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독해연습7 / 하이테크 시대의 과학 교육

by 송화은율
반응형

 

7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중세의 서양 사람들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읽었고 조선 시대의 사대부들이 공자와 맹자를 읽었던 것처럼 오늘을 사는 세계인들은 科學技術에 대한 것을 읽어야 할 것이다. 전통 사회의 지식층들이 古典을 배웠듯이 현대 사회의 지식층은 科學技術을 익혀야 한다. 이는 전통 사회의 지식인의 역할이 전통적 가치와 제도의 계승에 있었음에 비해 오늘날 지식인의 역할은 새로운 가치와 제도의 창조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전통 사회에서도 새로운 것은 만들어졌고 현대 사회에서도 옛 것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의 가치와 제도를 만들어 주는 원동력은 역시 科學技術이다. 따라서 오늘의 지식인은 우리 선조들이 論語를 읽고 儒敎를 익혔듯이 科學을 읽고 技術을 익혀야 하는 것이다.

 

전통 사회의 지식층이 배운 聖經論語 또는 基督敎儒敎는 오늘의 科學技術과는 본질적인 차이를 가지고 있다. 전통 사회의 그것들이 인간의 보편적 가치 체계를 그리고 있는 것과는 달리 오늘의 科學技術이란 기껏해야 보편적 가치의 실현을 위한 수단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은 이 科學技術이란 수단이 인간의 보편적 가치에서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기에 오늘날 科學技術이 전통 사회의 기독교나 유교와는 크게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우리는 오늘의 지식인이 科學技術을 익히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하게 되는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도 개화기이래 조금씩 科學敎育이 시작되면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자연, 물상, 생물을 거쳐 물리, 화학, 생물, 지학과 같은 과목을 통해 科學敎育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초고등학교에서는 科學敎育을 통해 현대 과학의 최신 지식을 요약하여 이해시키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이러한 교육 내용은 科學技術 시대를 살아가는 오늘의 청소년에게 꼭 필요한 내용임에 틀림없다. 또한 대학에서도 교양 교육을 통해 현대 과학의 지식에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科學敎育의 내용이 현대인에게 결코 충분하지 않다는 점이 문제다. 과학 자체의 내용을 익히는 것은 물론 필요하지만 그것은 19세기이래 늘 가르치던 내용이다. 또한 20세기에 들어오면서 점차 중대한 문제가 되고 있는 과학과 사회의 관련성에 관한 문제들을 가르칠 기회는 전혀 부여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말하자면 오늘날 우리의 科學敎育19세기의 과학교육에 머물러 있을 뿐 20세기의 과학교육을 제대로 지향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의 과학교육의 이러한 문제는 사회 전반에서 그대로 연장되어 있다. 신문, 잡지와 방송 그리고 출판이 대체로 과학기술에 대해 냉담할 뿐만 아니라 과학기술과 사회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더욱 깜깜한 상태이다. 공해와 환경오염, 핵무기와 냉전체제, 컴퓨터와 사생활 문제, 의학 발달과 그에 따른 여러 문제점이 가끔 화제가 되어 다루어지는 것이 사실이기는 하다. 그러나 매스컴이나 출판물에 반영되는 이런 문제들은 대개 피상적이고 부분적임을 면치 못한다.

 

정책적으로는 科學技術의 개발을 위해 맹렬히 노력하고 있으며 국민의 科學技術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 이른바 全國民科學化등의 슬로건을 내세우며 노력해 왔다. 그러나 정부의 科學大衆化 운동은 농업 기술, 사무 기술, 전기 기술 등 일상 생활에 필요한 간단한 科學技術의 기능이나 지식을 익히게 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을 뿐이다. 즉 자동차 운전을 배우거나 끊어진 퓨즈를 갈아 끼우는 것을 알아두라고 가르치는 정도였다.

 

오늘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현대 과학에 대한 최신 지식을 부분적으로 익히거나 퓨즈를 갈아 끼우고 자동차를 운전하는 기능을 익히는 것이 아니다. 현대를 이끌어 가는 과학기술이 인류를 어떻게 만들어 주고 있으며, 또 앞으로 어떻게 만들어 갈 것인지를 생각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과학 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박성래, <하이테크 시대의 과학 교육>


이 글은 우리 나라 과학 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과학교육의 방향 전환을 촉구하고자 쓴 것이다. 필자는 현대 사회의 지식인에게 과학 기술이 절대적으로 필요한데도 오늘날 학교 교육이 20세기 과학 교육을 제대로 지향하지 못하고 있고, 사회 전반적으로도 과학 기술에 대해 냉담하고 피상적인 이해 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결국 우리 과학 교육의 방향 전환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다.

 

1. 윗글을 내용에 따라 네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부분의 중심 내용을 각각 한 문장으로 쓰라.

 

각 단락의 핵심어나 중심 내용에 표시를 하면서 읽어본다. 형식 단락의 요지를 작성하면,

 

전통 사회의 지식층이 고전을 배웠듯이 현대 사회의 지식인은 과학 기술을 익혀야 한다.

현대의 가치와 제도를 만들어 주는 원동력은 과학 기술이다.

과학 기술이란 수단이 인간의 보편적 가치에까지 커다란 영향력을 미친다.

현재 학교에서 다양한 과목을 통해 과학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오늘날 학교 교육은 20세기의 과학 교육을 제대로 지향하지 못하고 있다.

사회 전반적으로도 과학 기술에 대해 냉담하고 과학 기술과 사회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피상적인 이해 수준에 머물러 있다.

정부의 과학 기술에 대한 인식도 피상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

과학 교육에 대한 방향 전환이 시급하다.

 

다음으로는 내용이 같은 단락으로 묶어 본다.

 

- 은 현대인에게 과학 기술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 는 오늘날 학교에서 실시하는 과학 교육의 문제점을, · 은 사회 전반에 걸친 과학 교육의 문제점을, 은 과학 교육의 방향 전환을 언급하고 있다.

 

첫째부분 : 현대의 지식인에게 과학 기술 교육은 절실히 필요하다.

둘째부분 : 오늘날 학교에서 실시하는 과학 교육은 20세기 과학 교육을 제대로 지향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부분 : 오늘날 사회 전반적으로도 과학 기술에 대해 냉담하고 피상적인 이해 수준에 머물러 있다.

넷째부분 : 우리의 과학 교육은 과학 기술이 인류에게 미치는 영향이나 앞으로의 전망까지 생각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바뀌어야 한다.

 

2. 윗글의 주제를 한 문장으로 쓰라.

 

글쓴이가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가를 확인하도록 한다. 문제 1에서 각 부분의 중심 내용을 파악할 때 핵심적인 내용이 들어 있는 곳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현대 사회의 지식인에게 과학 기술의 필요성을 역설하면서 우리 나라의 과학 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마지막 단락에서 과학 교육의 방향 전환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의 과학 교육은 간단한 지식 습득이나 기능 연마의 차원에서 벗어나 과학 기술이 인류에게 미치는 영향이나 앞으로의 전망까지 생각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바뀌어야 한다.

 

3. 윗글을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600자 내외로 요약하라.

전통 사회의 지식인들이 전통적 가치와 제도의 계승에 목표를 두고 고전을 배웠듯이 현대 사회의 지식인들은 새로운 가치와 제도를 창조하는 원동력인 과학 기술을 익혀야 한다. 물론 전통 사회의 지식층이 배운 고전과 현대 사회의 과학 기술과는 본질적인 차이가 있다. 전통 사회의 지식층이 배운 고전은 인간의 보편적 가치 체계를 지향하고 있는 것에 비해 현대의 과학 기술은 보편적 가치의 실현을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 하지만 이 과학 기술이란 수단이 인간의 보편적 가치에까지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볼 때 과학 기술을 익히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오늘날 세계의 모든 민족과 국가는 학교 교육을 통해 과학 교육을 실시하고 있고 우리 나라에서도 현대 과학의 최신 지식을 요약하여 이해시키는 것에 목표를 두고 과학 교육을 시키고 있다. 그런데 과학 교육의 내용이 변화하는 현대에 적응하지 못하고 구태의연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또한 과학 기술에 대해 사회적 관심도 냉담하고 피상적인 이해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제 우리의 과학 교육은 과학 기술에 대해 간단한 기능이나 지식을 익히는 수준에 머무르지 말고 과학 기술이 인류에게 미치는 영향이나 앞으로의 전망까지도 생각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바뀌어야 한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