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독해연습28 / 컴퓨터는 문학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by 송화은율
반응형

 

28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우리 문단에서는 아직 실험적인 초보 단계의 것이며 그것의 작품적 성과는 논의 이전의 것이겠지만, PC 통신 문학의 참여자들과 전문가들이 개진하는 컴퓨터 문학의 가능성은 매우 풍요로우며 그것이 열어갈 새로운 양상은 근원적인 변혁을 내포하고 있다. 컴퓨터의 발전, 응용 개발, 보급 확산에 의해 전자 출판은 여러 형태로 매우 급격하며 다양하게 진전하고 있다. 이미 우리 출판계에서도 컴퓨터를 수용하여 집필·송고1)·편집·조판2)·그래픽·장정3) 등 기존 형태의 종이책 출판 과정에 일대 변혁을 가져 왔지만, 이 종이책 전자 출판으로부터 더 나아가, 현재 한국에서도 시도 혹은 확산되고 있는 것이 비종이책 전자 출판이다. 종래의 책이 종이를 재료로 하여 제작된 것에 도전하여 개발, 보급되고 있는 이 비종이책 전자 출판은 시디롬, 메모리 카드, 전자 수첩과 같은 디스크책과 컴퓨터 단말기4)로 모뎀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문자를 읽는 화면책으로 나뉘는데, 디스크책이 저작, 편집, 포장 등 기존의 출판 체계를 보다 전위화하면서 그 출판 과정을 답습하는 것에 비해 화면책은 곧 PC 통신 문학에서 보는 것처럼, 마치 전화로 대화하듯 남의 원고를 읽고 자기 원고를 써넣을 수 있는, 기존의 출판 체계만이 아니라 저술과 유통, 수용 양식까지가 전혀 다른 급진적인 형태를 갖고 있다.

 

[] 누구나 작가가 될 수 있다. 모뎀 가입자들이, 원하기만 한다면 자신의 글을 올려넣어 남에게 읽힐 수 있다는 것은 문학의 민주주의를 위해 이 체계가 갖는 가장 강력한 장점일 것이다. 글은 작가, 시인이라는 특별한 신분만이 쓸 수 있고 써야 한다는 일종의 귀족주의적 문학관을 이것은 정면으로 부정하여, 평범한 사람의 혹은 익명의 글쓰기를 통해 자유로이 창작의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는 것은 가히 매력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범인(凡人)도 문학 창작에 참여하며 자신의 독자를 가질 수 있다는 것, 독자가 작자로 끼여들고 작자가 고쳐진 자신의 글의 독자가 되는 것, 더구나 거드름 피우는 발행자와 편집자의 심사를 거치지 않고 출판할 수 있다는 것, 그 일에 돈을 들이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은 모두의 문학을 위해 얼마나 즐거운 일일 것인가.

 

[] 텍스트5)는 자유로이 고쳐질 수 있다. 컴퓨터의 워드프로세스가 갖는 가장 큰 편리함의 하나는 그 수정과 첨삭이 자유롭다는 것인데, 이 장점이 문학에 고스란히, 아니 더욱 발전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형태가 PC 통신 문학이다. 모뎀에 얹힌 작품은 그 반응이 즉각적이며 직접적일 뿐 아니라 그 정도를 수치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이 문학의 작자는 독자와 토론을 할 수도 있고, 자신의 작품에 독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할 수 있다. 신문 소설이나 텔레비전의 드라마처럼 연속물일 경우 독자의 반응을 들을 수 있고 그 의견을 받아 자신의 작품을 수정할 수도 있지만, 그 반응은 대체로 간접적이며, 그 수정은 앞으로의 사건 전개를 위한 구상에 적용될 수 있지만 일단 발표된 부분에 대해서는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모뎀을 통한 작품 발표는 작자 자신이 이미 쓴 것을 고칠 수도 있고 독자가 고쳐 넣을 수도 있어, 텍스트는 언제나, 누구에 의해서든 자유로이 수정될 수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사건의 전개 분기점에서 여러 가능성을 제시하여 독자가 자신의 희망에 따라 다른 줄거리를 찾아 읽어나갈 수 있는 복합 줄거리 소설로 발전하게 되며, 독자는 그 중의 어느 것이든 마음대로 선택하여 읽을 수 있게 된다. 이때 하나의 소설 줄거리는 기승전결의 한 가지 문맥을 갖는다는 원리가 파괴되어 리얼리즘의 근간이 해체될 수 있다.

 

[] 이러한 텍스트의 수정의 개방성과 복합 줄거리의 생산은 텍스트란 단 하나의 것이며 그것은 완결된 것이라는 근대 문학의 원칙을 근본적으로 깨뜨리는 혁신적인 새로운 문학 원칙이 될 것이다. 그리고 작품은 내면적인 열린 결말이 아니라 형태 자체에서도 열린 줄거리로 구성되어 사건 전개의 변형과 변이는 다양하게 가능해진다. 창작자의 얼굴은 엷어지고 그가 추구하며 드러내고자 하는 문학적 진실의 존재는 희미해질 것이다. 그렇다면, 기왕의 문학의 개념은 근본적으로 흔들리지 않을 수 없게 될 것이다.

 

[] 문학은 언어만의 것으로부터 벗어난다. 이미 신문 만화를, 사진을 자신의 시 속에 삽입하여 언어 예술에 비디오성을 가미한 작품을 발표한 바 있는데 이것은 문학이 문자이기만을, 혹은 언어이기만을 부인하는 해체주의6)적 실험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이 전위7) 문학들은 여전히 문학의 언어체에 약간의 상처를 내서 그 언어성을 더 도드라지게 한 정도에 불과하다. 그런데 컴퓨터는 오디오와 비디오를 함께 갖춘 멀티미디어의 기능을 끌어들여 문학적 텍스트로 재구성하는 전혀 새로운 형태의 장르 개발의 가능성을 갖추기 시작하였다. 앨빈 루가 말하는 하이퍼픽션(hyperfiction)8)’이 그것으로서, 상호 작용성, 멀티미디어, 비직선성 등 오직 전자 매체에서만 발견되는 세 가지 특성을 결합시킨 하이퍼텍스트 문학 또는 하이퍼픽션은 스스로의 완결되지 않은 읽기와 쓰기 방식들을 가지고 지난 15년 간의 전파 혁명으로부터 태동되고, 새로운 디지털 통신 기술을 반영하고 그것에 의해 생산된(팩스, 셀 방식 전화9), 전자우편, 컴퓨터 네트워크, 비디오) 그런 새로운 문학일 것이다.

 

[] 그 실제를 알지 못하는 나로서는 그 하이퍼픽션을 어떤 모습으로 상상해야 할까. 삽화가 있는 소설책? 아니 음향도 나오고 때로는 동화(動畵)가 나타나기도 하는, 그러나 문자가 아직 더 주도적인 영화 비슷한 것? 그것이 어떤 형태의 것이든, 문자나 언어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그것으로부터 자유로워진, 그러니까 ()’자가 지워진 것은 아니지만 흐릿해지거나 불순해진 문학이 되리라는 것은 분명하다. 문학의 전제 조건적인 토대를 이루는 글 또는 말의 위치가 불순해진 문학은 어떤 의미를 가질 것인가.

 

[] 새로운 컴퓨터 문학의 확산이 기존의 문학 체계에 영향을 줄 충분한 가능성은 배제되지 않으며 글쓰기의 형태가 따라서 변모할 것이라는 예상은 여전히 유효할 듯하다. 기술의 개발과 진화는 그것을 선호하든 혐오하든 우리의 삶의 모습과 그 속에 잠긴 우리의 의식과 인식을 변화시킬 것이 분명하며, 문학 창작도 그 예외가 될 수는 없다. 그것이 어떻게 변모하며 어떤 정황으로 발전할 것인지에 대해 참여적 관찰을 해야 하는 것은 문화적 패러다임의 전환 속에서, 어떤 관념의, 어떤 형태로든간의, 문학을 지키고, 그 명예를 살려나가기 위해, 마땅히 맡아야 할 우리의 작업이 될 것이다.

 

김병익, <새로운 글쓰기와 문학의 진정성> 중에서


 

각 단락의 소주제문

[] : 컴퓨터 문학은 기존 문학에 근원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 : 컴퓨터 문학은 기존의 전문적인 문인 중심의 문학에서 벗어나 누구나 작가가 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는다.

[] : 컴퓨터 문학은 독자의 반응을 보면서 수정될 수 있고, 독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으며, 복합 줄거리 소설로 발전할 수 있다.

[] : 텍스트 수정의 개방성과 복합 줄거리의 생산은 기존의 문학 개념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다.

[] : 하이퍼픽션 등의 컴퓨터 문학은 기존의 언어 중심의 문학으로부터 벗어나기도 한다.

[] : 하이퍼픽션에서 언어의 기능과 역할은 감소된다.

[] : 컴퓨터 문학의 확산은 피할 수 없는 흐름이므로 이를 참여적으로 관찰하여 그 속에서 바람직한 문학의 방향을 찾아야 한다.

 

이 글에 대하여

현대 과학 기술의 발달은 문학에도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과학 기술의 가장 대표적인 기기인 컴퓨터'의 등장으로 인한 변화가 두드러진다. 단순하게는 원고지에 펜으로 일일이 썼던 글들이 수정과 복사가 쉽게 가능해진 컴퓨터의 워드프로세스로 대체되는 변화에서부터 하이퍼픽션'이라는 새로운 장르 개발에 이르기까지 컴퓨터의 등장은 문학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이 글은 컴퓨터의 등장이 문학의 근본 특성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가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김병익은 현존하고 있는 문학 평론가로서 문화 담론 속에서 문학의 위치를 점검하는 글을 다수 발표한 바 있다.

 

어휘풀이

1) 송고(送稿) 원고를 보냄

2) 조판(組版) 활판 인쇄에서, 원고에 따라 문선(文選)한 활자로 인쇄판을 짬, 또는 그 판. 제판(製版)

3) 장정(裝幀) 제본에서, 책을 매어 표지를 붙임 책의 모양새 전반에 걸친 의장(意匠)을 함, 또는 그 의장

4) 단말기(端末機) 중앙 처리 장치에 연결되어 자료를 입력하기도 하고 출력하기도 하는 기기

5) 텍스트(text) 교과서, 교본

6) 해체주의(解體主義 deconstruction) 포스트 구조주의의 문학 이론으로 1960년대에 프랑스의 비평가 J. 데리다가 제창한 비평이론. 주어진 것으로써의 전체성, 즉 신()이나 이성 등 질서의 기초에 있는 것을 비판하고 사물과 언어, 존재와 표상(表象), 중심과 주변 따위 이원론을 부정하고 다원론(多元論)을 내세움

7) 전위(前衛) 예술 운동 따위에서 가장 선구적인 집단

8) 하이퍼픽션(hyper fiction) 영화·소설의 재미와 예술성을 포괄하면서 그래픽·사진·음향·음악·애니메이션을 수시로 사용하는 컴퓨터 소설. 기존의 영화·소설 등과 결정적으로 다른 것은 이야기 구조가 하나의 선()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중의 방향(multidirection)을 갖는다는 것과 일방적으로 독자가 정보를 제공받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와 텍스트가 상호 작용(interactivity)한다는 것임

9) 셀 방식 전화(cellular phone) 컴퓨터로 제어되는 중계국을 통해 공중 전화 회선과 접촉하는 휴대용 무선 전화 시스템. 이런 낮은 출력의 무선이 충분히 도달할 수 있도록 한 도시를 여러 개의 작은 셀(반경 510km)로 나누어 각 셀 중심에 중계국을 설치함

 

생각해보기

1. 이 글에 나타난, 컴퓨터로 인한 문학의 변화 양상을 150자 내외로 요약하라.

2. ()에 의하면 컴퓨터 문학은 언어만의 것으로부터 벗어난다고 했는데, 과연 언어에 의존하지 않는 문학이 문학일 수 있는지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쓰라.

3. 이 글을 바탕으로 컴퓨터 문학의 부정적인 측면을 두 가지 이상 제시하라.

 

~~그렇구나

 

주장과 논거

컴퓨터가 문학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밝히고 있는 글이다. 현대 사회의 변화를 몰고 온 컴퓨터가 문학에 있어서도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고 밝히고, 그 변화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분법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최대한 객관적인 시각으로 지금의 변화 양상을 서술하고 있는 필자의 태도가 돋보인다. 다양한 예를 통해 컴퓨터에 의한 문학의 변화된 양상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변화된 정황에서 문학을 지키기 위해서는 현재 상황에 대한 참여적 관찰이 필요하다.’는 다분히 당위적인 주장만을 하고 있다. , 이 글은 논설문보다는 설명문의 성격을 짙게 띠고 있는 것이다

 

구성

한 편의 완결된 글로서의 구성을 갖추고 있다고 보기 어려운 글이다. 긴 평론 중 한 부분을 발췌하여 제시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임의로 구성 체계를 구분한다면 ()는 서론, ()()는 본론, ()는 결론에 해당된다. ()에서는 컴퓨터 출판과 PC 통신 문학을 통해, 컴퓨터 문학의 가능성과 이것이 몰고 올 근본적인 변혁을 말하면서 논제를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에서 ()까지는 ()에서 제기한 컴퓨터 문학이 몰고 올 변화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누구나 작가가 될 수 있다(), 텍스트의 수정이 자유로워지고 복합 줄거리 소설이 가능해진다(), (), 문학이 언어만의 것으로부터 벗어난다(), ()는 것이 필자가 제시하고 있는 문학에서의 변화된 양상이다. ()에서는 ()의 내용을 토대로 해서 기존 문학의 개념이 변화할 것임을 예측하고 있다. ()에서는 ()에 제시된 하이퍼픽션의 모습에 대해 예상하고 있다. 결론의 역할을 하고 있는 ()에서는 컴퓨터 문학의 확산은 피할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며, 따라서 이것을 관찰하고 그 속에서 바람직한 문학의 방향을 찾아야 한다는, 필자의 입장을 밝히고 있다.

 

표현

이 글은 대체적으로 쉽고 평이한 언어로 서술되어 있다. 간혹 긴 문장이 보이기는 하지만 의미 파악에 어려움은 없다. 그리고 각 단락에서 말하고자 하는 소주제도 분명하여 중심 내용 파악에도 큰 어려움이 없다.

 

생각해보기

1. 컴퓨터의 영향을 받아 문학은 과거 전문 작가 중심의 글쓰기에서 벗어나 모든 사람이 작가가 될 수 있는 길을 열어 두며, 작품의 자유로운 수정을 가능하게 하며, 언어 중심의 문학에서 벗어나 다양한 시각적인 요소들을 가미하게 될 것이다.

2. 많은 사람들이 말하기를 문학은 언어 예술이라고 한다. 음악이 소리, 미술이 선과 색에 의존하듯이 문학은 언어를 통해 표현되는 예술이라는 뜻이다. 컴퓨터는 이러한 언어 중심의 문학관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는데, 이는 진정한 의미의 문학이라 하기 어렵다. 문학에서 언어는 단순히 내용(작가의 사상·감정)을 전달하는 수단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언어 자체가 심미적인 대상이기 때문이다.

3. 원작의 개념이 없어진다. 문학의 진지성이 퇴색하고 상업화·오락화된다. 언어에 대한 탐구가 부족해진다.

-도서출판 늘 푸름 미디어-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