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독(毒)을 차고 - 김영랑

by 송화은율
반응형

()을 차고 - 김영랑

 

 

내 가슴에 독()을 찬 지 오래로다.

아직 아무도 해()한 일 없는 새로 뽑은 독

벗은 그 무서운 독 그만 흩어버리라 한다.

나는 그 독이 선뜻 벗도 해할지 모른다 위협하고,

 

독 안 차고 살어도 머지 않아 너 나 마주 가버리면

억만 세대(億萬世代)가 그 뒤로 잠자코 흘러가고

나중에 땅덩이 모지라져 모래알이 될 것임을

허무(虛無)한듸!’ 독은 차서 무엇하느냐고?

 

! 내 세상에 태어났음을 원망않고 보낸

어느 하루가 있었던가, ‘허무한듸!’ 허나

앞뒤로 덤비는 이리 승냥이 바야흐로 내 마음을 노리매

내 산 채 짐승의 밥이 되어 찢기우고 할퀴우라 내맡긴 신세임을

 

나는 독을 차고 선선히 가리라

막음 날 내 외로운 혼() 건지기 위하여.

 

(문장 10, 1939.11)


작가 : 김영랑(1903-1950)

본명은 윤식(允植). 전남 강진 출생. 일본 아오야마[靑山]학원에서 수학. 시문학으로 등단. 시문학동인.

그는 목적의식을 배제하고 유미적이며 이상적인 순수시를 썼다. 그의 시는 잘 다듬어진 언어를 재료로 정교한 율조를 이루며, 이를 통해 인간 내면의 섬세하고 영롱한 서정을 노래하였다. 대표작 모란이 피기까지는은 설움받은 민족의 희망을, 봄을 기다리는 작자의 마음에 의탁하여 읊은 격조 높은 서정시이다.

시집으로는 영랑시집이 있다.

 

 

<핵심 정리>

 

감상의 초점

30년대 말은 일제가 단말마(斷末魔)의 발악을 하던 때다. 우리에게서 국어를 빼앗고, 심지어 일본식 성명까지 강요하게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시인은 아름다운 노래만을 부를 수가 없었을 것이다. 이 시는 그러한 상황에서 작가가 순수 서정의 세계에서 나와 현실 상황과 대결하는 자세를 시화(詩化)한 것으로 보인다.

이 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제재인 ()’이 뜻하는 바를 이해해야 한다. 이는 험난하고 궁핍한 현실 속에서 치열하게 살아가려는 대항 의식이며 순결의 의지다.

성격 : 의지적, 직서적, 저항적, 상징적, 우의적

어조 : 결연한 남성적 어조

표현 : 주정적 정감의 직서적 표출

특징 : 상징에 의한 심상, 두 삶의 자세의 대조

구성 : 화자의 이동에 따른 구성

벗과의 대화(1)

벗의 충고(2)

()을 찬 배경(3)

나의 결의(4)

제재 : ()

주제 : 순결한 삶의 의지. (식민지 현실에 대한 대결 의식과 삶의 의지)

 

 

<연구 문제>

1. ‘의 삶의 태도는 다르다. 어떻게 다른지 그 차이점을 한 문장으로 설명하라.

은 허무주의에 빠져 현실에 순응하면서 적당히 살려는 태도를 취하고 있는 데 반해, ‘는 암담한 현실에 대한 대결 의식을 지니고 살아가는 결연한 태도를 보인다.

 

2. 이 시의 중심 심상인 ()’이 뜻하는 것은 무엇인가? 3연의 내용을 고려하여 15자 내외로 쓰라.

암담한 현실에 저항하려는 의지. (현실에 대한 대결의 의지, 자기 방어의 의지)

 

3. 의 궁극적 목적은 무엇인가? 이 시에 나오는 시구를 찾아 쓰라.

내 외로운 혼 건지기 위하여

 

 

< 감상의 길잡이 1 >

현실 세계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언표(言表)하기를 그토록 꺼려 왔던 영랑으로서도 참을 수 없게 만든 일제 말기의 발악적인 분위기가 어떤 것이었던가를 짐작케 해 주는 작품이다.

 

앞뒤로 덤비는 이리 승냥이 바야흐로 내 마음을 노리매 / 내 산 채 짐승의 밥이 되어 찢기우고 할퀴우라 내맡긴 신세임을깨닫고 화자는 마음에 ()’을 품는다. 물정 모르는 사람처럼 마음의 평화를 갈구해 오던 영랑이기에 그의 속 어디에 이런 독기가 숨어 있었나 싶게 충격을 준다.

 

땅떵이 모지라져 모래알이 될이 허무한 세상에서 머지 않아 너 나마저 가 버리면그만인데 독을 차고 살아서 무엇하느냐고 충고를 한다. 그러나 는 나를 노리는 식민지 현실 속에서 태어난 사실마저 저주하며 선선히 독을 차고 가리라고 다짐한다.

 

이 원망스러운 세상에서 단지 육신의 안일만을 추구하며 산다는 일이, 맑고 평화로운 마음의 세계를 지향해 온 영랑으로서는 견딜 수 없는 것이었으리라. 그래서 현실 순응주의를 버리고 그는 끝내 외로운 혼 건지기 위하여현실에 맞서 저항할 것을 결의한다.

 

프란츠 파농의 말을 빌면, 식민지 시대의 민중들은 제 땅에서 유배당한 자들이다. 앉아서 짐승의 밥이 되기보다는 저항함으로써 ()’을 건지겠다는 영랑의 결의는 그가 살았던 한 시대를 넘어서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 크다.

 

 

< 감상의 길잡이 2 >

이 시는 󰡔문장󰡕 10(1939.11)에 발표되었다. 1930󰡔시문학󰡕지를 통해 순수 서정시, 유미주의 시로 출발했던 김영랑도 일본 제국주의의 발악적 탄압이 극심해진 상황에서는 더 이상 순수미만을 추구할 수 없게 되었고, 나아가 현실에 눈을 돌리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그리하여 죽음에의 의지와도 같은 단단한 결의을 품을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1연에서는 독을 차고 세계(현실)와 맞서 싸우겠다는 자신의 확고함과 그 강도를 보이고, 2연에서는 모든 인간사가 허무한 것이라는 벗의 의견을 보인다. ‘독을 차서 무엇하느냐고?’는 벗의 의견에 대한 화자의 반문이다. 3연은 화자의 대답이다. ‘이리 승냥이같이 덤비는 일제의 중압이 있는 극한 상황에 대한 시인의 현실 인식이 드러난다. 그리하여 마지막 연에서 화자는 다시 한번 자신의 결단의 의연함과 확고함을 천명한다. 이러한 결단과 의지는 허무주의와 일제의 탄압에 대한 항거인 동시에 시인 자신의 내면적 순결을 지키려는 의지로 해석할 수 있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