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군(農軍) / 요점정리 / 이태준
by 송화은율작자소개
이태준(李泰俊: 1904- ? )
강원도 철원 출생. 호는 상허(尙虛). 동경 상지대학 예과 중퇴. 1925년 <시대일보>에 <오몽녀(五夢女)>로 등단. 이화여전 강사, <조선 중앙일보> 학예부장 역임. <구인회(九人會)> 동인. <문장>지 주관. 해방 후 <조선 문학가 동맹 중앙 집행 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좌익 문학 운동을 하다가 1946년 월북함. 그는 탁월한 미학적 문체로 예술적 정취가 짙은 단편을 남겼다. 그는 이러한 서정적 작품 속에서도 시대 정신을 추구한 작가로 평가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까마귀>, <달밤>, <사냥>, <제2의 운명>, <불멸의 함성> 등이 있다.
요점정리
갈래 : 단편소설
배경 : 만주 만보산 지역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성격 : 리얼리즘적 경향
문체 : 현재법과 짧은 문장의 반복.
의의 : 만보산 사건의 소설적 형상화
제재 : 조선 농민들의 끈질긴 생명력
주제 : 생존을 위한 재만(在滿) 조선 농민들의 끈질긴 삶의 투쟁.
인물 : 유창권(柳昌權) - 만주로 이주한 20대의 조선 농민.
할아버지 - 창권의 조부. 고향에 대한 애착을 갖고 있는 노인.
어머니 - 창권의 어머니.
처 - 방적 회사에 다녔던 창권의 처.
황채심 - 쟝자워프의 조선인 지도자. 창권의 스승.
경상도 노인 - 수로 공사 도중 중국 군인의 총에 맞아 죽는 노인.
구성 : 발단 - 유창권 일가가 고향을 등지고 만주 장춘에 도착한다.
전개 - 그들은 새로운 세계에 대한 불안감을 나타낸다.
위기 : 조선 농민의 집단촌에 정착하여 새로운 삶을 시작한다.
절정 : 수로 공사를 둘러싸고 만주인과 극심한 갈등을 빚는다.
결말 : 온갖 어려움을 무릅쓰고 수로를 완성한다.
이해와 감상
1939년 <문장>에 발표된 단편 소설. '순수 문학의 기수'라는 이태준의 작품으로는 매우 이례적으로 작가의 현실 인식의 수준을 보여 주는 작품이다. 1930년대 만주로 이주한 조선 농민들의 처절한 투쟁의 기록이자, 실제 있었던 '만보산 사건'을 다루고 있는 이 작품에서 우리는 일제 치하 우리 농민의 궁핍한 모습은 물론 끈끈한 생명력을 엿볼 수 있다.
<농군(農軍)>은 이태준 소설 중에서는 특이하게 농민들의 생존을 위한 끈질긴 투쟁의 모습을 리얼리즘의 기법으로 담고 있다. 작가가 작품의 서두에서 "이 소설의 배경 만주는 그전 장작림 정권 시대임을 말해 둔다."고 밝히고 있듯이, <농군>은 1931년에 있었던 '만보산 사건'을 소설로 형상화하고 있는 작품이다.
'만보산 사건'이란, 만주 토착민과 조선에서 이주한 농민 사이에 있었던 갈등이 빚은 사건이다. 실제로 1932년 4월 만주로부터 만보산 지역 미개간지를 조차(租借)한 일본인이 이를 다시 조선의 농민에게 10년 기한으로 빌려 주고 180여 명의 조선 농민을 끌어들이면서 만주 토착민과의 갈등은 시작되었다.
조선에서 만보산 지역으로 이주한 농민들은 벼농사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이퉁허'로부터 20여 리(里)의 수로(水路)를 만든다. 이 수로 공사로 인해 부근의 토착 중국 농민들이 피해를 입게 되자 그들은 당국에 고발하는 한편, 조선 농민들이 만든 수로와 제방을 파괴한다. 이에, 조선 농민들의 공사를 보호하기 위해 현지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 경찰이 사격까지 가하며 중국 농민들을 강압적으로 해산시킨다. 이러한 사실을 왜곡하여 만주인들의 만행(蠻行)이라고 조선에 보도함으로써 한때 조선에서는 만주인 배척 운동과 함께 만주인에 대한 살인, 테러 등이 횡행했다. 결국, 일본의 만주 침략의 구실을 만들어 주었을 뿐이다.
그러나 소설 속에서는 다소 사실과 다르게 묘사되어 있다. 즉, 기본적인 골격은 동일하지만, 사건의 해결 주체는 상이(相異)하다. 실제 사건에서는 조선 농민들이 보호받는 대신 일본 경찰이 중국 농민에게 사격을 가했지만, <농군(農軍)>에서는 중국 군인들이 조선 농민들의 수로 공사 저지를 위해 무차별 사격을 가해 주인공 '유창권'의 다리에 관통상을 입히고 경상도 노인을 죽이고 있다.
이러한 점이 바로 사전 검열이 강화되던 1937년이라는 시대적 상황에서 이 작품의 발표를 가능하게 했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이태준이 조선 농민들의 끈질긴 생명력을 형상화하겠다는 민족주의적인 생각으로 작품을 썼다고 하더라도 결국에는 일제의 정치적 야욕에 부응 또는 협조한 결과를 초래했다. 이태준은 이 <농군(農軍)>을 통해 그가 줄곧 견지해 온 순수 문학적 태도를 청산하고 용감하게 현실 속으로 뛰쳐나오려는 변혁을 시도했는지는 모르나, 결과적으로는 소박한 현실 인식만을 보여 줄 뿐, 그 이상의 의미는 찾기 힘들다고 하겠다.
줄거리
척박하고 좁은 농토에서는 도저히 삶을 영위할 수 없어서 유창권 일가는 만주 땅 장춘으로 향한다.
이들 일행은 조선 농민들의 집단촌인 '쟝자워프'에 정착하여 새로운 삶을 시작한다. 젊은 유창권 내외는 새벽 일찍 잠이 깨어 차창 밖으로 전개되는 신천지를 바라보며 웬지 모를 불안감에 젖는다.
조선 농민들이 그들의 농토에서 30리나 떨어진 '이퉁허'라는 하천에서 끌어 오는, 논농사에 필요한 수로 공사(水路工事)를 벌이는데 난데없이 일단의 중국 토착민이 습격한다. 중국 토착 농민들이 수로 공사를 반대하는 것은 이로 말미암아 그들의 밭이 피해를 입는다는 이유에서였다.
이에, 조선 농민들은 부인들까지 낫과 식칼을 들고 나와 대항한다. 이 위세에 눌려 중국 토착민들은 흩어진다. 유창권은 이를 목격하고 새로운 '의식의 눈'을 뜨게 된다. 이 와중에 창권의 할아버지는 운명(殞命)하고 공사는 중단된다.
봄이 되어 수로 공사를 재개하자 중국인들이 관청에 진정(陳情), 급기야 돈에 매수된 중국 군인들이 출동하여 공사를 저지한다. 생각다 못해 이번에는 조선 농민 대표자들이 그 부당성을 관청에 진정하지만 오히려 감금당했다가 9일 만에 풀려 나온다.
중국인들은 황채심 등 조선 농민 대표자로 하여금 주민들을 회유시키고자 하지만 황채심은 오히려 농민들을 향해 끝까지 뜻을 관철시키라고 격려한다. 이에, 사기가 오른 조선 농민들은 빗발치는 총탄을 무릅쓰고 공사를 강행하여 기어이 생명의 젖줄인 수로를 뚫는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