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논술의 핵심11 - 원고지 사용법

by 송화은율
반응형

) 한 칸에 한 자씩 쓴다.

다만, 알파벳(소문자)이나 아라비아 숫자 등은 한 칸에 두 자씩 쓰는 것이 좋다. 모든 문장 부호도 각각 한 칸을 씀을 원칙으로 한다.

알파벳 대문자는 한 칸에 한 자씩 쓴다.

 

2) 문단의 첫머리는 한 칸을 비우고 둘째 칸부터 쓰기 시작한다. 이것은 새 문단의 시작을 의미한다.

(줄의 맨 끝이 비워야 할 차례인데 비울 칸이 없을 경우 다음 줄 첫 칸을 비워서는 안 되며, 이런 경우 줄의 맨 끝에 띄어쓰기 표()를 질러 띄는 곳임을 표시하고 다음 줄 첫 칸은 메워 쓴다.)

 

3) 띄어쓰기는 맞춤법 통일안에 따라 지켜져야 하며, 문장 부호 다음에도 한 칸을 비우는 것이 원칙이나 반점( , )과 온점( . ) 다음에는 관습상 한 칸을 비우지 않는다.

 

4) 느낌표(!)나 물음표(?) 등은 칸의 한 가운데에 쓰나, 따옴표(" "), 온점( . ), 반점( , ) 등은 칸의 구석에 치우치도록 쓴다.

 

5) 부호가 찍혀야 할 자리에서 줄이 끝나고 다음 줄로 넘어갈 경우, 그 부호를 다음 줄 첫 칸으로 넘기지 말고, 마지막 칸 속에 함께 표시해 준다. 이것은 줄 첫머리가 ( . ), ( , )로 시작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6) 대화는 줄을 바꾸어 쓰되 큰따옴표(" ")를 붙인다. 줄의 첫칸을 비우고, 둘째 칸에 따옴표가 오게 한다.

 

7) 긴 인용문은 6)의 경우(대화)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한다.

의존 명사는 반드시 띄어쓰기

바는, 줄을, 것이다, 데가, 만큼 등

 

 

 

1 장 원고지 쓰기의 기초

 

1 절 원고지의 첫머리 쓰기

원고지의 첫머리에는 글의 종별, 제목 및 부제, 소속과 성명 등을 용지 첫 장의 처음에 쓴 다

 

1. 글의 종별쓰기

원고지 1행의 두 칸부터 글의 종별을 쓴다. 예를 들어 시면 <>라고 쓰고, 그밖에는 <소설>, <희곡>,<수필>,<기행문>이라고 표시한다. 간혹 글의 종별 표시 없이 비워두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원고지 사용법에 무관심하기 때문이다.

 

2. ‘제목부제쓰기

. 제목은 2행 중심부에 쓰되, 만약 제목이 두서너 자일 때에는 두어 칸씩 벌려 써서 미적 조화를 이룬다.

<참고> 제목의 글자도 한 칸에 한 자씩 쓴다. 간혹 행과 행에 걸쳐서 적거나 두 행을 잡아 크게 적기도 하는데 그것은 인쇄되는 출판물에서 비롯되는 잘못이다.

. 제목을 쓸 때에는 문장 부호에 유의한다

. 마침표는 찍지 않는다.

. 물음표와 느낌표는 가급적 붙이지 않도록 한다.

. 같은 계열의 단어가 열거될 때에는 쉼표 대신 가운뎃점을 쓴다.

. 줄임표는 사용하지 않는다.

. 제목이 길 때에는 두 행을 잡아 쓴다. 이때에도 두 행 중 첫 행은 좌측으로, 둘째 행은 우측으로 치우쳐 쓴다.

. 부제가 있으면 본제목 아랫줄에 쓰되 양 끝에 줄표(-)를 표시한다.

 

3. ‘소속성명쓰기

소속과 성명은 원칙적으로 제목 아래의 1행을 비우고 난 뒤 4행부터 쓰는 것이나 소속은 3행에 성명은 4행에 오른쪽으로 치우쳐 쓰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 소속의 끝자는 3칸을 성명은 2칸을 소속 다음 행에 끝에서 비우고 쓴다.

<참고> 성과 이름을 붙여 쓴다. 다만, 성과 이름을 분명히 구별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띄어 쓸 수 있다.

. 성명의 각 글자 사이는 시각적 효과를 고려하여 널찍이 한 두 칸 씩 띄어 써도 무방하다.

<참고> 소속 없이 성명만 적거나 소속, 성명을 한 줄에 적는 경우에는 제목 아래 한 줄을 비워 답답하지 않게 한다.

 

 

2 절 원고지의 본문 쓰기

 

1. 글자는 한 칸에 1자씩 쓴다

원고 용지의 한 칸에 한 자씩만 쓴다. 칸을 무시하고 한 칸에 두 자씩 쓴다던가 또는 두 칸에 석 자씩 쓰게 된다면 원고지를 쓰는 뜻이 무시된다.

 

2. 숫자와 알파베트 쓰기

. 로마 숫자, 알파베트 대문자 그리고 낱자로 된 아라비아 숫자와 알파베트 소문자는 한 칸에 한 자씩 쓴다.

<참고> 분수는 사선을 그어 나란히 쓰는 방법도 있지만, 원고지에서는 다소 불편하더라도 일상의 습관처럼 위아래로 적는 것이 자연스럽고 혼동이 적다.

. 두 자 이상의 아라비아 숫자나 알파베트 소문자는 한 칸에 두 자씩 쓴다.

 

3. 앞 칸 비우기

. 글을 처음 시작할 때, 단락이 바뀔 때마다 그 행의 첫 칸을 비우고 둘째 칸부터 쓴다.

. 대화는 행을 바꾸어 쓰되 전체 내용을 첫 칸은 비우고 둘째 칸부터 따옴표로 시작한다. 또한 대화가 아무리 짧아도 두 사람의 대화를 한 줄에 같이 쓰지 않는다.

. 본문에 인용문을 사용할 때에, 줄을 따로 잡아 쓰는 경우에는 인용문 전체를 한 칸 씩 들여 쓴다.

<참고> 문단이 지나치게 길면 답답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3,4백자 길이에 하나의 문단이 이루어지도록 유의하는 것이 좋다.

. 항목별로 나열할 때는 한 칸씩 비우고 쓴다.

. 소항목 표제 또는 단락 표제를 표시할 때도 첫 칸을 비우고 쓴다.

. 인용문 내에서 문단이 바끨 때 앞의 두 칸을 비운다.

. 시나 시조 등 운문을 쓸 때나 인용할 때는 앞의 두 칸을 비운다.

 

 

4. 첫 칸을 비우지 않을 때

. 하나의 단락이나 글월 내에서는 처음의 시작을 제외하고는 절대로 첫 칸을 비우지 않는다. 어디까지나 첫 칸을 비우는 것은 새로운 문단이 시작된다는 약속이므로 띄어쓰기를 한다고 첫 칸을 비우게 되면 문단의 첫머리를 비운 것과 혼동되어 문장의 격식을 이해하는데 혼란을 주게 된다. 따라서, 공교롭게도 즐의 끝에서 비울 칸이 없을 경우에는 띄우는 표시만을 지르고 첫 칸부터 글을 써 나가야 한다.

. 대화나 인용문 다음에 연결되는 -, -(), -하고, -하기에, -등의, -한다 등 이어받는 말은 다음 줄 첫 칸부터 쓴다.

 

3 절 문장 부호 쓰기

 

. 문장 부호도 한 글자로 취급하여 한 칸에 하나씩 표시한다.

. 물음표, 느낌표, 등의 문장 부호 다음은 한 칸씩 띄어 쓴다.

. 줄표(-)는 두 칸을 차지한다.

. 줄임표(......)는 한 칸에 석 점씩 3, 6, 9, 12......, 초항 3, 3을 공차로 하는 등차 수열로 찍는다.

. 문장 부호가 잇달아 오거나, 문장 부호의 숫자 알파베트 등이 연이어 쓰일 때는 각각 다른 칸에 쓴다.

. 줄 끝에서의 부호 처리

. 글자가 오른쪽 끝의 칸을 차지하여 문장 부호를 찍어 칸이 없을 때는 칸밖의 여백에 끼움표() 속에 처리한다.

. 따옴표나 묶음표와 같이 두 부호가 마주 한 짝을 이룰 때는 줄 끝에서 시작되는 것을 피하여 끝의 칸을 비우고 다음 줄 첫 칸부터 부호를 처리해도 무방하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