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내 생애 가장 따뜻한 날들 / 박동규

by 송화은율
반응형

내 생애 가장 따뜻한 날들 / 박동규(朴東奎)

 

군고구마 장수

벌써 날씨가 쌀쌀해졌다. 가을이 속절없이 가고, 서리가 온 벌판을 덮으며 겨울의 옷자락이 살며시 다가오면, 도시의 길가 한 구석에 군밤이나 군고구마 장수들이 나타나게 된다.

 

환도를 하고 폐허가 된 서울에 사람들의 모습이 등장하던 1955년 초겨울, 우리 동네 어귀에도 군고구마 장수가 등장했다. 드럼통을 두드려 만든 군고구마 통을 껴안고 앉아 면장갑을 끼고 고구마를 구워 내던 우리 동네 아저씨는 서른 살쯤 되어 보이는 청년이었다.

 

그는 낮 동안에는 어디를 갔는지 보이지 않았다. 덩그렇게 불 꺼진 군고구마 통만이 전봇대 아래에 놓여 있다. 내가 학교에서 돌아와 골목에서 한참 아이들과 놀다 보면, 아저씨는 고구마 통에 불을 지피느라고 연기를 피우곤 했다. 연기는 골목을 휘감아 큰길로 뻗어 나가곤 했다. 해가 뉘엿뉘엿 지고, 한강 물이 붉게 물들 무렵에야 아저씨는 담요로 덮은 고구마 통을 끼고 앉아 있었다.

 

고등 학교에 다니던 내 또래들은 군고구마를 사 먹을 만한 돈이 없어서 아저씨 앞에 자주 설 수 없었다. 어쩌다가 한 아이가 사면 빙 둘러서서 한 입씩 먹어 보는 것이 고작이었다.

 

우리는 동네의 작은 네 갈래 길에 서 있는 전봇대에 농구대를 달아 놓고 편을 갈라 놀았다. 그러다가 잠시 쉴 때면 건빵을 한 봉지를 사서 나누어 먹곤 했는데, 그 때가 우리에게는 가장 즐거운 시간이었다.

어느 날 저녁 무렵, 우리는 편을 갈라 농구를 하고 있었다. 그 때, 군고구마 장수가 우리에게 다가왔다. 그리고 우리가 하고 있는 농구놀이에 끼워 달라는 것이었다. 한 아이가 웃으며

󰡒아저씨는 어른이잖아요?󰡓

하고 쳐다보았다. 그래도 아저씨는

󰡒, 나도 좀 끼면 안 되겠니?󰡓

하는 것이었다. 어정쩡하게 아저씨도 한패가 되었다. 키는 우리보다 컸지만 민첩하지 않아서 별로 위협적이지는 않았다. 이렇게 해서 아저씨는 우리와 함께 농구를 하게 되었다.

 

우리 중에는 전쟁으로 어머니를 잃고 아버지와 어린 동생 둘과 함께 살아가는 중학교 3학년짜리 아이가 있었다. 이 아이는 항상 누런 얼굴로 골목에 나와 있었는데, 누가 쉴 때에 잠시 우리 놀이에 끼어들 수 있었다. 그렇지만 농구공을 잡는 것도 힘겨워 보일 정도로 힘이 없어 보였기에, 누구도 한패가 되는 것을 꺼려하였다. 그런데 이 아이가 언제부터인지 모르는 사이에 농구를 잘 하게 되어 우리를 놀라게 하였다. 어느 날 저녁, 우리는 두 패로 갈라서 건빵내기 농구 경기를 하였는데, 이 아이의 활약으로 그가 속한 팀이 이기게 되었다. 모두 놀랐다. 그 후로도 며칠 동안 이 아이가 속한 팀이 꼭 이기는 것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밤, 경기가 끝나고 뿔뿔이 집으로 돌아갈 때였다. 이 아이는 윗동네 산꼭대기에 있는 움막 같은 판자촌에 살고 있어서 윗길로 가야 하는데, 우리 집 쪽으로 나를 따라오는 것이었다. 나는 그에게 왜 집에 가지 않고 이 쪽 방향으로 오느냐고 물었지만, 그는 그냥 웃기만 했다. 집에 들어오니, 시골에서 친척 한 분이 올라와 있었다. 친척에게 몇 푼의 용돈을 탄 나는 군고구마를 사러 다시 골목길로 나갔다. 그런데 어두운 골목 끝 카바이드 등불이 출렁거리고 있는 군고구마 통 옆에 그 아이가 아저씨와 다정하게 앉아 있는 것이 보였다. 이튿날, 골목에서 그 아이를 만났을 때 사연을 들을 수 있었다. 아저씨가 밤이면 팔다 남은 군고구마를 주고, 또 학비도 도와 준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그 아이는 배고픔을 잊게 되었고, 힘이 솟아나 농구를 잘 할 수 있게 된 것이었다. 나는 이 사연을 친구들에게 퍼뜨렸고, 우리는 건빵내기 대신에 군고구마내기를 하게 되었다. 군고구마 장수 아저씨는 가난한 동네 아이 둘을 이렇게 돕고 있었다.

 

아저씨는 봄이 될 무렵, 다른 장사를 해야 한다며 우리 곁을 떠났지만, 그 후에도 아이를 도와 주는 일은 그치지 않았다.

가난하지만 마음씨 착했던 군고구마 장수 아저씨가 우리와 한패가 되어 놀면서, 어질고 착하게 자라기를 빌던 아름다운 마음을 지금도 기억하고 있다. 아이들과 함께 놀아 주던 아저씨의 그런 따뜻한 정이 지금은 왜 사라지고 없을까?

 

어제 내가 아파트 문을 나설 때, 아이들이 골목에서 공차기를 하고 있었는데, 공이 내 앞으로 굴러왔다. 얼른 발로 아이들에게 차 주자, 아이들이 하고 소리를 질러서 얼마나 좋았는지 모른다. 나는 공을 한 번 차 주어도 좋아하는 아이들과 친하게 지내고 싶다.

 

골목길 가게 아저씨

서울에 살면서 원효로 4가 근처에서만 50년을 살았다. 아버지는 한강 가 원효로를 좋아해서 다른 곳으로 이사 갈 마음도 먹지 않았다. 세 번 이사를 했지만 원효로 4가 근처에만 살았기 때문에, 근처에 오래 산 사람들은 모르는 이가 없을 정도였다. , 단독 주택에만 있어서 골목길에 대문을 맞대고 있는 이들과는 자연스럽게 인사를 하고 지냈다. 우리는 이웃과 함께하며 살았다.

 

우리가 자랄 때, 학교에 기성회비를 가져갈 날이 되어 아침에 어머니에게 손을 내밀면, 어머니는 아무 말도 없이 밖으로 나갔다가 돌아와 우리 손에 돈을 쥐어 주었다. 옆집 기승이네 집이나 앞집 원철이네 집에 가서 빌려 왔으리란 것을 쉽게 알 수 있었다. 이렇게 한 곳에 오래 사는 동안 친하게 된 이웃 중에 잊혀지지 않는 한 아저씨가 있다.

 

내가 고등 학교에 다닐 때였다. 어머니가 학교에서 돌아오는 길에, 시청 뒤에 있는 이모네 가게에 들러서 돈봉투를 전해 주고 오라고 했다. 빌린 돈을 갚는 것이었다. 그 당시에는 꽤 큰 돈이어서 어머니는 몇 번이고 조심해서 가져다 주라고 당부했다.

 

학교가 광화문 근처에 있어서 학교가 파한 후 걸어서 시청 뒤 이모네 가게로 갔다. 가게 문 앞에 서서 가방을 열어 보니 봉투가 보이지 않았다. 학교에서 나올 때는 분명 가방 안에 있었다. 생각해 보니, 학교에서 나와 광화문으로 오는 길에 서점에서 참고서를 한 권 사느라고 가방을 열었다. 그 때 나는 선생님이 말한 참고서가 무엇인지를 알려고 가방을 열고 노트를 꺼낸 적이 있었다. 노트를 꺼낼 때에 봉투가 붙어 나오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무리 뒤져도 봉투가 없었다. 할 수 없이 뒤돌아 원효로행 버스를 탔다. 동네에 왔지만 집으로 갈 수가 없었다. 골목 어귀에 있는 구멍가게로 갔다. 구멍가게에는 아이들이 와서 앉을 수 있는 나무로 된 의자가 있었다. 나는 거기에 혼자 앉아 있었다. 귀신이 곡할 노릇이었다. 풀이 죽어 밤이 되도록 나무 의자에 앉아 있었다. 용기가 나지 않았다.

밤이 깊었을 때였다. 부지런히 손님을 맞이하고 배달을 하느라고 부산스럽던 아저씨가 나에게 다가오더니

󰡒, 무슨 일이 있니?󰡓

하고 물었다. 나는 솔직하게 다 말했다. 그러자 아저씨는 이모네 집으로 전화를 해서, 어머니의 심부름을 맡았는데 얼마를 가져다 드려야 하는지를 묻더니, 안으로 들어가 이모네 집에 가져다 주어야 할 만큼의 돈을 흰 봉투에 넣고 내 손에 쥐어 주면서

󰡒이모에게 가져다 드려라. 그리고 네가 어머니에게 말할 수 있게 되어 어머니가 다시 주시거든 나에게 갚아라.󰡓

하는 것이었다.

그 날 밤, 나는 어머니에게 야단을 맞지 않았다. 그러나 아저씨에게 갚을 것이 문제였다. 한 달 가까이 나는 아저씨네 가게를 피해서 다녔다.

그러던 어느 날, 버스 안에서 아저씨를 만났다. 아저씨는 웃으며

󰡒아직 말씀을 못 드렸지? 천천히 해라. 실수는 누구나 하는 거야. 가게에 놀러 오너라.󰡓

하는 것이었다. 아저씨를 보기가 민망해서 고개를 숙였다.

곰곰이 생각해 보니 어머니께 말씀드리는 것이 훨씬 마음이 편할 것 같았다. 그 날 밤, 어머니에게 사실을 털어놓았고, 어머니는

󰡒얼마나 마음 고생을 했니? 잃어버렸다고 하지 그랬어?󰡓

하고 나를 다독거려 주셨다. 다음 날 어머니는 아저씨에게 가져다 드리라고 흰 봉투를 나에게 주셨다.

이 아저씨는 이웃에 살면서 어린 우리를 껴안고 사람 되는 법을 일러 주며 어려운 짐을 함께 져 주던 멋진 이웃이었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