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향의 ‘뽕’ 해설
by 송화은율나도향의 ‘뽕’ 해설
1925년12월 「개벽」에 발표된 나도향의 단편「뽕」은 「벙어리 삼룡」, 「물레방아」와 함께 작가의 후기 사실주의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경제와 물질이 정신과 윤리에 우선하는 1920년대 식민지 현실세계의 추악한 모습을 생생하게 드러내고 있는 이 작품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강원도 철원에 사는 땅딸보, 아편쟁이 노름꾼 김삼보 그의 아내 안협 집이 부부가 된 데에 대해서 억측만이 구구할 뿐 자세한 내력을 아는 사람이 없다. 안협집은 인물이 고운 대신 무식하고 돈만 알아 정조관념이 희박한 여자이다. 노름에 미쳐 집안을 돌보지 않는 남편을 대신해서 안협집은 동네 삯일을 하며 지내던 중, 어느 집 서방에게 당하고 쌀과 피륙을 받았다. 이를 계기로 그것처럼 좋은 벌이가 없음을 깨닫고 나자 안협집은 자진해서 그런 벌이에 나서게 되었다.
힘이 세어 호랑이 삼돌이라고 불리는 뒷집 머슴 삼돌은 둘도 없는 난봉꾼인데 안협집을 노리나 성공하지 못한다. 삼돌은 우연히 암협집과 뽕밭에 갈 기회가 생겨 그 때를 놓치지 않으려고 했으나 안현집이 뽕지기에게 붙들리는 바람에 뜻을 이루지 못하고 만다. 더구나 밤에 안협집의 방에 들른 삼돌은 우격 다짐으로 그녀를 범하려하나 마침 지나가던 이장 동생의 출현으로 망신만 당한다.
김삼보가 귀가해서 부부싸움이 벌어졌을 때, 앙심을 품고 있던 삼돌은 싸움에 끼어들어 안협집의 행각을 삼보에게 일러바친다. 분격한 김삼보는 ‘뽕밭에는 몇 번이나 갔니?’ 하고 다그치며 안협집을 무자비하게 구타한다. 그러나 이튿날, 아무런 말이 없이 하루를 지낸다.
그 다음날 김삼보가 집을 떠나자 안협집은 여전히 동릿집 공청 사랑에서 잠을 잔다.
이 작품은 「물레방아」와 같이 사실주의의 맥락에서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다. 가난과 신고에 시달리면서 살아가는 인간들의 윤리 의식의 와해, 가정 내의 성질서 파괴 등이 작품의 주제를 이루고 있다. 안협집을 위시하여 이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비정상적인 부부 관계와 매춘 행위, 그리고 이러한 비윤리적인 행위에 전혀 인간적인 갈등을 겪지 않는 사람들이다. 특히 주인공 안협집은 돈을 제일로 아는 인물이다. 그녀는 십오륙 세에 이미 원두막 속에서 총각 녀석에게 참외 한 개를 얻고 정조를 준 것에서부터 며 몇 섬, 돈 몇 원, 저고리 한 벌 등 정조의 대가가 높아졌을 뿐 그 관념에서는 동일한 인물이다. 이 같은 그녀의 황금만능주의는 김동인의 「감자」의 주인공 ‘복녀’와 다를 바 없다.
김삼보 역시 돈만 생기면 아내의 부정까지 눈감아주는 인물이고, 삼돌도 안협집을 노리는 탐욕스런 인물이다. 이처럼 본능과 물질적 욕구에 의해 행동하는 인물들이 작품전편을 채우고 있는 것은 나도향이 이 같은 추악한 모습을 현실의 모습으로 파악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주인공들은 무지하기 때문에 자신들이 당면한 가난의 근원이 무엇인지 모르고, 또 알려고 하지 않으며 손쉬운 교환 가치로서의 성과 본능 충족 수단으로서의 성에 탐닉한다.
윤리 의식이 빠진 본능 추구를 계속하는 주인공들을 냉정한 객관적 시각으로 따라가는 이 작품은 나도향이 도달한 사실주의의 극치라 할 수 있다.
작품요약
주제 : 탐욕적 본능과 물질적 욕구가 빚어낸 윤리 의식의 타락 및 비정상적 부부 관계.
인물 : 안협집-이 글의 주인공이며 인물이 고운 대신 무지하고 돈만 아는 정조 관념이 희박한 여인. 남편의 무관심과 경제적 무능력 속에서 몸을 팔아 생활을 유지하는 동적 인물.
김삼보-주인공의 남편이며, 땅딸보요 아편쟁이며 노름꾼으로 집안은 돌보지 않고 떠돌아 다니는 인물. 돈만 생기면 아내의 부정까지 눈감아 주는 무지한 인물.
삼돌-뒷집 머슴이며 힘이 세어 호랑이 삼돌이라고 불리우는 난봉꾼. 주인공 안협집의 약점을 이용해 자신의 성적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탐욕스런 인물.
배경 : 1920년대 강원도 철원.
(공간적 배경은 식민지적 현실 세계의 추악한 모습을 드러낸 한국 농촌 강원도 철원의 실제적 공간이며, 경제와 물질이 윤리에 우선하는 당대의 일상적 삶이 설정되었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