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성의 법칙에 대하여

반응형

관성의 법칙

 

1). 코페르니쿠스가 주장한 지동설은 초기에 반대론자들에 의해 다음과 같은 반박을 받았다.

"지구가 자전한다면 지구상에는 항상 동풍이 불어야 할 것이다.", "위로 던져진 물체는 항상 서쪽으로 치우친 상태로 떨어져야 할 것이다." 만일 제군이 코페르니쿠스라면 어떻게 해명할 것인가?

 

: 관성의 법칙으로 설명 가능: 버스 위에서 물체를 연직 상방으로 던졌을 때, 이 물체가 버스가 지나간 후 떨어지지 않고 던진 위치에 떨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는 물체가 이미 버스와 함께 일정한 속력으로 수평 운동을 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그래서 수직방향으로 물체를 던지면 이 방향으로는 중력의 영향으로 연직 상방 운동을 하지만 수평 방향으로는 등속도 운동을 하게 된다. , 지구가 자전을 하면 위로 던져진 물체나 공기 또한 지구의 자전과 같은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운동을 하고 있다. 그래서, 그 운동 상태가 지속되는 관성의 성질이 작용하기 때문에 실제로 동풍이 불거나 동쪽으로 떨어지지는 않는 것이다.

 

2). 그림과 같은 갈릴레이 사고 실험은 유명하다. 갈릴레이는 이 실험을 통해서 어떻게 관성의 법칙을 발견하고 설명할 수 있게 되었나? , 갈릴레이의 실험 외에 다른 어떤 과정으로 관성의 법칙을 설명할 수 있을까?

etc-image-0

: 갈릴레이의 사고 실험

마찰이 없는 경사면을 여러 각도로 기울여놓고 원래 놓은 높이만큼 다시 올라가는 성질을 이용하여 한쪽의 경사면을 평평하게 만들었을 때, 이는 원래 높이만큼 올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계속 운동하게 될 것임을 사고 과정만으로 실험한 것이다. 이를 사고 실험이라 한다.

etc-image-1

그러나 이 실험은 갈릴레이가 관성의 법칙의 개념을 정립한 후 설명하기 위해서 진행한 사고 실험이다. 실제로 갈릴레이는 위 문제의 경우처럼 위로 던져진 물체의 운동 상태에 대한 기본 성질을 생각한 후 관성을 운동의 기본적인 성질로서 정립하였다.

관성의 예 버스 급출발과 급제동, 망치, 대패, 천장에 매단 추 등

 

3). 그림과 같이 배위에 무거운 모루를 엊어놓고 망치로 내려쳐도 다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etc-image-2

 

: 망치가 모루를 내려치는 순간 모루는 관성에 의하여 사람이 받을 충격을 대신 받아주기 때문이다.

 

 

 


 

반응형

송화은율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