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고시(고체시)에 대하여

by 송화은율
반응형

고시(古詩, 고체시·古體詩)

 

오언고시(五言古詩)칠언고시(七言古詩) 등이 있다. 고시라는 말은 육조시대(六朝時代), 그 시대 이전의 고대의 시라는 뜻으로, 주로 한대(漢代)의 시를 가리켰다. 당대(唐代)에 이르러 근체시(近體詩)가 일어난 이후부터는 근체시에 대한 고대의 시, 즉 태고 때부터 수대(隋代)에 이르는 모든 시를 뜻하게 되었다. 그러나 근체시 성립 이전의 시라도 악부체(樂府體)의 것은 고시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또 근체시 성립 이후의 것이라도 근체시의 법식에 따르지 않고 그 이전의 시의 체식(體式)에 따라서 지은 것은 고시라고 한다.

 

고시가 근체시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한 편의 구수(句數)에 제한이 없다.

각 구의 평측(平仄)의 구성에 일정한 규칙이 없다.

압운(押韻)은 매구(每句)의 끝에 하는 경우가 있고, 격구(隔句)의 끝에 하는 경우도 있어 일 정하지 않다.

한 편을 통하여 같은 종류의 운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도중에서 운을 바꾸기도 한다. 렇게 운을 바꾸는 것을 환운(換韻)이라 한다.

측운(仄韻)이 사용되기도 한다.

 

고체시는 근체시에 비해 대체로 자유로운 표현을 하기 쉽기 때문에 시제(詩題)에 따라서는 이 체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 때도 있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근체시가 발달한 이후에도 고체시 가 쇠퇴하지 않은 것이다.

 

한국의 오언고시는 신라 진덕여왕이 당나라 고종(高宗)에게 화친책의 일환으로 보낸 <태평송(太平頌)>이 최초의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고구려 승려 정법사(定法師)<영고석(詠孤石)>이나 고구려의 장군 을지문덕이 수나라 장수 우중문(于仲文)에게 전략적으로 지어 보낸 <여수장우중문(與隋將于仲文)>도 오언고시이다. 신라 말의 최치원과 고려 초의 김부식최유청(崔惟淸) 등의 고시도 명편으로 꼽힌다.

 

칠언고시는 원효의 시라든지 수로부인의 설화에 나오는 <해가(海歌)> 등에서 그 초기 모습을 볼 수 있다. 고려시대의 김극기(金克己)와 이규보(李奎報)홍간(洪侃)이숭인(李崇仁) 등의 칠언고시와 한말(韓末)의 황현(黃玹)의 작품도 대작으로 꼽힌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