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시(고체시)에 대하여
by 송화은율고시(古詩, 고체시·古體詩)
오언고시(五言古詩)․칠언고시(七言古詩) 등이 있다. 고시라는 말은 육조시대(六朝時代)에, 그 시대 이전의 고대의 시라는 뜻으로, 주로 한대(漢代)의 시를 가리켰다. 당대(唐代)에 이르러 근체시(近體詩)가 일어난 이후부터는 근체시에 대한 고대의 시, 즉 태고 때부터 수대(隋代)에 이르는 모든 시를 뜻하게 되었다. 그러나 근체시 성립 이전의 시라도 《악부체(樂府體)》의 것은 고시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또 근체시 성립 이후의 것이라도 근체시의 법식에 따르지 않고 그 이전의 시의 체식(體式)에 따라서 지은 것은 고시라고 한다.
⇨ 고시가 근체시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① 한 편의 구수(句數)에 제한이 없다.
② 각 구의 평측(平仄)의 구성에 일정한 규칙이 없다.
③ 압운(押韻)은 매구(每句)의 끝에 하는 경우가 있고, 격구(隔句)의 끝에 하는 경우도 있어 일 정하지 않다.
④ 한 편을 통하여 같은 종류의 운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도중에서 운을 바꾸기도 한다. 이 렇게 운을 바꾸는 것을 환운(換韻)이라 한다.
⑤ 측운(仄韻)이 사용되기도 한다.
고체시는 근체시에 비해 대체로 자유로운 표현을 하기 쉽기 때문에 시제(詩題)에 따라서는 이 체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 때도 있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근체시가 발달한 이후에도 고체시 가 쇠퇴하지 않은 것이다.
❶ 한국의 오언고시는 신라 진덕여왕이 당나라 고종(高宗)에게 화친책의 일환으로 보낸 <태평송(太平頌)>이 최초의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고구려 승려 정법사(定法師)의 <영고석(詠孤石)>이나 고구려의 장군 을지문덕이 수나라 장수 우중문(于仲文)에게 전략적으로 지어 보낸 <여수장우중문(與隋將于仲文)>도 오언고시이다. 신라 말의 최치원과 고려 초의 김부식․최유청(崔惟淸) 등의 고시도 명편으로 꼽힌다.
❷ 칠언고시는 원효의 시라든지 수로부인의 설화에 나오는 <해가(海歌)> 등에서 그 초기 모습을 볼 수 있다. 고려시대의 김극기(金克己)와 이규보(李奎報)․홍간(洪侃)․이숭인(李崇仁) 등의 칠언고시와 한말(韓末)의 황현(黃玹)의 작품도 대작으로 꼽힌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