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칩(驚蟄) / 요점정리 / 현덕
by 송화은율작자소개
현 덕(玄德: 1912- )
서울 출생. 제일 고보 중퇴. 1938년 <조선일보>에 소설 <남생이>가 당선되어 문단에 등단. 해방 후 <조선 문학가 동맹> 출판부장 역임. 한국 전쟁 중 월북한 것으로 알려진 그는,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을 그려내는 데 있어서 사실적인 방법을 추구함으로써 한국 문학의 폭을 넓히는 데 공헌했다.
요점정리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배경 : 근대화되면서 자본주의 논리에 지배되는 현실.
주제 : 소작권을 둘러싼 부조리한 농촌 현실과 인간성 상실.
인물 : 흥서 - 주인공. 자본의 논리에 빠져 친구를 버리는 인물.
노마 아버지 - 병들어 소작권을 잃게 된 농민.
이해와 감상
현덕의 처녀작으로 <남생이>가 있긴 하지만, 소설적 구성으로 보면 이 <경칩>이 <남생이>의 앞 이야기처럼 보인다.
이 작품은 인간이 도덕이나 의리보다는 생존의 본능 앞에서 어쩔 수 엇이 동물의 논리가 인간의 삶을 지배하게 된다는 지극히 비관적인 작가의 전망을 담고 있다. 이런 비관적 전망은 <남생이>에 오면 더욱 발전적 형태로 나타난다. 노마네 집은 가난에 허덕이고 노마의 어머니는 정부(情夫)를 얻어 남편에게 빨리 죽으라고 윽박지른다.
남생이를 매개로 하는 이 작품은, 약육강식의 논리 위에 윤리적 빛깔을 윤색하여 비극적 삶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그것은 노마 아버지가 병마로부터 노동력을 빼앗기고 이어서 아내마저 잃게 된 절망적 한계 상황에서 적극적인 자기 각성이 없었다는 점은 서사적 비극의 요건을 보여 준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부정적 현실에 대한 비판 의식을 지닌 이 작가의 작품은 현실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선행되었다는 데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줄거리
가진 재산이라고는 몸뚱이 하나뿐인 노마 아버지가 병이 들어 몸져 눕게 되었다. 그래서 노마네가 소작 부치던 땅을 자신이 소작하여 농사를 짓겠다는 욕심에 가장 가깝게 지내던 노마 아버지의 친구 흥서는 서서히 마음이 변하기 시작한다.
경칩이 가까워오자 노마네가 부치던 아홉 마지기 땅을 노리는 이웃 사람 경춘이는 서둘러 거름을 져다가 노마네 논에다 뿌리면서 은근히 지주로부터 소작권을 얻기를 기대한다. 그것을 안 흥서가 경춘이에게 호통을 치고 나무라지만 그 다음날 흥서 역시 노마네 논에다 거름을 뿌린다. 그러면서도 몸져누워 농사를 지을 수 없게 된 친구를 도와주기 위한 것이라며 자위한다.
그 후, 노마네의 소작권에 욕심이 생긴 흥서 아내가 지주 댁으로 찾아 가더니 결국에는 흥서가 노마네의 땅을 부치게 된다. 하지만 가장 친하게 지냈던 친구인 노마 아버지의 유일한 생계 수단을 빼앗았다는 죄책감으로 흥서는 '골수에 사무치는 외로움'을 느낀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