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가야금(伽倻琴, 가야고[ -얏- ])

by 송화은율
반응형

가야금(伽倻琴, 가야고[ -- ])

 

- 우리 나라 현악기의 하나. 오동나무 공명판에 명주실을 꼬아서 만든 12줄을 세로로 매어 각 줄마다 안족(雁足:기러기발)을 받쳐 놓고 손가락 으로 뜯어서 소리를 낸다. 줄풍류를 비롯하여 가곡반주, 가야금산조, 가야금병창 등 한국 음악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청아하고 부드러운 음색을 가지고 있다.

 

[삼국사기]에 가야금은 가야국의 가실왕이 당나라의 악기를 보고 만들었다고 하나 가실왕 이전인 신라 자비왕(재위 458-479) 때 백결선생이 금()을 쳤다는 기록이 있고, [삼국유사]에는 신라 내해왕(재위196-230) 때 물계자가 금을 쳤다는 기록도 있다. 이밖에 최근 경주시 황남동 경내 폐고분에서 발굴된 토기 장경호의 목 부분에 새겨진 가야금의 주악도(奏樂圖)가 신라 미추왕릉의 것으로 추정한다면, 가야금의 연대는 3세기 초로 소급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야금은 3세기말 가실왕이 중국의 쟁()을 본떠서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552년 가야국이 어지러워지자 악사 우륵(于勒)은 가야금을 들고 신라 진흥왕에게 투항했다. 이 때, 진흥왕은 그를 받아들여 국원(지금 충원)에 자리잡게 하고, 대내마(大奈麻)인 법지와 계고, 대사(大舍)인 만덕을 제자로 삼게하여 그 업을 전수하게 했다. 그 후 가야금은 노래와 춤의 반주악기로 사용되었으며 고구려나 백제의 것과는 다른 가야금이 사용된 독특한 신라 음악을 낳게 했다. 통일신라 이후 가야금은 33의 관현합주로 확대되었고, 그 전통은 조선 성종 때까지도 이어졌다.

 

* 오동나무의 통나무의 뒷면에 직사각형의 향공(響孔)을 파서 바탕으로 삼고 열두 줄을 세로 매어 줄마다 기러기 발을 세움. 길이 164센티, 29센티, 두께 6.7센티.

 

* 가야금의 줄 → 명주실 → 누에고치 → 뽕 → 

가야금의 공명통 → 오동나무 → 

 

가야금의 소리 = 소리 없는 것들의 침묵에서 우러 나오는 소리

(흙의 소리, 뽕나무소리, 누에고치의 침묵이 깨는 소리)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