送人(송인) - 뜰 앞
by 송화은율送人(송인)
庭前一葉落 (정전일엽락)
床下百蟲悲 (상하백충비)
忽忽不可止 (홀홀불가지)
悠悠何所之 (유유하소지)
片心山盡處 (편심산진처)
孤夢月明時 (고명월명시)
南浦春波綠 (남포춘파록)
君休負後期 (군휴부후기)
뜰 앞 나뭇잎 떨어지고, 마루 밑 온갖 벌레 슬프구나.
홀홀히 떠남 말릴 수 없네만, 유유히 어디로 향하는가.
한 조각 마음은 산 끝난 곳으로, 외로운 꿈은 달 밝을 때에나.
남포에 봄 물결 푸르를 때면, 그대 뒷기약 잊지 말게나.
요점 정리
지은이 : 정지상
형식 : 7언절구의 한시
주제 : 이별의 슬픔
이해와 감상
작자의 다른 작품인 '송인'과 유사한 정서인 이별의 아픔을 그 바탕에 깔고 있다. 떠나는 사람과 보내는 사람의 유대감이 '남포'라는 향토적 배경을 통하여 잘 드러나고 있다.
심화 자료
정지상(鄭知常) (?~1135)
본관 서경(西京). 호 남호(南湖). 초명 지원(之元). 서경 출생. 1114년(예종 9) 문과에 급제, 1127년(인종 5) 좌정언(左正言)으로서 척준경(拓俊京)을 탄핵하여 유배되게 하고, 1129년 좌사간(左司諫)으로서 시정(時政)에 관한 소를 올렸다. 음양비술(陰陽�術)을 믿어 묘청(妙淸) ·백수한(白壽翰) 등과 삼성(三聖)이라는 칭호를 받으면서, 서울을 서경으로 옮길 것과 금(金)나라를 정벌하고 고려의 왕도 황제로 칭할 것을 주장하였다. 1130년 지제고(知制誥)로서 《산재기(山齋記)》를 지었으며, 뒤에 기거랑(起居郞)이 되었다. 1135년(인종 13) 묘청의 난 때 이에 관련된 혐의로 김안(金安) ·백수한과 함께 김부식(金富軾)에게 참살되었다. 시(詩)에 뛰어나 고려 12시인의 한 사람으로 꼽혔으며 역학(易學) ·불전(佛典) ·노장철학(老莊哲學)에도 조예가 깊었다. 그림 ·글씨에도 능했으며 저서로는 《정사간집(鄭司諫集)》이 있다.
압운
시(詩)와 같은 운문에서 행의 처음과 행의 끝, 행간 휴지(休止) 등에 비슷한 음 혹은 같은 음을 반복해서 문장을 정비하는 수사법으로 행의 첫음에서 반복되는 것이 두운, 끝음에서 반복되는 것이 각운인데, 이것이 좁은 뜻의 압운이다. 이것은 옛날의 영시에서도 기조를 이루는 수사법으로서 “Twinkle twinkle little star, How I wonder what you are! Above the world so high, Like a diamond in the sky”에서 star와 are, high와 sky는 모두 행 끝에서 같은 음이 반복되는 것이다. 한시(漢詩)에서도 마찬가지여서 “白髮三千丈, 綠愁似箇長, 不知明鏡裏, 何處得秋霜”에서의 ‘長’과 ‘霜’ 역시 행 끝에서 같은 음이 반복된 것이다. 이때에 어미(語尾)의 자운(子韻)만이 같은 것이 자운(consonance)이고 high와 sky같이 모음만이 같고 자음이 다른 것이 모운(母韻)이다. 또 시가 아니더라도 2개 이상의 말의 음성관계로서 이탈리아어의 gelo·stelo, 프랑스어의 anges·louanges, 독일어의 brennt·Kennt, 영어의 star·after 등은 각기 압운이 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셰익스피어의 극시나 밀턴의 서사시는 거의가 무운시(無韻詩)이고 현대에 들어서 압운은 점차 사라져 가는 경향이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