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의 누 (血의 淚) / 분석 / 이 인 직
by 송화은율혈의 누 (血의 淚) 이 인 직 (1906년 7월 - 10월 <만세보>, 1907년 광학서포)
독 해 의 주 안 점 |
▸ 고전 소설과 다른 신소설로서의 이 작품의 특징을 안다.
▸ 문학사적 의의를 안다.
등 장 인 물 |
옥련 주인공. 문명주의자(文明主義者)인 김관일의 딸.
김관일 옥련의 아버지. 청일전쟁을 계기로 부국강병의 뜻을 품음.
구완서 부국강병(富國强兵)의 뜻을 품은 유학생.
줄 거 리 |
이야기의 발단은 청일 전쟁(淸日戰爭)의 회오리 바람이 막 지나가고 피비린내가 가시지 않은 평양 어느 곳에서 삼십세 가량의 여인이 옷도 풀어 헤친 채 허둥거리는 장면에서 부터 시작된다. 이 여인은 어둠 속에서 길을 잃고 헤매다가, 아내를 잃고 찾아 헤매던 어느 외간 남자와 마주쳐 봉변을 당하기도 한다. 이 부인과 남편 김관일(金冠一), 딸 옥련(玉蓮)은 난리통에 서로 헤어지고 말았다. 김관일은 아내와 딸을 기다리며 하룻밤을 지낸 후, 장인의 도움으로 미국 유학 길에 오른다. 최씨 부인은 남편을 기다리다가 끝내 돌아오지 않자 자살을 결심하고 대동강 물에 뛰어 드나 뱃사공에게 구출되어, 소식을 알려고 온 친정 아버지를 만나 남편의 소식을 듣고 평양에 그대로 머무른다.
옥련은 피난길에 총상을 입고 부상을 당했으나 일본군 군의관 이노우에(井上)의 후의로 그의 양녀가 되어 일본으로 건너 간다. 그녀는 원래 총명하고 예쁜 탓으로 이노우에 군의의 부인으로부터 사랑을 받는다. 옥련은 그 후 이노우에 군의가 전사(戰死)하자, 부인으로부터 냉대를 받게 되고 갑자기 갈 곳이 없는 신세가 되어 방황하다가, 구완서라는 청년과 알게 되어 함께 미국으로 건너 간다. 구완서는 부국강병(富國强兵)의 뜻을 품고 조선을 독일처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유학길에 오르던 중이었다. 옥련은 그곳에서 고등 소학교를 우등으로 마치고 이미 미국에서 살고 있는 아버지 김관일과 10년만에 만나게 된다. 옥련이 우등으로 졸업하자 그곳 신문에 옥련에 관한 기사가 났는데, 이것을 옥련의 아버지(김관일)가 본 것이었다. 이런 가운데 옥련과 구완서는 일생의 반려가 되기로 기약하며 약혼을 한다. 구완서는 우리 나라를 문명한 강대국으로 만들어야겠다고 다짐하였고, 또 옥련은 우리 나라 여자들의 지식을 넓혀서 남자에게 눌리지 않고 동등한 권리를 누릴 수 있게 하며, 또한 여자들도 사회에 유익하고 명예있는 백성이 되도록 교육할 것을 마음먹는다.
그리고 어머니가 아직 평양에 살아 있음을 확인한 옥련은 매우 기뻐하며, 그간의 사정을 써서 어머니에게 보낸다. 그 편지를 받은 옥련 어머니의 기쁨은 이루 말할 수가 없었다.
해 설 |
1. 이 작품은 10년의 시간 속에서 한국, 일본, 미국(평양 → 오사카 → 워싱턴)을 무대 로 한 여주인공 옥련의 기구한 운명에 얽힌 개화기의 시대상을 그린 작품이다.
2. 주제의식 - 신교육 사상과 개화 의식의 고취를 강조하고 있으나, 사회와 정치 개혁, 신학문의 섭취와 교육의 필요성 강조, 자유 결혼, 조혼 폐지 등의 여러 가지 주제가 혼재되어 있다.
3. 인물 - 등장 인물들은 다소 친일적이고 역사 인식이 부족한 인물들이며, 그 당시 대다수의 지식인들과 부합하는 사실적(寫實的)인 인물(人物)로 그려져 있다.
4. 작품의 신소설적 성격
첫째, 언문 일치(言文一致)에 거의 근접해 있으며,
둘째, 서술 시간이 역전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셋째, 표현에서 묘사체 문장이 시도되고 있고,
넷째, 개화 사상이 곳곳에 스며들어 있다.
다섯째, 그 소재를 대체로 현실에서 취하고 있다.
5. 이 작품은 첫머리에서부터 고대 소설의 전개 방식을 벗어나 신소설로서의 새로운 방식 을 시도했으나, 마지막 부분에서는 고대 소설의 천편일률적인 권선징악(勸善懲惡)의 내 용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 작품에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발견할 수 있다.
① 당시 개화파 지식인의 친일 사상을 노골적으로 나타냈다.
② 자유 결혼관을 나타내고 있다.
③ 남녀 평등 사상을 결말에서 발견할 수 있다.
④ 문명국에 가서 새로운 학문을 배우려는 향학열과 교육열이 나타나 있다.
6. 이 작품 말미에 “아래권은 그 여학생이 고국에 돌아온 후를 기다리오” 라고 예고한 후, 그 후편은 1913년 2월에 와서 「모란봉」이라는 이름으로 <매일신보>라는 신문에 65회에 걸쳐 연재하였다.
(주제) 신교육 사상과 개화 의식의 고취 (의의) 신소설의 효시 (문체) 묘사체, 산문체(언문일치에 근접해 있으나 일부 문어체의 자취가 있음)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성격) 계몽적, 교훈적 |
※ 개화기 소설의 일반적 특징
1. 문장이 언문일치에 가깝고, 서술이 묘사적이며, 제재를 현실에서 취함.
2. 내용은 자주 독립과 자유 연애 사상의 고취, 신교육의 권장, 인습 타파 등 근대적 개화․계몽 사상 고취
3. 한계 : 인물의 상투성, 권선징악이라는 고전 소설의 주제에서 벗어나지 못함.
이인직 (李人稙, 1862-1916) 호는 국초(菊初).1900년 2월 구한국 정부의 관비 유학생으로 일본 유학. 1903년 일본 정치 학교 졸업 후 일본 육군성 한국어 통역으로 노일 전쟁(露日戰爭) 당시에 1군 사령부에서 종군함. 1906년 <국민신보> 주필을 거쳐 <만세보> 주필로 옮기고, 다시 1907년 이완용의 도움으로 <대한신문>을 창간하여 사장으로 옮긴 후 이완용의 비서를 지냄. 매국노 이완용의 앞잡이가 되어 한일 합방의 숨은 공로자로서, 합방 후에는 경학원 사성(經學院 司成)에 취임하여 지내다가 조선총독부 병원에서 사망. 우리나라 본격적 신소설 작가인 그는 신소설을 쓰는 한편, 연극 개량에도 관심을 가져 1908년 11월 자신의 소설 「은세계」를 원각사( 圓覺社 )무대에 올려 최초의 신극을 공연하기도 하였다. 주요 작품으로 「血의 淚」(상편), 「모란봉」(1913,「혈의 누」의 하편), 「鬼의 聲」(1906), 「치악산」(상편,1908), 「은세계」(상편,1908) 등이 있다. 그의 작품들은 대개 장편이 많고 근대 소설에 다소 접근한 면모들을 보여 주는 한편 작품의 구성과 등장 인물들의 성격 묘사, 그리고 현실적 제재에 의한 사실적 묘사 수법 등에서 개척자적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그의 작품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친일 의식(親日意識)과 세태에 대한 작가로서의 안목이 투철하지 못한 점이 약점이라 하겠다. |
확 인 |
1. 다음 중 고대 소설의 일반적 특징과 이 작품이 공통되는 것은?
① 행복한 결말 ② 순차적 구성
③ 개화 사상의 수용 ④ 언문 일치의 문장
⑤ 비현실적인 내용
2. 이 소설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신소설의 효시가 된 작품이다. ② 민족 의식을 고취하고 있다.
③ 언문 일치의 시도가 보인다. ④ 계몽적 성격이 두드러진다.
⑤ 전지적 작가 시점을 취하고 있다.
3. 다음 중 이 작품에서 발견할 수 있는 가장 분명한 전근대적 요소는?
① 부분적으로 완전한 언문 일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② 인물 묘사가 추상적이다.
③ 제재가 비현실적이다.
④ 인물의 심리에 대한 관심이 전혀 없다.
⑤ 인물의 독백이 지나치게 많다.
4. 이 소설의 주제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미신과 인습 타파 ② 남녀 평등 사상
③ 신교육의 필요성 역설 ④ 항일 정신 고취
⑤ 자유 결혼관
5. 이 작품의 주제와 관련하여 신소설의 공통적인 주제를 2어절로 말하라.
1. ① 2. ② 3. ① 4. ④ 5. 개화 사상 |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