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鄕歌)의 개념
by 송화은율반응형
향가(鄕歌)
1. 개념
① 광의 : 중국의 노래에 대한 ‘우리 나라의 노래’
② 협의 : 향찰(鄕札)로 표기된 노래로서, 신라 - 고려 초까지 불려진 노래
2. 발생과 전개
① 고대 가요에 맥이 닿아 있음.
② 신라 대표 시가 양식이며 고려까지 이어짐
3. 형식 : 연의 구분이 없는 ‘전연시(全聯詩)’
① 4구체
서동요 (제26대 진평왕)
풍요 (제27대 선덕여왕)
헌화가 (제33대 성덕왕)
도솔가 (제35대 경덕왕) = 일명 ‘산화가’
② 8구체
모죽지랑가 (제32대 효소왕)
처용가 (제49대 헌강왕)
③ 10구체 : 나머지 19수
# 8구체 + 2구( = 후구(後句),낙구(落句),격구(隔句) )
# 형식의 발전
4구체 ⇒ 8구체 ⇒ 10구체
· 상고시가 · 과도기 · 완성 형식
· 민요 · 낙구의 감탄사(시상의 마무리)
4. 향가의 변모 양상(시대별)
6세기 ⇒ 7세기 ⇒ 9세기 ⇒ 12세기
서동요 설총의 [삼대목] 향찰문자 쇠퇴
이두정리 편찬
* 출발기 * 발전기 * 절정기 * 쇠퇴기
5. 표기법 : 향찰식(한자의 음과 훈을 빌어 우리말 표기)
* 대체로 의미부(실질형태소)는 ‘훈’을, 형식부(형식형태소)는 ‘음’을 빌어 옴.
작품명 | 지은이 | 연대 | 내 용 |
서동요 | 서동 | 26대 진평왕 | 서동이 선화공주를 취하려고 아들을 시켜 부른 동요 |
풍요 | 미상 | 27대 선덕왕 | 양지가 영묘사 불상을 만들 때 성 안 사람들이 흙을 운반하며 부른 노래 |
헌화가 | 어느 노인 | 33대 성덕왕 | 소를 몰고 가던 노인이 수로 부인에게 꽃을 바치며 부른 노래 |
도솔가 | 월명사 | 35대 경덕왕 | 두 개의 해가 나타난 괴변을 물리치기 위해 지은 ‘산화가’ |
모죽지랑가 | 득오 | 32대 효소왕 | 득오가 죽지랑을 사모하여 지음 |
처용가 | 처용 | 49대 헌강왕 | 아내를 범한 역신을 용서하여 감복시켰다는 주술적 무가 |
혜성가 | 융천사 | 26대 진평왕 | 침범한 왜구와 큰별을 범한 혜성을 물리친 축사의 노래 |
원왕생가 | 광덕 | 30대 문무왕 | 진리를 깨달아 극락왕생하기를 바라는 불교 신앙의 노래 |
원가 | 신충 | 34대 효성왕 | 왕의 식언을 원망하며 잣나무에 써서 붙인 노래. 10구 중 현재 8구만 전함 |
제망매가 | 월명사 | 35대 경덕왕 | 죽은 누이의 재를 올리며 명복을 빈 추도의 노래 |
찬기파랑가 | 충담사 | “ | 화랑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을 추모한 노래 |
안민가 | 충담사 | “ | 치세안민의 노래를 왕명을 받아 지음 |
천수대비가 (도천수관음가) |
희명 | “ | 분황사 관음보살에게 아들의 눈을 뜨게 해 주기를 빈 기도의 노래 |
우적가 | 영재 | 38대 원성왕 | 영재가 대현령에서 도적을 만나 부른 설도(說道)의 노래 |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