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향가(鄕歌)의 개념

by 송화은율
반응형

향가(鄕歌)

 

1. 개념

 광의 : 중국의 노래에 대한 우리 나라의 노래

 협의 : 향찰(鄕札)로 표기된 노래로서, 신라 - 고려 초까지 불려진 노래

 

2. 발생과 전개

 고대 가요에 맥이 닿아 있음.

 신라 대표 시가 양식이며 고려까지 이어짐

 

3. 형식 : 연의 구분이 없는 전연시(全聯詩)’

 4구체

  서동요 (26대 진평왕)

  풍요 (27대 선덕여왕)

  헌화가 (33대 성덕왕)

  도솔가 (35대 경덕왕) = 일명 산화가

 

 8구체

  모죽지랑가 (32대 효소왕)

  처용가 (49대 헌강왕)

 

 10구체 : 나머지 19

  # 8구체 + 2( = 후구(後句),낙구(落句),격구(隔句) )

  # 형식의 발전

  4구체  8구체  10구체

· 상고시가 · 과도기 · 완성 형식

· 민요 · 낙구의 감탄사(시상의 마무리)

 

4. 향가의 변모 양상(시대별)


6세기    ⇒    7세기 ⇒     9세기 ⇒       12세기


서동요       설총의       [삼대목]         향찰문자 쇠퇴

              이두정리       편찬

* 출발기    * 발전기     * 절정기          * 쇠퇴기


5. 표기법 : 향찰식(한자의 음과 훈을 빌어 우리말 표기)

* 대체로 의미부(실질형태소) , 형식부(형식형태소) 을 빌어 옴.

 

작품명 지은이 연대 내 용
서동요 서동 26대 진평왕 서동이 선화공주를 취하려고 아들을 시켜 부른 동요
풍요 미상 27대 선덕왕 양지가 영묘사 불상을 만들 때 성 안 사람들이 흙을 운반하며 부른 노래
헌화가 어느 노인 33대 성덕왕 소를 몰고 가던 노인이 수로 부인에게 꽃을 바치며 부른 노래
도솔가 월명사 35대 경덕왕 두 개의 해가 나타난 괴변을 물리치기 위해 지은 산화가
모죽지랑가 득오 32대 효소왕 득오가 죽지랑을 사모하여 지음
처용가 처용 49대 헌강왕 아내를 범한 역신을 용서하여 감복시켰다는 주술적 무가
혜성가 융천사 26대 진평왕 침범한 왜구와 큰별을 범한 혜성을 물리친 축사의 노래
원왕생가 광덕 30대 문무왕 진리를 깨달아 극락왕생하기를 바라는 불교 신앙의 노래
원가 신충 34대 효성왕 왕의 식언을 원망하며 잣나무에 써서 붙인 노래. 10구 중 현재 8구만 전함
제망매가 월명사 35대 경덕왕 죽은 누이의 재를 올리며 명복을 빈 추도의 노래
찬기파랑가 충담사 화랑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을 추모한 노래
안민가 충담사 치세안민의 노래를 왕명을 받아 지음
천수대비가
(도천수관음가)
희명 분황사 관음보살에게 아들의 눈을 뜨게 해 주기를 빈 기도의 노래
우적가 영재 38대 원성왕 영재가 대현령에서 도적을 만나 부른 설도(說道)의 노래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