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한(恨)의 정서

by 송화은율
반응형

()의 정서

 

1. 김소월 시인

* 비애의 정서 밑바닥에는 한을 극복하려는 의지 있음(역설적 표현)

* 여성적 정한의 매서움 (갈등과 모순의 복잡한 양상)

 

2. 박재삼 시인

* 비애를 심화시켜 그 성격을 비가(悲歌) 형식으로 접근

* 단선적인 남성적 비애감

* 전근대적 감상 차원을 넘어서는 이유

   ① 남해하지 않은 평이한 조사법(措辭法-언어구사,선택)

   ② 직설적이지 않은 우회적 표현

   ③ 사투리 이용한 독특한 영탄법

* 과년(過年)해서 강 건너마을에 후처(後妻)로 들어간 누이의 초산(初産) 때의 죽음에서 비롯 되는 한의 정서임.

(이로 인해 학창시절 정구선수와 대대장을 지내던 그가 내성적 성격으로 변하게 되었음)

 

3. 백낙청, ‘민중(民衆)은 누구인가

오랜 세월을 가난하고 억울하게 살아온 민중의 아픔과 설움을 우리는 곧잘 <>이라는 말로 표현해 왔다. <>이란 원한과도 달라서 내 불행이 어디서 왔으며 누구한테 앙갚음을 해야 좋을지도 모르는 막연한 설움이요 이름없는 아픔이다. 여기서 우리는 원한의 대상을 알아봤자 내 마음만 더 약해질 뿐이지 별도리가 없는 상황에 대처해 온 민중의 슬기와 착한 마음씨를 읽어볼 수 있는가 하면, 대상의 인식조차 결코 용납하지 않았던 지배세력의 철저한 폭력을 가늠할 수도 있다.

 

4. 고은, 이 땅에서 한은 무엇인가 - 한은 계승할 것인가 극복할 것인가

* 한의 이해 : 샤머니즘 전제

우리의 삶의 바탕은 아무리 무불습합(巫佛習合)이니 정주학이니 해도 종착에와서는 정서는 , 의식은 샤머니즘이다  한 자체가 샤머니즘이다. 또한 샤머니즘의 일관된 세계는 숙명관 이다.

 

* 한의 개념

  1) 한은 상처가 아니라 상처의 여운

  2) 아픔 자체가 아니라 아픔이 쌓이고 쌓이는 경과에 따라 이루어진 아픔의 기나긴 이름없는 추억

  3) 한은 시간이 아니라, 시간의 무시간적 체험에 의한 세월

  4) 한은 정치로부터 소외된 한민족의 비정치적, 비역사적 삶의 계기로 인한 파생물

  5) 역사적 묵시의 어떤 잠재력

 

* 아시아 전반에 걸친 한의 과정

  1) 인도 범어 우파나하(Upanӑha)’로 표기 : 1백가지 감정체계 중 하나

· 의미의 변천 나와 가까이 있다.” 󰠜󰠜󰋼 에 집착한다 󰠜󰠜󰋼 증오, 동요, 흉악한 심정 󰠜󰠜󰋼  

  2) 중국어 , hen, ’ = 怨極也(원망이 극에 달한 상태)

  3) 몽고어 코로술 Horosul, 로마자화)’, 만주어 코로소추카, Korsocuka' : 코로술은 한스럽 , 비애의 뜻.

 

5. --- 󰃫 서정주 시 <귀촉도>

* 임과의 이별로 인한 정한(情恨)

 

6. --- 󰃫 이용악 시 <오랑캐꽃>

* 망국의 절망과 슬픔, 우리 민족의 한을 노래, 민족간의 인간미

 

7. --- 󰃫 이수복 시 <봄비>

* 봄비 내리는 날의 애상적 정서, 한의 정서(4)

 

8. --- 󰃫 이수복 시 <동백꽃>

 

9. --- 󰃫 윤흥길 소설 <장마>에서 민족의 한

 

10. 한승원 소설 <어머니> --- 󰃫 <어머니>

* 이 소설에서 어머니는 막내 아들이 오랜 감옥 살이를 하도록 만든 것은 바로 자신이라는 죄의식에서 한이 시작된다. 한은 이 소설의 이면적(裏面的) 주제이다. 한은 생명력의 또다른 이름이며, 절망과 허무를 딛고 일어서려는 극복 의지의 미학이다.

 

11. --- 󰃫 이청준 소설 <선학동 나그네>

 

12. --- 󰃫 김동리 소설 <황토기>

 

13 조지훈 글 <산도화 발문> --- 󰃫 조지훈 시 <완화삼>

 

14.--- 󰃫 < 정완영>의 작품 배경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