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추억(追憶)에서 - 박재삼

by 송화은율
반응형

추억(追憶)에서 - 박재삼

 

진주(晋州) 장터 생어물(魚物)전에는

바닷밑이 깔리는 해 다 진 어스름을 

 

울엄매의 장사 끝에 남은 고기 몇 마리의

빛 발(發)하는 눈깔들이 속절없이

은전(銀錢)만큼 손 안 닿는 한(恨)이던가.

울엄매야 울엄매 

 

별밭은 또 그리 멀어

우리 오누이의 머리 맞댄 골방 안 되어

손시리게 떨던가 손시리게 떨던가 

 

<후략>

 


< 감상의 길잡이 1 >

이 시는 시적 화자의 어릴적 가난했던 생활 체험을 회상하며 어머니의 슬프고 한스러운 모습을 압축적으로 그려낸 작품이다. 연 구분 없는 전 15행의 산문체 리듬의 이 시는 시적 대상의 변화에 따라 시상을 전개시키고 있다. 15행은 진주 장터 어느 생어물전에서 장사를 하면서 자식들을 키우던 어머니의 고생스런 모습을 표현한 부분으로, 화자는 어머니의 고달픔을 은전만큼 손 안 닿는 한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바로 이 ()’은 이 시의 지배적 정서로 어머니의 고달픔이 응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69행은 울엄매가 돌아오기를 초조히 기다리며 떨고 있는 오누이의 슬픔을 머리 맞댄 골방 손시리게와 같은 표현으로 절실하게 나타내고 있다. 어린 그들에게 울엄매는 밤하늘의 별과 같은 존재로 그들의 생존과 애정의 근원임을 알 수 있다. 1015행은 집으로 돌아오는 어머니가 별을 보고 느꼈을 심정을 보여 주는 부분으로, ‘달빛 받은 옹기전의 옹기들같이 / 말없이 글썽이고 반짝이던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것은 달빛에 반사되는 항아리의 반짝임에서 어머니의 눈물을 발견함으로써 고통스런 어머니의 모습을 압축적으로 그려낸 표현이다.

 

 

< 감상의 길잡이 2 >

사람들이 가진 그리움 중에서 어머님을 향한 그리움만큼 크고 보편적인 것은 없을 것이다. 어머니는 모든 사람이 지닌 가장 깊은 사랑의 근원이며, 세월의 흐름에도 변하지 않는 그리움의 대상이다. 이 작품에서 시인은 바로 그러한 어머니의 모습을 추억한다. 그러나 그의 추억은 한()과 슬픔으로 덮여 있다. 그것은 어려운 삶 속에서 살아가던 어머니의 모습 때문이다.

 

그것은 우선 제5행까지의 앞 부분에서 간결하게 나타난다. 그의 어머니는 진주 장터의 생어물전에서 생선을 팔았다. 해가 다 지고 어둠이 깔리는 어스름 때 아직 다 팔지 못하고 남은 몇 마리 고기들의 반짝이는 눈알들…… 여기에서 그는 어머님의 손 닿을 수 없는 한을 생각한다. 그 한이 어떤 것이었는지 자세하게 알 수는 없지만, 아마도 그의 어머니는 오누이를 데리고 홀로 살림을 꾸려가야 하는 처지였던 것 같고, 그래서 어쩔 수 없이 겪어야 했던 생활의 어려움이 깊은 한과 함께 깃들이어 있었을 것이다. 어머니는 그러한 괴로움과 한을 어린 아들에게 내색하지 않을 터이지만, 그는 팔다 남은 고기 몇 마리의 반짝이는 눈빛에서 갑자기 어머니의 깊은 한을 느끼고는 하였다.

 

그 다음 부분은 제6행부터 제9행까지로 끊을 수 있겠는데, 여기에는 어머니가 돌아오시기를 기다리며 어두운 방 안에서 손 시리게 떨던 오누이의 모습이 나타난다. 날은 저물어 별이 총총한 밤, 추위에 떨며 머리를 맞대고 있는 오누이를 위하여 어머니는 먼 장터로부터 밤길을 걸어 돌아왔을 것이다. 나머지 부분은 다시 어머니의 모습에로 초점을 옮겨간다. 그의 어머니는 진주 남강이 맑다고 해도 어슴푸레한 새벽 또는 별빛에나 그것을 보았을 뿐이다. 그렇게 살아가던 어머니의 마음은 어떠했을까? 그는 `달빛 받은 옹기전의 옹기들'에서 어머니의 슬픔에 젖은 눈빛을 연상한다. 한번 생각하여 보자. 어두운 밤, 옹기전에 놓여 있는 옹기들, 그 반짝이는 표면에 비추는 달빛…… 그 쓸쓸한 빛이 그가 기억하는 어머니의 눈빛을 연상하게 한다. 그것은 아무에게도 보이지 않으려고 슬픔을 억제한, 그러나 소년 시절의 그에게 무엇보다도 가슴 깊이 들어와 박혔던 한스런 눈빛이다. [해설: 김흥규]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