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최초(最初) 혹은 최고(最古) 작품 총정리

by 송화은율
반응형

 최초(最初) 혹은 최고(最古) 작품 총정리

 

 5언시(문헌상) : 여수장우중문시

 5언시 (문헌상) : 태평송

 7언시 : 분원시(왕거인)

 가사(기행) : 관서별곡

 가사(여류 내방가사) : 규원가(허난설헌)

 가사(유배가사) : 만분가(조위)

 가사(전쟁가사) : 남정가(양사훈)

 가사 1 : 서왕가(나옹화상)

 가사 2 : 상춘곡(정극인)

 개인 서정시 : 황조가 / 공무도하가

 경기체가 : 한림별곡(한림 제유)

 구두점 표시 : 동인지우 오칠(東人之友 五七-고려공민왕,목판본)

 국립극장 : 협율사(1902)

 국문 연구서(갑오경장 이후) : 국문정리(이봉운,1897)

 국어교육 : 한성사범학교(1895, 고종 32 4)

 국어사전 : 조선어사전(문세영, 1939)

 국어음운서 : 말의 소리(주시경, 1914)

 국창(여자) : 신채선

 국한문 혼용체 : 서유견문

 극작가 : 이인직

 극장(사설) : 원각사(이인직, 1908)

 기록 영화 : 경역전시(京域全市)의 경()(1910년대)

 기자(여자) : 최은희(1904-1984)

 기행문(근대) : 서유견문(西遊見聞, 유길준)

 기행문 :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혜초)

 단편집(근대) : 공진회

 동활자본(국문) : 석보상절

 모더니즘 기법 시도 : 김광균

 모더니즘 이론 도입 : 김기림

 무가집 : 조선신가유편(손진태, 1930)

 문법서(서구이론 배경) : 대한문전(최광옥, 1908)

 문예동인지 : 창조(1919)

 문예전문지 : 조선문단(방인근, 1924)

 문예주간지 : 태서문예신보

 문예지(동인지 탈피) : 조선문단(1924)

 문인단체(여류) : 한국여류문학인회(1965.9.8)

 문집(最古의 개인문집) : 계원필경

 민속학 정립 : 송석하, 손진태

 번역시집(근대) : 오뇌의 무도(김억)

 () : 아부(啞賦)(김부식)

 ()의 등장(詩歌) : 구지가

 () : 화귀거래사(和歸去來辭)(이인로)

 사랑을 노래한 서정시 : 황조가(유리왕)(서사시로도 봄)

 사실주의 : 약한자의 슬픔

 사전(불한사전) : 법한자전(1901)

 사전(영한사전,영선사전 편찬자) : 언더우드

 사전(한국인이 엮은 한영사전) : 최신선영사전(1928)

 사전(한영사전 편찬자) : 게일

 사전-대역사전(서구어-한국어) : 노한사전(뿌찔로, 1894)

 서사시(현대) : 국경의 밤(김동환)

 서사시 : 동명왕편

 서양소개서 : 서유견문

 설화연구집 : 한국민족설화의 연구(손진태)

 설화집 : 수이전(현재 不傳)

 소설(근대) : 무정(이광수)

 소설(대하소설) : 장크리스토프(롤랑)

 소설(몽자류) : 구운몽(김만중)

 소설(방각본 소설 최고(最古) ): 구운몽( * 한문본 )

 소설(번안소설) : 철의 세계(이해조)

 소설(신소설) : 혈의 누(이인직, 1906)

 소설(심리주의) : 날개(이상)

 소설(역사소설) : 목 매는 여인

 소설(자연주의 소설) : 표본실의 청개구리(1921, 염상섭)

 소설(서간체) : 피멜라(리차드슨)

 소설사(小說史) : 조선소설사(김태준, 1933)

 속담집 : 이담속찬(耳談續纂, 정약용, 1820)

 수필(대화체) : 요로원 야화기

 수필 명칭 : 용재수필(容齋隨筆)-홍매(洪邁,1123-1202,중국 남송)

 시가(월령체) : 동동

 시가사 : 조선시가사강(조윤제,1937)

 시인단체 : 한국시인협회(1957 최초 창립,1965.4 재창립)

 시조(사설시조) : 장진주사(정철)

 시조(연시조) : 강호사시가(맹사성)

 시조 명칭 1 : 악학궤범 곡조명으로 사용

 시조 명칭 2 : 이세춘 (신광수 󰡔석북집󰡕에서)

 시조집 : 청구영언

 시화집(詩評 포함) : 보한집(최자)

 신문(근대 형태) : 한성순보

 신문(근대 형태 민간신문) : 독립신문

 신인 추천제 : 조선문단(1924)

 신체시 : 해에게서 소년에게(최남선)

 신파극 : 불효천벌(혁신단 공연,1911)

 역시집(譯詩集) : 분류두공부시언해(약칭 두시언해)

 연극사 : 한국연극사(김재철,1933)

 옥편(근대) : 자전석요(지석영, 1909)

 원순모음화 현상 발견 : 역어유해(1690)

 월간지(종합잡지) : 소년(1908)

 음운서 : 동국정운

 자유시 1 : 봄은 간다(김억)

 자유시 2 : 불놀이(주요한)

 종합지 : 개벽(1920)

 주격 조사  사용 : 정철의  편지(1572년 경)

 죽음을 노래 : 공무도하가

 창작시집 : 해파리의 노래(김억,1923)

 키노-드라마 : 의리적 구투(仇鬪)

 판소리에 관한 자료 : 만화본(晩華本) 춘향전(영조30,1754)

 프로문학 이론 : 김기진,“클라르테운동의 세계화”(󰡔개벽󰡕,1922.9)

 필화[광복 후 한국문단 최대 사건] : ‘분지(糞地)’ 사건(1965), 남정현 소설

 한글로 기록된 문헌 : 용비어천가(1445)

 한글로 표기, 현전하는 最古 노래 : 정읍사(출전 : 악학궤범 )

 한글 명칭 : 주시경

 한글소설 : 홍길동전(허균)

 한글자모의 명칭 : 훈몽자회(訓蒙字會,1527,중종,최세진)

 한문소설 : 금오신화(김시습)

 한문소설적 기록문 : 화왕계(=풍왕서,諷王書 - 󰡔동문선󰡕 기록 제목)

 한시(최고(最古) 한시) : 여수장우중문시(을지문덕)

 한시선집(最古, 漢詩選集) : 동인지우 오칠(東人之友 五七-고려공민왕,목판본)

 해외문학 본격번역 소개 : 해외문학(1927)

 향가(10구체) : 원가

 향가(4구체) : 서동요(무왕)

 향가(8구체) : 모죽지랑가(득오)

 향가 해독 : 소창진평(오구라 신뻬이).

 훈민정음 시도 : 용비어천가

 희곡 : 병자 3(조중환)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