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서해의 ‘고국’ - 해설
by 송화은율최서해의 ‘고국’ - 해설
작가 : 최학송(1901-1932)
함북 성진 출생. 호는 서해(曙海). 성진보통학교 중퇴. 1917년 간도로 이주 나무바리장수, 두부장수, 노동판의 십장 등을 지내며 유랑, 한때는 절망한 나머지 아편 중독에 걸린 일도 있음. 1923년 귀국, 이듬해 홍수로 가산마저 잃게 되자 가족을 해산, 상경(上京). 1924년 ≪조선문단≫에 단편 <고국>(1924)이 추천되면서 문단에 등장. 이 해 이광수의 주선으로 양주 봉선사에 들어가 3개월간 승려 생활을 하고, 1925년 조선문단사에 입사, <십삼원>(1925), <탈출기>(1925), <박돌의 죽음>(1925), <기아와 살육>(1925) 등의 작품을 발표함으로써, 일약 신경향파의 유행 작가로 각광을 받음. 이들 일련의 작품은 우리 나라 최초의 이른바 체험 문학을 구현한 것으로 평가됨. 작품의 주인공들은 거의가 ‘갖지 못한 자’들이며, ‘가진 자’들에게 도전하는 반항이 주제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1925년 7월에 결성된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KAPF)의 발기인은 아니었으며, 스스로 프로문학을 한다고 자처하지 않은 것으로 미루어 그의 반항의 문학은 그의 생리였으며 체험에서 나온 자연 발생의 독자적 특질로 보아야 할 것이다. 3년 후 ≪조선문단≫이 경영난으로 휴간된 이후로는 여러 잡지사와 신문사를 전전, 궁핍한 생활을 하다가 말년에 방탕한 생활에 기울어 재차 발병, 약물 중독에 이르렀다. 1932년 3월 위문협착증으로 수술, 출혈이 심하여 7월 6일 관훈동 삼호 병원에서 사망했다.
줄거리
주인공 나운심은 3․1운동이 일어나던 해 서간도로 건너갔다. 큰 뜻을 품고 처음 백두산 뒤 흑룡강가에 있는 청시허라는 마을에 정착한다. 거기서 동네 아이들을 모아 글을 가르치는데 아이들은 그의 가르침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였고, 부모들도 성의가 없었다. 그래서 나운심은 실망하고, “유위의 청춘이 속절없이 스러져가는 신세 되는 것이 고통”이라는 탄식을 한다. 나운심은 청시허를 떠나기로 한다. 그때부터 방랑 생활이 계속되는데 해지면 자고, 해뜨면 걷고, 집이 있으면 얻어 먹고, 없으면 굶기도 했다. 때로는 이슬에 잠자고 풀뿌리도 캐어 먹으면서 방랑이 계속된다. 그런 가운데 독립군에게 정탐꾼으로 몰려 체포된다. 독립군 감옥에 사흘을 갇혀 있다가 혐의가 풀려 석방되자 독립군에 들어간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군인 생활에 염증을 느끼기 시작했고 또 독립군이 해산되어 고생을 겪으면서 고국에 돌아온다. 그러나 그는 찾아갈 곳도 없고, 기다려주는 사람도 없었다. 할 수 없이 국경선 부근 회령에 머물면서 도배장이로 나선다.
갈래 : 단편
배경 : 3․1운동 이후 5년간. 간도 및 회령
경향 : 체험을 바탕으로 한 빈궁 문학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주제 : 나라 잃은 젊은이의 방랑과 고뇌와 좌절을 통해 고향으로 상징되는 조국을 잃은 식민지하에서의 한국인의 유랑과 가난을 형상화
※ 극적 결말 제시 : 결말에서 ‘도배장이 나운심’으로 둔갑
※ 독립군 가담, 탈퇴 : ‘일시는 엄벙벙한 것이 기뻤다.’ ‘군인 생활이 염증이 났다.’ → 감정적 차원에서 이루어진 느낌.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