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학동/ 이인로
by 송화은율청학동/ 이인로
지리산은 두류산이라고도 한다. 북쪽 백두산으로부터 일어나서 꽃봉오리처럼 그 봉우리와 골짜기가 이어져 대방군(帶方郡)에 이르러서야 수천 리를 서리고 얽혀서 그 테두리는 무려 십여 고을에 뻗치었기에 달포를 돌아다녀야 대강 살필 수 있다. 옛 노인들의 전하는 바로는 “그 속에 청학동이 있는데 길이 매우 협착하여 겨우 사람이 다닐 수 있고, 몸을 구부리고 수십 리를 가서야 허광한 경지가 전개된다. 거기엔 모두 양전(良田) 옥토(沃土)가 널려 있어 곡식을 심기에 알맞으나, 거기엔 청학만이 살고 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여졌고, 대개 여기엔 옛날 세상을 피해 사는 사람들이 살았기에 무너진 담과 구덩이가 가시덤불에 싸여 남아 있다.”고 한다.
연전에 나는 당형(堂兄) 최상국과 같이 옷깃을 떨치고 이 속된 세상과는 등지고 싶은 마음이 있어 우리는 서로 이 곳을 찾아가기로 했다. 대고리짝에 소지품을 넣어, 소 두서너마리에다 싣고 들어가 이 세속과는 담을 쌓기로 했다. 드디어 화엄사(華嚴寺)로부터 출발하여 화개현(花開縣)에 이르러 신흥사(新興寺)에 투숙하였는데, 가는 곳마다 모두가 선경이었다.
천암(天巖)은 경수(競秀)하고 만학(萬壑)이 쟁류(爭流)하며 대울타리에 초가들이 복숭아꽃 살구꽃 핀 사이로 은은하게 비치니 거의 인간 세상이 아닌 듯하나 찾고자 하는 청학동은 마침내 찾지 못하고 말았다. 하는 수없이 시만 바위돌에 남기고 돌아왔다.
두류산은 드높이 구름 위에 솟고
만학 천암(萬壑千巖) 둘러보니 회계(會稽)와 방불하네
지팡이에 의지하여 청학동 찾으려 했으나
속절없는 원숭이 울음소리만 숲 속에서 들리네
누대(樓臺)는 표묘(縹緲)한데 삼산(三山)은 안 보이네
써 있는 넉 자가 이끼 끼어 희미하네
묻노니 선원(仙源)은 어데인가
낙화 유수(落花流水)만이 가물가물
어제 서루(書樓)에서 우연히 오류선생집(五柳先生集)을 훑어보다가 도원기(桃源記)가 있기에 이것을 거듭 읽어 보았다. 대개 진(秦)나라 때 어떤 이가 난리를 피해 처자를 거느리고 그윽하고 깊어 궁벽진 곳을 찾아 산이 둘렀고 시내가 거듭 흘러 초동(樵童)도 갈 수 없는 험한 이 곳에 살았는데, 진(晋)의 태원(太元) 연간에 어떤 어부가 다행히 한 번 그 곳을 찾았으나 그 다음엔 길을 잃어 그 곳을 다시 찾지 못했다는 것이다.
후세에 이것을 그림으로 그리고 노래와 시로 전하여 도원(桃源)으로써 선계(仙界)라고 하고 장생불사(長生不死)하는 신선이 모여 사는 곳이라고 하였으나 아마도 그 기록을 잘못 읽었기 때문일 것이니 사실은 저 청학동과 다름이 없을 것이다. 어떻게 유자기(劉子驥)와 같은 고상한 선비를 만나서 나도 그 곳을 한 번 찾아가 볼 것인가?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