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자 표기(借字表記) / 구결 / 이두 / 향찰
by 송화은율차자 표기(借字表記) :
훈민정음 창제 이전에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을 문자화한 표기법으로 처음에는 인명, 지명 등 간단한 고유 명사에서부터 시작하여 탑비(塔碑)에 새긴 문장에까지 그 영역이 확대되어 사용되었다. 차자 표기는 다음과 같이 나뉜다.
(1) 구결(口訣) : 한문을 읽기 위해 한문 사이에 다는, 한자의 한 부분을 떼어 약호로 쓴 토
( 隱(은), 是羅(이라), (하며), (에), (하고) )
(2) 이두(吏讀) : 삼국시대부터 한자의 음과 뜻을 빌어 우리말을 표기하던 것으로서 조선 시대 말까지 공사(公私)문서에 사용되었다. 한문을 우리말 어순으로 바꾸고 토를 붙였는데 신라의 설총이 만들었다는 설이 있으나 확실한 증빙은 없다.
( 必于(비록), 爲去乃(하거나), 亦(이) )
(3) 향찰(鄕札) : 한자의 음과 뜻을 빌어 우리말을 전면적으로 표기하는 체제. 신라 향가의 모 습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주로 실질형태소 부분은 한자의 훈을, 형식형태소 부분은 한자의 음 을 빌어 표기 했음
한문은 한문 자체로만 쓰이지 않았다. 한문의 어법을 충실하게 지킨 본격한문의 문체만 있었던 것이 아니라, 한문에다 우리말의 어순이나 형태를 보탠 <속한문체>라 할 것도 일찍부터 있었다. 임신서기석(壬申誓記石)에서 좋은 본보기가 보이기 때문에 그런 문체를 ‘서기체’라고도 한다. [삼국사기]가 본격한문체로 일관했다면, [삼국유사]에는 속한문체가 섞여 있다. 한문을 제대로 구사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한문은 스스로 의도하지 않았어도 속한문체일 수밖에 없는데, 후대의 야담(野談)이나 소설(小說)에 그런 것들이 흔히 보인다.
한자를 빌려 우리말을 표기하는, 이른바 <차자 표기>도 일찍부터 있었다. 우리 문자가 없던 시절에는 차자 표기가 우리말을 적는 유일한 방법이었다. 관습으로 고착된 차자 표기는 훈민정음이 창제된 이후에도 계속 사용되었다. 차자표기는 구결(口訣), 이두(吏讀), 향찰(鄕札)로 나눌 수 있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