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중세역학에 대하여

by 송화은율
반응형

중세역학

 

1). 중세에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을 따르는 사람들의 의견에 의하면, 우리가 수직위로 공을 던졌을 때 처음 작용한 힘은 공이 올라감에 따라 점점 중력의 영향을 받게 되어 공이 최고점에 이르렀을 때에는 처음 던져질 때 가해진 힘이 모두 소모됨과 동시에 중력이 작용하게 되어 공은 잠시 정지하게 된다. 그 후 처음에 던져진 힘은 다 소모되고 중력이 던져진 힘보다 커져 공이 밑으로 덜어진다는 것이다. 이 생각을 근대 역학의 출발점인 관성의 법칙과 비교하여 설명해 보라.

 

 :

[1] 중세 아리스토텔레스 역학과 근대 뉴턴 역학의 사고틀에 대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힘에 대한 개념의 변화이다.

 

 아리스토텔레스: 힘이 물체에 지속적으로 작용하고 물체의 운동이 지속되는 동안 작용하는 힘이 감소하는 것으로 생각함

 뉴턴: 물체에 힘이 가해지는 순간에만 작용하고 그 이후에는 그 운동 상태가 지속되려는 관성에 의해 운동 상태가 유지된다고 생각함.

 

[2] 물체가 땅으로 되돌아오는 이유

 아리스토텔레스: 물체에 작용하던 힘이 모두 소모되었기 때문에 물체의 원래 자리인 땅을 향해 되돌아온다고 설명함

 뉴턴 : 힘이 연직 상방으로 작용한 순간부터 끊임없이 만유 인력이 작용하고 그로 인해 속도가 줄어들어 정지한 후 지구를 향해 운동을 한다고 설명함

 

(부연). , 위로 던져진 순간부터 땅에 떨어질 때까지 공에 작용한 힘은 무엇인가?

 : 지금 우리가 사고하는 틀이 뉴턴 역학이라고 해서 아리스토텔레스 역학은 틀리고 뉴턴 역학은 맞다고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우리가 뉴턴 역학의 틀로써 사고하는 이유는 보다 넓은 범위에서 유용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아리스토텔레스 역학의 틀로는 지구 위에 있는 물체의 운동은 설명할 수 있지만 우주에서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물체의 경우는 설명할 수 없다. 하지만 뉴턴 역학에서는 관성의 법칙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이처럼 보다 넓은 범위에서 설명이 가능해야만 법칙으로서 의미가 있는 것이다.

 

2). 아래의 그림과 같이 질량이 20kg인 원숭이가 질량이 같은 20kg인 바나나가 달린 가벼운 긴 줄을 꽉 잡고 정지해 있다. 이 원숭이는 줄에 매달린 바나나를 따먹을 수 있는지 설명한 아래 내용 중 옳은 것은?

. 원숭이가 줄을 타고 위로 올라갈 때 바나나는 정지해 있으므로 원숭이는 바나나를 따 먹을 수 있다.

. 원숭이가 줄을 타고 아래로 내려갈 때 바나나는 위로 올라가므로 원숭이는 바나나를 따 먹을 수 있다.

. 원숭이가 위로 올라가면 바나나도 위로 올라가고, 원숭이가 아래로 내려가면 바나나도 아래로 내려간다.

. 원숭이가 줄을 놓으면 원숭이와 바나나 사이의 거리는 점점 감소하므로 낙하하는 도중에 원숭이는 바나나를 잡을 수 있다.

 

 : 처음에 원숭이와 바나나는 정지하고 있었고 둘의 가속도는 같으므로 원숭이와 바나나는 똑같은 운동을 한다. , 원숭이가 올라가면 바나나도 올라가고 원숭이가 내려가면 바나나도 내려간다.

원숭이가 자유 낙하하면 바나나도 자유 낙하 하고, 원숭이가 위로 가속하면 바나나도 똑같이 위로 가속하기 때문에 원숭이는 바나나를 따먹을 수 없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