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신제(諸神祭) / 요점정리 / 정비석
by 송화은율작자소개
정비석(鄭飛石: 1911-1991)
평북 의주 출생. 1932년 일본 니혼[日本]대학 문과를 중퇴하였다. 1935년 《동아일보》에 시 《여인의 상》 《저 언덕길》 등을 발표했으나, 1936년 소설로 전향하여 단편 《졸곡제(卒哭祭)》가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입선하고, 1927년 단편 《성황당(城隍堂)》이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데뷔했다. 이후 《애증도(愛憎道)》 《자매(姉妹)》 《제신제(諸神祭)》 등을 발표했다. 그는 《국민문학》(43.4)의 <국경>이라는 수필에서 “내가 살고 싶은 곳은……이 내 나라 일본밖에 ……이 지구상의 단 한 곳의 낙원……조국 일본이 아니면 안 된다"고 했을 정도로 일본인화했었다.
그의 작품 본령은 8 ·15광복 후의 연재소설 《파계승(破戒僧)》 《호색가(好色家)의 고백》 등 일련의 애욕세계를 거쳐 1954년 《자유부인(自由夫人)》에 이르러 대중소설 작가의 위치를 굳혔다. 1984년에는 《소설 손자병법》을 발간하여 베스트셀러가 되기도 하였다. 저서로는 위의 작품 외에 《청춘산맥》(1949) 《여성전선(女性戰線)》(1951) 《홍길동전》(1953) 《산유화(山有花)》(1954) 《야래향(夜來香)》(1957) 《여성의 적(敵)》(1960), 수필집 《비석(飛石)과 금강산의 대화》(1963) 《여인백경(女人百景)》 등 수십 권에 달한다.
요점정리
시점 : 1인칭 주인공 시점.
배경 : 어느 산장(山莊).
인물 : 나 - 신학교 졸업생으로 사랑하는 여인을 잃은 인물.
주제 : 인간의 원초적 사랑과 방황.
이해와 감상
<제신제>는 정비석의 대표적 작품으로서, 사랑하는 연인을 잃은 한 신학도의 방황을 그린 작품으로 1941년 <문장>지에 실린 단편소설이다. 이 작품은 자연과 토속미의 세계를 밀도 있게 형상화하고 있으며, 주제 의식 속에는 종교적 차원과 인간의 미덕이 함유되어 있다.
줄거리
나'는 신학교 3학년 졸업반 학생이었다. 졸업 시험을 치르기 위해 '나'는 애라를 남겨 놓고 서울에 먼저 왔다. 그 후, 졸업생만으로 편성된 '뉴 세대'의 멤버로 제주도 등지를 순회하게 되는데 그 동안 애라는 죽고 만다.
지금 '나'가 들고 있는 트렁크에는 신학교 졸업장이 들어 있다. 그걸 들고 '나'는 추억의 산장을 찾는다. '나'가 산장의 문을 두드리자 김 서방의 아내 순실이가 나왔다. 그녀는 애라가 아파서 괴로워할 때 밤을 새워 가면서 간호를 해 준 여인이다. '나'는 그녀에게 치하의 말을 했다. 그러자 그녀는 '나'를 애라의 무덤으로 안내했다. 거기에는 먹 자취도 선명한 묘비가 서 있었다. 李愛羅之墓. '나'는 그 앞에서 분향한 후 소리내어 울었다. '나'는 '내 앞에서 다른 신을 네게 두지 말라!'는 십계명을 지켜야 하는 신학도였지만 절절한 안타까움과 애타는 마음은 무덤에 절을 하지 않고는 견딜 수 없었다.
'나'는 애라의 무덤에서 어둠이 짙게 깔릴 때까지 있다가 순실의 권유를 받고서야 다시 산장에 돌아와 애라의 동생 애경에게 편지를 썼다. '나'가 편지를 쓴 날 밤, 산장 주인인 김 서방은 출타한 채 돌아오지 않았다. 그 다음날 아침, '나'는 산장 뜰에 나와서 이미 시들어 버린 코스모스를 보았다. 그것은 아주 스산한 풍경이었다. 그걸 눈치채었는지 순실이는 낫으로 코스모스를 모두 베어 버린다. 그걸 지켜보는 '나'와 순실의 눈이 마주쳤다. 순간 서로가 아주 이상한 기분에 사로잡혔다. 그 때 옆에서 기침 소리가 나며 김 서방이 나타났다. 그의 시선은 폐부를 뚫는 것처럼 날카롭다.
그런 대로 시간이 흘러 애라의 제사를 앞둔 저녁에, 과수원을 거닐다 순실에게서 아홉 시 기차로 애경이가 온다는 전보를 전해 받는다. 김 서방의 일 때문에 서로가 꺼리는 감정도 있지만 순실이와 같이 Y역에 나갔다. 애경은 애라의 죽음을 모두 잊은 듯 명랑하게 지껄인다. 그녀는 애라를 추모하며 올 겨울을 산장에서 지내겠다는 '나'의 생각에 정면으로 반대한다.
잠이 오질 않아 이리 저리 돌아다니고 있는데, 김 서방 초막 앞에서 욕지거리와 함께 무엇을 부수는 소리가 들렸다. '나'는 다시 방으로 돌아왔다. 그 때 애경이 '나'를 부른다. '시험에 들지 말게 하옵시며…'하고 중얼거리며 '나'는 밖으로 뛰쳐나왔다. 애경은 애라의 제사도 무사히 마치고 아침 해가 솟아오르면 함께 떠날 것을 재촉한다. 그날 밤 김 서방은 순실이를 닥달질하며 야단을 친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