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만서설화
by 송화은율정만서설화
조선 말기의 풍자적인 인물 정만서에 관한 설화. 문헌설화는 발견되지 않는다. 이야기의 유형에 따라 사기담·경쟁담 또는 음담패설로 분류될 수도 있으나, 전체적으로 보아 소화(笑話)나 골계담(滑稽談)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설화는 정만서의 출생지인 경주시 인근 일대에 널리 전승되고 있으며, 이 지역과 교류가 있는 경상북도 남동부 지역 일대에도 다수 전승되고 있다.
정만서는 경주시 건천면 출생으로 용명2리에 무덤이 있다. 비문에 의하면 동래 정씨로서, 이름은 용서(容瑞), 자는 만서(萬瑞), 호는 춘강(春岡)이고, 1872년(고종 9)에 현릉참봉에 제수되었으며, 1896년 61세로 죽자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증직되었다.
그는 일생을 평민과 더불어 살면서 부자와 관료들의 횡포에 맞서고 풍류와 임기응변의 재치로 생활의 방편을 삼는가 하면, 삶과 죽음 등 근원적인 문제를 자각시켜 주는 일화도 많이 남겼다. 다음은 정만서에 관한 일화이다.
하루는 정만서가 대구 서문시장에 나타나서 땅을 치며 종일 울고 있었다. 이상하게 여긴 사람들이 까닭을 물으니 “여기 있는 사람들 다 죽는다! 그것이 슬퍼서 운다.”고 하는 것이었다. 사람들이 놀라서 연유를 캐어물으니 “여기 늙어서 죽지 않을 사람 누가 있느냐?”고 하여 사람들이 한편으로는 크게 놀라며 모두들 웃고 헤어졌다 한다.
또한, 정만서가 객지에서 복막염으로 죽을 고비에 이르렀는데, 아들이 소식을 듣고 모시러 왔다. 배가 부어서 아들 등에 등을 대고 업히어 오는데, 이를 본 사람들이 걱정스레 안부를 물으니 “등 따시고 배부른데, 이보다 더 좋은 팔자가 어디 있는가?”라고 하였으며, 임종 직전에 친구들이 찾아와서 죽음에 대한 소감을 물었더니 “아직 초죽음이라서 죽어 봐야 알겠다.”고 대답하였다고 한다.
설화의 내용은 상당히 지적인 언변과 단수 높은 기지, 비약적인 논리로 이루어져 얼른 이해가 되지 않는 것도 있다. 현재까지 수집된 유형은 50편 정도 된다.
방학중과 거의 동시대 사람이면서 비슷한 삶을 살았다는 것은 이 시대의 역사적 상황과 이러한 인물전설이 상호 관련성 속에 고찰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 주고 있으며, 지배와 억압의 대상에 대하여 어떻게 대항하여 민중적 의지를 실현해 왔는가 하는 문제도 이 설화들을 통해서 다루어질 수 있다.
문학으로서의 골계적^풍자적 양식 외에도 민중적 지성, 또는 민중적 영웅의 인물 유형을 분석해 냄으로써, 종래의 서사문학에서 존재하던 미적 범주나 인물 유형의 성격을 어떻게 계승하고 변용해 왔는가 하는 논의도 가능하게 하여 준다.
≪참고문헌≫ 諧謔小說大全集 2(金容喆, 노벨文化社, 1970), 정수동과 정만서(趙能植, 대아출판사, 1978), 韓國口碑文學大系(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0∼1988).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