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젊은 느티나무 / 해설 / 강신재

by 송화은율
반응형

젊은 느티나무 / 강신재

지은이  
 
     

강신재(康信哉: 1924- )

서울 출생. 이화 여전 중퇴. 1949년 김동리(金東里)의 추천을 받아 󰡔얼굴󰡕, 󰡔정순이󰡕 <문예(文藝)>에 등단함. 강신재는 비교적 다양한 성격의 인물들을 그리는 작가로서 특이한 인물의 묘사, 세련된 기법을 통하여 조화 있는 문학 세계를 구축하는 작가로 알려져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임진강의 민들레󰡕, 󰡔그대의 찬 손󰡕, 󰡔오늘과 내일󰡕, 󰡔파도󰡕, 󰡔청춘의 불문률, 󰡔이 찬란한 슬픔을󰡕, 󰡔숲에는 그대 향기󰡕, 󰡔유리의 덫󰡕 등이 있다.

 

길잡이  
 
     

1960 <사상계>에 발표된, 강신재 특유의 섬세한 여성적 필치가 돋보이는 낭만적 소설이다. 금지된 사랑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지만, 그 정서는 한없이 신선하고 아름답게 다가온다. 전처 소생의 아들과 후처가 데리고 온 딸. 그들 사이엔 아무런 혈연도 없다. 그렇다고 해서 남들처럼 평범한 사랑을 나눌 수도 없는 사이다. 여기서 이들 남녀의 견디기 힘든 고뇌와 번민이 시작되는 것이다.

 

 '젊은 느티나무'의 상징성 : 두 연인의 약속을 듣는 증인, 꿈을 잃지 않는 젊음.

 비누냄새의 상징성 : 인물에 대한 성격이나 용모 등에 대한 감각적인 묘사.

 

이해와 감상(1)  
 
     

이 작품의 기본 골격은 만남 떠남’, 그리고 만남의 가능성으로 요약된다.

열여덟 살의 민감한 감수성을 지닌 숙희는 이복 오빠로 만난 현규에게서 비누 냄새처럼 상큼하고 순수한 사랑의 감정을 느끼지만, 그것은 사회적으로 금지된 사랑이기에 그의 곁을 떠난다. 현규가 숙희를 찾아가서 이들은 또 만나지만, 자신들의 사랑을 지속시키기 위해 다시 떠날(헤어질) 것을 약속한다. 그것은 또 다른 만남을 위한 떠남이며 그래서 기쁨을 품은 슬픈 약속인 것이다. ‘젊은 느티나무는 두 여인의 약속을 듣는 증인이 되며, 꿈을 잃지 않는 젊음을 상징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작가는 숙희와 현규의 애정 심리를 섬세하게 묘사하고 그들의 감정의 흐름을 산뜻한 감각을 지닌 세련된 문장으로 표현함으로써, 이런 소재의 작품이 흔히 보이기 쉬운 신파조(調)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있다.

 

이 작품은 사회 규범상 용납될 수 없는 사랑에 빠진 청춘 남녀의 갈등을 윤리적 차원에서 해결하려 하기보다는 인물들이 그러한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어떻게 해소해 가는가에 초점을 두고, 사회 규범을 초월하는 사랑의 순수성을 보여 주고 있다. 특히, 끝까지 맑고 청순한 사랑의 감정을 깨뜨리지 않고 새로운 미래를 설계하기 위해 현실의 아픔을 현명하게 받아들이는 숙희와 현규의 의지가 감동을 줄 만하다.

 

이해와 감상(2)  
 
     

이 작품은 작가의 대표작으로서 재혼한 남녀 사이에 있는 이복 남매 간의 사랑을 그린 작품이다. 이 작품의 감동은 줄거리의 특이성은 물론이려니와 표현의 섬세함에 있다. 순수하면서도 가슴 졸이는 사랑을 맛보게 한다. 또한 이 작품은 서술자인 ''의 내적인 독백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에게 대해 깊은 마음의 말을 간직하고 있으나 쉽게 드러내 말할수 없는 ''의 심정을 잘 표현하고 있다. 오빠 현규를 사랑하는 ''의 마음 속 세계가 작품의 구심점을 이루며 사소한 감각적인 이미지를 통하여 순수한 사랑으로 구상화된다. 강한 서정적인 성향으로 마음 속 세계를 응시하면서 깊은 안의 세계를 표현하고 있는 작품이다.

 

그의 다른 작품인<TABU>도 이런 성향의 작품이다. 사회 규범상 용납할 수 없는 사랑을 '윤리적 차원'에서 해결하기보다는 그런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이며 어떻게 극복해 나가는가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청순한 감정을 깨지 않고 새로운 미래를 설계하기 위해 현실의 고통과 아픔을 받아들이는 현규와 숙희의 의지가 감동적이다.

 

핵심 정리  
 
     

갈래 : 단편소설, 성장 소설. 경향 : 낭만주의 소설

시점 : 1인칭 주인공 시점

배경 : 1950년대 6 25전쟁 이후, 서울 중심에서 떨어진 S촌과 느티나무가 있는 시골

어조 : 여성적이고 서정적인 부드러운 어조

표현 :  등장 인물의 내면 심리와 외부 사건을 적절히 조화시켜 작품의 예술성을 살림.

 오빠에게 느끼는 사랑의 감정을 내적 독백 형식으로 서술함.

주제 :  현실의 굴레를 극복하고 순수한 사랑을 성취하는 청춘 남녀의 아름다운 모습.

 (현실의 장애를 넘고 이루고자 하는) 젊은 남녀의 순수한 사랑

등장 인물  
 
     

(숙희) : 주인공이며 서술자. 이복 오빠 현규를 사랑하는 순수한 18세의 여고생. 시골 외가에서 후처가 된

어머니를 따라 상경함. 이복 오빠(현규)와의 근친 상간이라는 윤리적 갈등을 겪는 등 이룰 수 없는 사랑으로 고뇌하지만, 진정한 연애의 기쁨에 젖기도 한다.

(현규) : 22세의 대학생. 숙희의 이복 오빠로서 건강하고 세련된 젊은이. 이복 동생 숙희를 이성(異性)으로

느끼며 사랑에 빠져 고민하지만 윤리적 갈등을 순수한 의지로 극복한다.

  : 젊어서 남편과 사별하고 지난날 혼담이 있었던 므슈 리와 재혼한다.

므슈  : 현규의 아버지이자 숙희의 새아버지. 성격이 유()하고 과묵한 경제학 교수

지 수 : 현규의 친구이며 장관의 아들. 숙희를 좋아하여 연애 편지를 보낸 일로 현규의 질투심을 불러 일으 킨다.

구 성  
 
     

발단 : 어머니의 재혼으로 는 므슈 리(새아버지)의 집에 와서 기거하게 되며 거기서 이복 오빠 현규를

만난다.

전개 : 이복 오빠인 현규를 이성으로 느끼며 사랑의 감정을 갖기 시작한다.

위기 : 현규의 친구 지수가 에게 보낸 연애 편지로 인해서 현규가 질투하는 모습을 통해 서로의 감정을 확인하고 기쁨에 젖는다.

절정 : 괴로운 마음을 안고 시골로 간 (숙희)’가 괴로운 시간을 보낼 때 현규가 찾아온다.

결말(대단원) : 서로의 감정을 이해하고 아픔을 참고 먼 훗날을 약속하며 각자 현재의 길을 걷기로 다짐한다.

줄거리  
 
     

숙희(‘’)는 젊고 아름다운 어머니와 함께 시골 외할아버지 댁에서 살고 있다. 어느 날, 어머니를 찾아온 서울 모() 대학 교수(므슈 리)와 어머니가 재혼한 후 숙희도 서울로 와서 살게 되고 그곳에서 새아버지의 아들, 곧 이복 오빠가 되는 대학생 현규를 만난다. 그는 생소하고 어색해 하는 숙희를 너그럽고 친절하게 대한다. 시간이 흐르면서 숙희는 차차 오누이 아닌 오누이의 관계에서 현규를 오빠가 아닌 이성으로 느끼며 그를 사랑하게 된다. 하지만, 그것은 모두의 파멸을 의미하는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그들 사이가 혈족이 아닌, 단지 스물두 살의 청년과 열여덟 살의 계집아이일 뿐이라는 진실을 부정해야만 하는 현실에 고뇌하게 된다.

 

그러던 중 숙희와 지수 사이를 오해하여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현규에게서 숙희는 오히려 자신에 대한 현규의 사랑을 확인하면서 기쁨을 느낀다. 그들은 행복감과 고뇌를 동시에 안은 채 오누이 관계에서 연인 관계로 깊어 간다. 그러나 엄마마저 므슈 리를 따라 미국으로 가게 되어 현규와 둘이서 집에 있게 될 상황에 놓이자 운명적 사건을 예감한 숙희는 고민 끝에 서울을 떠나 시골로 간다. 그곳에서 절망적인 나날을 보내고 있던 어느 날, 현규가 찾아온다. 다시 만난 두 사람은 서로 진실된 감정을 지닌 채 서로를 더 사랑할 수 있는 방법을 찾으면서 미래를 약속하는 마음으로 각자 현재의 길을 걷자고 약속한다.

 

 생각해 봅시다

1. 이 작품의 서두에 보이듯이 현규에게서 비누 냄새를 맡을 때마다 숙희는 가장 슬프고 괴로운 시간이 다 가옴, ‘가슴 속으로 저릿한 것이 퍼져 나감을 느낀다. 숙희가 느끼는 비누 냄새의 이미지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2. 이 작품의 중심 소재인 느티나무의 상징적 의미는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3. 이 작품 중, “그래, 숙희, 그 나무를 놓지 말어. 놓지 말고 내 말을 들어.”에 나타난 현규 말의 의미는?

4. 이 작품에 나타난 강신재 문체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자.

5. 이 작품이 1인칭 주인공 시점으로 서술되어 얻게 되는 효과는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이것만은 꼭 알아야

1. 이 작품은 주인공들의 사랑의 감정을 통해 당대 사회의 금기에 도전하고 있다. 따라서, 사회적 압력과 개인의 욕망 간의 갈등이 주요 갈등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갈등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외재적 갈등(개인과 사회와의 갈등 양상을 보인다.) 외재적 갈등(개인과 사회와의 갈등 양상을 보인다.)

2. 이 작품의 표현상 특징은?

인물의 내적 심리와 외적 사건을 간결체로 조화시켜 높은 문학성을 획득하고 있다.

3. 비누냄새에서 내가 느끼는 것은 무엇인가?

오월의 신록과 같은 현규의 젊고 싱싱함. 오월의 신록과 같은 현규의 젊고 싱싱함.

4. 이 작품은 중요 부문이 내재적 독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 나타난 심리에 대하여 생각해 보자.

그에 대해 깊은 사랑의 마음을 간직하고 있으나 쉽게 말할 수 없음을 보여 준다. 그에 대해 깊은 사랑의 마음을 간직하고 있으나 쉽게 말할 수 없음을 보여 준다.

 비교해 봅시다.

1. 이 작품의 문체와 이외수의 꿈꾸는 식물의 문체를 비교해 보자.

 두 작품 모두 섬세한 감수성에 의한 감각적인 표현력이 돋보인다. 그러나 두 작가의 언어 사용은 차이를

보이는데, 강신재가 시각, 후각, 색채의 감각어를 주로 사용하여 선명한 이미지를 구사하고 있다면, 이외 수는 탁월한 시적 표현에 의해서 재치와 화려함을 느끼게 해 준다.(‘잠 속의 흥건하게 녹아들어 있는 내 의식을 잠 밖으로 떠내고 있었다.’ 등의 문장)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