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룡전(李海龍傳)
by 송화은율이해룡전(李海龍傳)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한글 필사본 · 목판본 · 활자본. 20여종의 필사본과 2종의 목판본, 5종의 활자본이 있다.
활자본의 경우, 1926년 회동서관( 霙 東書館)에서 간행한 ≪ 육효자전 六孝子傳 ≫ 의 제2회에 실려 있는 것과, 1916년에 광동서국(光東書局) · 박문서관 ( 博文書館 ) · 한성서관(漢城書館)에서 발행한 〈 심부인전 沈婦人傳 〉 이 주목된다.
특히 〈 심부인전 〉 은 ≪ 증상연정심청전 增像演訂沈淸傳 ≫ 이라는 책에 〈 심청전 〉 과 함께 들어가 있는 것으로, 이해룡의 부인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이지만, 그 내용은 같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영종 원년 낙양에 이경회라는 선비가 있었다. 그는 명문의 후예이나 벼슬에 뜻이 없어 장씨 부인과 세월을 보내고 있었다. 어느날 부인이 남편에게 숙녀를 얻어 자식을 얻도록 청하자, 그날밤 꿈에 선관이 와서 전생에 무죄한 사람을 많이 살해하여 자식이 없었으나 이제 효성이 지극하므로 자식을 점지하여 준다고 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은 아들을 해룡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해룡이 8세 때 아버지가 부귀를 얻어 자신의 한을 풀어달라고 유언을 남기고 죽었다. 해룡이 아버지를 선산에 안장하고 삼년시묘를 하다 보니 가산이 탕진되었다.
해룡이 성장하여 장원급제를 하고 심현령의 딸을 부인으로 맞았다. 그러나 흉년이 들어 아내는 구걸을 하고, 해룡은 나무를 하며 노모의 방을 따뜻하게 하여 주었으나 결국 노모는 죽었다. 부부는 진사댁 종이라 속이고 오홍대감의 종으로 몸을 팔아 어머니의 장례를 치렀다.
어느 날 옛 종 만득이 찾아옴으로써 해룡 부부의 정체가 드러나자 오홍대감은 해룡을 양자로 삼고 왕에게 이 사실을 상소하였다. 왕은 장씨부인의 장례를 왕례로 치르게 하고 벼슬을 내렸다. 해룡은 결국 재상까지 되고, 만년에 오홍대감 부부가 죽자 장례를 극진히 치르고 삼년시묘를 하였다.
효열계 영웅소설인 이 작품은 부모의 장례를 치르는 것을 통한 효의 실현에 중점을 둔 윤리소설이다. 치상은 해룡 아버지의 죽음, 해룡 어머니의 죽음, 양부모인 오홍대감 부부의 죽음이라는 일련의 소재가 되어 이 작품의 전개의 처음 · 중간 · 끝을 이룬다.
해룡은 장례를 통한 효행의 실현에 의하여 그의 덕성이 사회에 인정되고, 이로 인하여 재상의 지위에까지 오르게 되는 공명획득의 길이 열린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전형적 유교윤리를 바탕으로 한 권선적 소설이다.
이는 충(忠)을 중심으로 한 작품이 권선적 소재와 징악적 소재의 대립과 갈등으로 전개되는 것과 대조를 보인다. 또, 해룡부인이 겪는 가난과 고통이 그가 전생에 저지른 죄의 대가임을 제시하는 태몽은 적강소설(謫降小說)의 구조를 꿈속의 소재로 수용한 특이한 부분이다.
효자가 어버이의 장례비를 마련할 길이 없어 자신이 재상가에 팔리거나 아내 등을 팔아 그 돈으로 장례를 치르는 매신치상형설화(賣身治喪型說話)는 〈 이태경전 〉 · 〈 청화담 〉 · 〈 부용전 〉 등의 고전소설에서도 중요 모티프로 쓰이고 있으므로 이 작품과 상관성을 보인다.
특히 〈 이태경전 〉 의 전반부는 〈 이해룡전 〉 과 거의 같으나 후반부는 이태경의 영웅적 활약상을 그리고 있다는 차이를 보인다. 이로 볼 때, 〈 이해룡전 〉 은 〈 이태경전 〉 의 형성에 바탕을 제공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 참고문헌 ≫ 韓國口碑傳說의 硏究(崔來沃, 一朝閣, 1981), 李海龍傳 硏究(金東建, 慶熙大學敎碩士學位論文, 1997).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