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이대봉전(李大鳳傳)

by 송화은율
반응형

이대봉전(李大鳳傳)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 · 목판본 · 활자본. 표제명은 ‘ 니 데 봉젼 · 이 데 봉젼 · 리디봉젼 ’ 등으로 되어 있다. 많은 필사본이 있으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 니데 봉젼 〉 상 · 하권 64장본을 영인하여 소개한 바 있다.

판본으로는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 나손문고(舊 金東旭 소장본) 소장의 완판목판본 상 · 하 합권이 영인되어 소개된 바 있다. 활판본은 1916년 간행한 박문서관본 및 안동서관본 등이 있으며, 신소설기에 개편한 〈 봉황대 鳳凰臺 〉 가 있다.

명나라 성화연간에 기주지방에 이익이라는 사람이 있는데, 벼슬이 이부시랑에 이르렀고 명망이 높았으나 슬하에 자식이 없었다. 이시랑은 천축국 백운암에 시주를 많이 하고 신이한 태몽을 꾼 뒤 아들 대봉을 낳는다. 그리고 마침 같은날 출생한 기주 장미촌 장한림의 무남독녀 애봉과 혼약을 정한다.

 

이 때, 조정에서는 간신 왕희가 국권을 마음대로 휘두르고 있었다. 이에 이익은 직간하는 상소를 올린다. 그러나 이익은 왕희의 탄핵을 받아 남해절도로 귀양을 가게 된다. 왕희는 뱃사공을 매수하여 이익 부자를 죽이려 하였으나 용왕의 도움으로 이익은 외딴섬에 머무르고, 대봉은 천축국 금화산 백운암으로 가서 도승에게 술법을 배운다. 한편, 장한림은 이익 일가의 참변을 듣고 탄식하다가 병을 얻어 부부가 함께 죽고, 애봉만 시비들과 더불어 살아간다.

이 때, 왕희는 애봉의 미모가 출중하다는 말을 듣고 며느리로 맞이하고자 구혼하였으나 거절당하자 납치하려 한다. 이것을 미리 짐작한 애봉은 도주하여 희운이라고 이름을 바꾸고 호씨라는 과부집에 의지해 지내면서 무예를 공부한다.

천자는 지난날의 잘못을 깨닫고 인재를 구하고자 과거를 베푼다. 이에 희운이 응시하여 장원급제하고 한림학사가 된다. 이즈음 선우족이 강성해져서 중원을 침공하자, 장한림은 자원하여 대원수가 되어 출전한다. 장원수는 선우의 대군을 격파하고 교지국까지 추격하여 진군한다.

 

 

이와 동시에 또 북흉노가 중원을 침공하여 황성을 점령하고 천자를 핍박하여 위급한 지경에 이른다. 이 때 산사에서 수학하고 있던 대봉은 도승의 지시에 따라 필마단기로 도성으로 달려와서 흉노군을 격파한다.

천자에게는 성명도 알리지 않은 채 흉노를 추격하여 서릉에 이르러서 흉노를 베고 적군의 항복을 받았다. 그 뒤 돌아오다가 해상에서 폭풍을 만나 무인도에 표류하게 되었는데, 그곳에서 아버지 이익을 만나 함께 도성에 이르러 천자를 배알한다.

한편, 장원수는 선우를 추격하여 항복을 받고 회군하면서 승전보고를 천자에게 알린다. 더불어 자신이 여자라는 사실과 장한림의 딸이라는 것을 밝힌다. 또한 하사한 직첩을 사양하고 왕희를 직접 처단할 것을 요구한다.

대봉 또한 왕희를 직접 처단할 것을 요구하여 왕희의 처형터에서 애봉과 대봉은 상봉한다. 전란을 평정하고 부모의 원수를 갚은 대봉은 애봉과 혼인하고 초왕이 되어 부귀영화로 일생을 마친다.

이 작품은 조선 후기에 유행한 창작 군담소설의 대표적 작품으로서, 특히 정혼자인 애봉의 활동이 더욱 두드러진다. 애봉은 정식으로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진출하였고, 외적이 난을 일으켰을 때, 대원수로 출전하여 공을 세운다.

이러한 활약은 여성의 사회활동을 부정하였던 조선조 사회에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이다. 이는 당시 남성 중심의 사회를 비판하고 여성도 남성과 대등한 능력이 있음을 보여주려 하였던 작가의식의 발로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작품의 전개가 어려서 한 남녀의 혼인 약속과 헤어짐, 그리고 시련 뒤에 재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인간의 일생에서 결혼을 가장 중시한 의식을 찾아볼 수 있다.

이 작품은 〈 유문성전 〉 · 〈 여장군전 〉 · 〈 옥루몽 〉 등과 함께 부부의 영웅적 활약을 담고 있어, 여걸소설의 범주에 드는 소설이다. 여성의식을 탐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