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수의 ‘무명’ - 해설
by 송화은율이광수의 ‘무명’ - 해설
<무명(無名)>은 1939년 1월 <문장> 창간호에 발표된 춘원 이광수의 단편이다. 제목 ‘무명’은 불교에서 주장하는 근본 번뇌, 즉 무지(無知)를 뜻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일체 사물에 대한 도리를 밝게 알지 못한다는 의미로 사용되거나 진리에 대한 무지로 통용된다. 이 작품 <무명>도 이와 같은 무명 세계(無名世界)의 실상을 나타내고 있다.
안창호의 죽음(1938년 3월) 소식을 들은 다음날부터 춘원은 이 작품의 집필을 시작했다는데, 수양 동우회 사건으로 옥고를 치르다가 병보석으로 출감하여 수감 생활을 바탕으로 하여 병원에서 구술로 탈고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입감한 지 사흘째 되는 날 ‘나’는 병감으로 보내어진다. 과식과 악담으로 세월을 보내는 사기범 ‘윤’과 마름 노릇을 하던 방화범 ‘민’ 노인을 그곳에서 만난다. 민이 전방되 뒤 ‘정’이라는 평안도 출신의 사기범이 들어오자 윤과 정은 쉴 새 없이 다투고, 나와 윤과 정이 다시 전방하여 간 방에서 다시 민을 만나고, 기자 출신으로 공갈 취재했다는 ‘강’을 만나자 윤과 정은 기가 죽고 만다.
민이 복막염으로 병보석으로 출감한 뒤 옆방에서는 장질부사를 앓던 청년하나가 죽어 나가고 윤은 폐결핵으로 다시 전방된다. 무죄 방면을 바라고 <무량수경>을 읽던 정은 징역 1년 6월을 선고 받고, 강은 징역 2년의 판결을 받는다. 강이 상소권을 포기하고 선선히 복죄해버린 것에 대조되어 정은 멸시받게 된다. 윤도 결국 병보석으로 출감한다.
내가 출옥한 뒤 석달이 지난서 출옥한 간병부의 말을 들으니, 민도 죽고, 윤도 죽고, 강은 목수일을 하고 있으며, 정은 병이 악화되어 본감 병감에 있는데 도저히 공판정에 나가볼 가망조차 없다고 한다.
작가 자신이 ‘비로소 소설다운 소설을 썼다’ 거나 ‘나로서는 오늘까지 쓴 작품 중에서 가장 자신 있는 것’이라고 자부하고 있는데, 감옥이라는 어두운 상황 속에 처한 부정적 인물들의 군상이 치밀하게 묘사되어 있다. 죄수들의 이기심과 탐욕의 양상을 전형화하여 인간성겨의 어두운 측면을 숨김 없이 드러냈다는 점에서 이전의 춘원 소설의 단점으로 지적되는 일방적인 교화와는 차이가 난다. 특히, 윤, 민, 정 세 사람의 성격적 결함과 탐욕, 분노로 빚어지는 암투, 시기, 아첨, 자기과시, 거짓말 등이 빚는 사건 전개가 이 작품의 중추를 이루고 있다. 그들의 탐욕과 분노는 바로 그들의 무지의 소산인데 이것이 바로 작품의 제목인 ‘무명(無名)’의 배경이다. 인간의 소유욕에 뿌리를 두고 일어나는 고통의 번뇌인 욕망, 집착, 무지가 수감된 죄수들의 관계 속에 부각되어 나타나 있다.
1930년대 소설의 장편화 경향과 관련하여 등장한 중편 소설의 면모를 갖추고 있으며, 기독교 사상을 기저로 한 계몽 문학으로 일관해 온 작가가 불교적 인식으로 전환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기도 하지만, 작가 자신이기도 한 서술자는 인생은 고해(苦海)라면서 방관자적 시각을 가진다거나, 암울한 상황을 헤쳐나갈 현실적 대안은 없이 ‘염불을 하면 극락세계로 간다’ 는 종교적 교훈만을 거듭하는하 하면, 자신을 무지한 민중들과 대칭적 위치로 설정한 것은 역시 춘원의 계몽 문학의 잔재로 지적될 수 있다.
작품 요약
주제 : 극한 상황 속에서 인간의 욕망과 갈등.
인물 : 나- 미결수로 감방 생활을 하는 관찰자의 위치에 있는 화자이며 정적 인물.
윤- 문서 위조죄로 수감된 자로서 교활한 성격의 소유자이며 탐욕서런 인물. 중병으로 독방에 옮겨진 후 불교에 귀의하는 동적인물.
민- 소극적이고, 방어적 인물이며 윤과의 마찰에서 반항적 성격을 보이나, 결국 병으로 죽음.
정- 비뚤어진 성격의 죄수이며, 특히 식탐이 강한 인물. 자신의 무죄를 확신하며 불경을 읽지만 중명으로 공판정에 나서지 못함.
배경 : 일제시대 서울 어느 형무소의 감방.
(공간적 배경은 특정한 공간인 서울 서대문 형무소이며, 시간적 배경은 인간적 시간이 설정되었다.)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