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은도끼 금도끼

by 송화은율
반응형

은도끼 금도끼

정직한 나무꾼은 금도끼를 얻고 욕심쟁이 나무꾼은 쇠도끼마저 잃게 되었다는 내용의 설화. 신이담(神異譚)에 속하는 설화 유형의 하나이다. ‘금도끼·은도끼·쇠도끼’ 혹은 ‘정직한 나무꾼’ 등으로 일컬어지기도 한다.

이 설화가 언제부터 우리 나라에서 구연되기 시작하였는지는 알 수 없으나, 서양에서는 이솝우화에 수록된 〈헤르메스와 나무꾼〉으로 보아 서기전 수백 년 전부터 알려졌음을 알 수 있다.

물론 헤로도토스의 말대로 이솝이 서기전 620∼560년의 실제 인물인가는 재론의 여지가 많으나, ≪이솝우화집≫의 편찬이 서기전 347∼285년에 이루어진 것이라 하므로, 그 속에 포함된 이 이야기의 역사도 그만큼 오래되었음은 분명하다.

그리하여 이 이야기의 분포는 매우 광범위하여, 아르네톰슨(Aarne-Tompson)의 ‘설화의 유형’ 729번 〈물속에 빠뜨린 도끼〉의 분포지는 리투아니아·프랑스·프랑스계 캐나다·중국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우리 나라를 비롯한 베트남·일본 등의 현지 조사 보고의 예가 누락되어 있다.

이 이야기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① 한 나무꾼이 산으로 가 나무를 찍다가 잘못하여 도끼를 연못 속에 빠뜨려 버렸다. 할 수 없이 울고 있자니 연못 속으로부터 백발 노인이 나타나 금도끼·은도끼를 차례로 보여 주며, “이것이 네 것이냐?”고 물었다. 정직한 나무꾼은, “아닙니다. 제 도끼는 오래된 쇠도끼입니다.”라고 대답하였다.

 

이에 노인은 나무꾼의 정직함을 칭찬하며 세 도끼 모두를 주었다. ② 한편, 이 이야기를 전해 들은 이웃의 욕심쟁이 나무꾼이 정직한 나무꾼의 흉내를 내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는 금도끼·은도끼마다 제 것이라고 대답하여 노인의 노여움을 사 금도끼·은도끼는커녕 제 쇠도끼마저 잃고 말았다.

이 설화 유형은 위에서 구분해 놓은 것처럼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즉, 〈금도끼·은도끼를 얻은 정직한 나무꾼〉①과 〈쇠도끼마저 잃은 욕심장이 나무꾼〉(①+②)이다.

요컨대 이 이야기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것은 정직 또는 선의 승리라고 할 수 있고, 정직한 자와 부정직한 자, 곧 선과 악의 2원칙인 대비에서는 후자가 실패하게 함으로써 교훈적 의도를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이 이야기는 초등학교 교과서나 저학년용 아동 도서들에 흔히 나타난다.

≪참고문헌≫ 이솝寓話集(金昌活 譯, 乙酉文化社, 1975), 韓國口碑文學大系(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0∼1988), The Types of the Folktale(Thompson,S., Helsinki, 1964).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