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월곡답가(月谷答歌)

by 송화은율
반응형

월곡답가(月谷答歌)

 

 

옛 사람 이제 사람 이목구비(耳目口鼻) 같건마는

나 혼자 어찌하여 옛 사람을 그리는고

이제도 옛 사람 계시니 긔 내 벗인가 하노라. - <제1수>

 

청송(靑松)으로 울을 삼고 백운(白雲)으로 장(帳) 두르고

초옥삼간(草屋三間)에 숨어 계신 저 내 벗님

흉중(胸中)에 사념(邪念)이 없으니 그를 사랑하노라. - <제4수>

 

벗님 사는 땅을 생각하고 바라보니

용추동(龍湫洞) 밖이요 구름다리 우이로다.

밤마다 외로운 꿈만 혼자 다녀오노라. - <제5수>

 

뫼는 첩첩(疊疊)하고 구름은 잦았으니

고인(故人)의 집 쪽이 바라도 볼 수 없다.

마음만 길 알아 두고 오락가락 하노라. - <제7수>

 

방장산(方丈山) 기슭에서 신선(神仙)님네 만나신가

얼푸시 보거든 내 말을 전하소서

산중(山中)에 타시는 청학(靑鶴)을 나도 탄다 어떠하리. - <제10수>

- 정훈, <월곡답가(月谷答歌)>

요점 정리

작가 : 정훈

갈래 : 연시조

성격 : 예찬적, 추모적

주제 : 월곡에 대한 그리움과 흠모의 정

구성 :

1수 - 옛 사람의 풍모를 닮은 꼴

4수 - 욕심 없는 삶을 살았던 월곡

5수 - 월곡을 찾아가고 싶은 화자의 마음

7수 - 고인이 된 월곡에 대한 그리움

10수 - 월곡의 풍모를 닮고자 함.

옛 사람의 풍모를 갖춘

월곡 예찬

욕심 없이 살았던

월곡의 삶 동경

월곡을 그리워하여

월곡 찾아가고픈 마음

고인이 된 그에 대한 간절함

그리움

월곡의 정신적 세계에 대한

흠모

내용 연구

 

옛 사람 이제 사람[월곡] 이목구비(耳目口鼻) 같건마는

나 혼자 어찌하여 옛 사람을 그리는고

이제도 옛 사람 계시니 긔 내 벗인가 하노라.[옛 사람의 풍모를 담고 있는 월곡에 대한 예찬] - <제1수>

 

청송(靑松)으로 울을 삼고 백운(白雲)으로 장(帳)[휘장] 두르고

초옥삼간(草屋三間)에 숨어 계신[월곡의 욕심 없는 삶을 형상화하고 있음] 저 내 벗님

흉중(胸中)에 사념(邪念)이 없으니 그를 사랑하노라. - <제4수>

벗님 사는 땅을 생각하고 바라보니

용추동(龍湫洞) 밖이요 구름다리 우이로다.

밤마다 외로운 꿈만 혼자 다녀오노라.[월곡과 헤어져 있어 꿈으로만 찾아가는 아쉬움이 드러나 있음] - <제5수>

 

뫼는 첩첩(疊疊)하고 구름은 잦았으니

고인(故人)의 집 쪽이 바라도 볼 수 없다.

마음만 길 알아 두고 오락가락 하노라[마음은 월곡을 향해 있으나 그를 찾아갈 수 없는 안타까운 심경이 드러남]. - <제7수>

 

방장산(方丈山) 기슭에서 신선(神仙)님네 만나신가

얼푸시 보거든 내 말을 전하소서

산중(山中)에 타시는 청학(靑鶴)을 나도 탄다 어떠하리[방장산에서 신선처럼 살고 있을 것 같은 월곡과 같은 삶을 살고 싶은 마음을 표출함]. - <제10수>

이해와 감상

 

정훈은 조선 중기의 시인으로 생활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을 시가로 읊었는데 이 작품은 16세기 말 17세기 초의 시대 현실에 맞서 싸우고 백성들을 생각하며 충의지사로서 치열하게 살았던 당대 의병장의 삶의 궤적을 그리면서 그와 동질화되고자 하였던 의식을 표출하고 있다.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