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원광법사설화

by 송화은율
반응형

원광법사설화

신라 고승 원광법사의 영이(靈異)를 다룬 불교설화. ≪삼국유사≫권4 원광서학(圓光西學)에 5편의 설화가 실려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진(陳)나라 말기에 원광이 수(隋)나라 난병(亂兵)에게 잡혀 죽을 뻔하였으나, 절과 탑이 불타는 형상이 대장에게 나타나 구해 주었다(唐續高僧傳 권13).

② 원광이 임종할 때 공중에 음악 소리가 가득하고 이상한 향기가 절 안에 가득 찼다. 어떤 속인이 원광의 무덤 옆에 죽은 아이의 태(胎)를 묻었더니 벼락이 쳐서 태를 무덤 밖으로 내던졌다(당속고승전 권13).

③ 신라왕이 병이 들어 차도가 없으므로, 원광을 청하여 참회(懺悔)의 계(戒)를 받고 그를 신봉하였다. 원광의 머리가 금빛으로 빛나고 태양의 모양이 그를 따름을 보고 왕이 그를 더욱 신봉하더니 오래지 않아 병이 나았다(당속고승전 권13).

④ 원광이 30세에 삼기산(三岐山)에 들어가 수도할 때 이웃에 중 하나가 와서 살았는데, 밤에 신(神)이 원광에게 그 중더러 다른 곳으로 옮겨가도록 권해 주기를 당부하였다.

그러나 중은 호귀(狐鬼) 따위의 말이라 하여 듣지 않았다. 그러자 신이 벼락을 내려 산을 허물어 중이 있던 절을 묻어버렸다. 원광은 신이 권유한 대로 중국에 가서 불교와 유교를 익히고 돌아왔다.

 

신에게 감사하러 삼기산에 간 원광은 신으로부터 계를 받고 생생상제(生生相濟 : 다시 태어나는 모든 세상에서 서로 구제함.)의 약속을 맺었다. 신은 원광의 청으로 자신의 모습을 드러냈는데, 큰 팔뚝이 새는 날 아침 구름을 뚫고 하늘가에 닿아 있었다. 신은 마침내 무상(無常)의 몸을 버렸는데, 원광이 보니 늙은 여우였다(古本殊異傳).

⑤ 신라 사량부(沙梁部)에 사는 귀산(貴山)과 추항(示項)이 원광에게 나아가 평생의 경계가 될 말을 들려주기를 청하였다. 원광은 두 사람에게 세속오계를 가르쳐 주었다. 즉, 임금을 충성으로 섬김(事君以忠), 어버이를 효성으로 섬김(事親以孝), 벗을 신의로 사귐(交友以信), 싸움에서 물러서지 않음(臨戰無退), 산 물건을 가려서 죽임(殺生有擇) 등의 내용이었다.

‘산 물건을 가려서 죽인다.’는 뜻을 깨치지 못하는 귀산 등에게 원광은 산 물건을 죽임에 있어 육재일(六齋日 : 여섯 재일로 매월 8·14·15·23·29·30일)과 봄·여름을 피하는 것은 시기를 가리는 것이요, 말·소·닭·개와 같은 가축과 작은 물건을 죽이지 않는 것은 물건을 가리는 것이며, 이것도 쓸 만큼만 죽인다고 하였다.

두 사람은 원광의 가르침을 받들어 실천하기로 다짐하고, 그 뒤 전쟁에 나가 모두 나라에 큰 공을 세웠다(삼국사기 열전)는 등의 내용이다.

원광에 관한 5편의 설화에서 앞의 4편은 불교적 영이담(靈異譚)이다. 여러 가지 신력(神力)을 나타내어 중생으로 하여금 미증유(未曾有)의 일로 이상스럽게 느끼게 하는 교화(敎化)의 방편으로, 불교설화에는 신이적(神異的)인 내용을 통해 독자나 청자에게 깊은 종교적 감동을 주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영험담(靈驗譚)이야말로 종교설화의 본령(本領)이라 할 것이다.

⑤는 이른바 세속오계(世俗五戒)를 설화한 것으로, 이는 당초 보살십계(菩薩十戒)에 근거를 두고 세속에 맞도록 절충한 것인데, 불교의 살생계(殺生戒)가 신라의 현실에 알맞게 ‘산 물건을 가려서 죽임(殺生有擇)’으로 그 내용이 호국적(護國的) 불교이념화한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三國遺事, 海東高僧傳, 唐續高僧傳, 朝鮮佛敎通史(李能和, 新文館, 1918), 新羅佛敎說話硏究(黃浿江, 一志社, 1975), 新羅佛敎文學硏究(金雲學, 玄岩社, 1976).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