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랑반혼전(王郎返魂傳)
by 송화은율왕랑반혼전(王郎返魂傳)
왕랑은 성은 왕이오, 이름은 사궤니 길주 사람이다.
아니 쉰일곱에 아내 송씨, 먼저 죽은 지 열한 해 밤중 삼경 때에 창을 두드려 이르되,
"낭이여. 자느냐 아니 자느냐?"
하거늘, 왕랑이 이르되,
"누구요?"
한 대
"낭군의 고처 송씨러니 종요로운 뜻을 잠깐 이르러 왔노라."
왕랑이 놀라 괴이히 여겨 이르되,
"무슨 종요로운 일인가?"
송씨 가로되,
"내 죽은 후 열한 해로되, 염왕이 아직 죄 묻기를 마치지 아니하고 그대를 기다려 결단하리라고 서로 의논한 지 오랜지라. 내일 아침에 그대 잡을 차사 다섯 귀신이 올 것이니, 그대는 집 가운데 미타탱을 서벽에 높이 걸고 그대 동으로 안고 서를 향하여 아미타불을 여하라."
왕랑이 이르되,
"명관이 날 잡아감은 무엇 때문인가?"
송씨 이르되,
"우리 집 북녘 이웃에 사는 안노숙이 매일 이른 새벽에 서쪽을 향하여 쉰 번 절하고 매월 보름에 미타불 염하기를 일만 번으로 업을 삼거늘, 그대와 내가 매양 비방했더니, 이 일로 나를 먼저 잡아 가두어 죄를 묻고 그대를 기다려 문죄를 마치리니 우리들이 필연 지옥에 떨어지면 길이 빠져나올 기약이 없으리로다."
말을 마치고 송씨 즉시 돌아가거늘, 이에 왕랑이 다음 날 아침에 그 말대로 하여 지성 염불하더니, 그 때 문득 다섯 귀사 뜰 가운데 와 서서 오래 돌아보아 자세히 살펴 관찰하다가 먼저 미타탱에 절하고 다음에 왕랑에게 절하거늘, 왕랑이 크게 놀라 자리에서 내려와 답하여 절하니, 귀사가 이르되,
"우리들은 명조께 명을 받았는지라, 그대를 잡으로 왔더니, 이제 그대 도량을 깨끗이 하고 단정히 앉아 부지런히 미타를 염하니, 우리들이 비록 공경해 마지아니하나 염왕의 명을 피하기 어려워 아니 잡아가지 못할지니, 비록 칙령대로 아니나, 엎드려 청하노니 행래하소서."
제삼 귀 가로되,
"염왕이 명을 내리시되, 왕랑을 엄히 매어 가져오라 하셨으니 칙령대로 아니 하면 왕의 진심을 우리들이 감히 입으리로다."
나머지 귀사 가로되,
"우리들이 많은 칙령을 받았어도 선도를 닦지 못한 고로 이제까지 귀보를 못 벗으니, 차라리 죽을죄가 될지언정 감히 칙령을 좇아 염불하는 사람을 매지 못할지로다."
제일 귀사가 왕랑더러 말하기를,
"비록 죄 범함이 산 같아 반드시 지옥에 들 것이나, 우리들이 본 바로 염왕께 이대로 사뢰면 반드시 인도에 도로 오리니, 그대는 감히 슬퍼 마소서. 그대 만일 극락에 가거든 우리 등 귀사를 잊지 마소서."
인하여 끓어 앉아 게를 보여 가로되,
내 명간(冥間)에 사자(使者)된지 이제 백천 겁이로되
부처 염하는 사람이 악도(惡道) 중에 떨어짐을 보지 못했도다.
"그대 만약 연화국에 나거든 우리 무리 생각하여 귀보를 벗게 하소서."
그리한 후에 명조에 가니 염왕이 칙사더러 노하여 가로되,
"빨리 잡아매어 오라 했더니 어찌 늦게 오느냐?"
귀사가 보던 바를 갖추어 말하니, 왕이 자리에서 일어서서 말하되,
"좋구나, 왕랑이여, 빨리 섬에 오르소서."
염왕이 모두 절하여 가로되,
"부처가 일직이 안노숙의 염불하는 일을 매양 비방하기에 먼저 송씨를 가두고 왕랑더러 물어서 악도에 떨어뜨리려고, 이제 지극히 모진 귀차를 부렸더니, 귀사의 본 바를 들으니, 그대 마음을 고쳐 참회하고 부지런히 염불하니 어떤 죄 있으리로?"
왕이 인하여 게로써 이르되,
서방주(西方主) 아미타불은 이 사바에 각별한 인연이 있으니,
만약 한결같이 저 부처를 아니 염하면 명조의 용맹한 사자를 항복케 하기 어려우리라.
하고,
"부처를 인간에 도로 보내어, 남은 목숨이 설혼 해이거늘 예순 해를 더하여 부지런히 닦아 정진하여 아미타불을 염하여 빨리 저 세계에 가리시니, 우리 등 시왕도 다 서방에 이르게 하소서."
하고 위하여 보내리라. 왕이 조부 최 판관에게 명하여 가로되,
"왕랑이 도량을 벌이고 간절히 염불하니 먼저 범한 무간죄보가 이제 이미 흩어져 없고, 오직 염불 공덕으로 부부를 한가지로 인간에 돌려보내어 함께 늙도록 한 곳에 살아 부처를 염케 하리니, 송씨 명 마친 지 오래어 가죽, 뼈 흩어져 없으니 혼을 어느 곳에 부칠고?"
판관이 왕명을 들어 염왕 뜻으로 왕랑께 절하고, 왕께 사뢰되,
"월시국 옹주가 이제 명이 스물한 살이라, 명한이 이미 다한 고로 혼이 이제 야마천에 난지라. 그 몸이 온전하리니 송씨의 혼을 옹주 형체에 의탁하여 도로 나게 함이 마땅하니이다."
하거늘, 염왕이 기뻐 말하기를,
"왕랑 부처가 이 원을 잊지 않으면 서방에 빨리 나시리니, 그대 자세히 들으라. 그대 집 북쪽에 사는 안노숙을 감히 비방하지 말지어다. 이 몸을 받아 늘 서방을 존중하여 말하면 이 공덕으로 제불제천이 매양 호지 할 것이니라. 그대는 늘 공양함을 부모같이 하시어, 그대에게 청하노니 우리들 음신을 안노숙에게 전하여 아뢰소서."
하거늘 왕랑이 대답하여 허락하니, 염왕이 노숙을 향하여 절하고 가로되,
"도체 어떠하신고? 날로 새로 견고히 하시니 세 해 사이 있다가 삼월 초하룻날이면 서방 교주가 자금련 꽃좌를 가지고 그대를 맞아 서방 상품에 나게 하리라."
하고 말을 마침에, 도로 본가에 오니, 집사람이 영장하고자 할 때에, 도로 일어나 게로 이르되,
집에 가득한 처자와 재물, 보배는 수고 당한 시절에는 이 몸을 대신하지 못하리다.
일념(一念) 미타라야 죄보(罪報)를 사르나니,
도로 나와 명(命)을 늘여 다시 진(眞)을 닦으리로다.
송씨 옹주의 몸에 위탁하여 도로 나니 왕고 부인이 기뻐할 때, 옹주 생신이 위의 일을 갖추어 말하니 왕이 슬퍼하고, 왕랑을 조서하여 가로되,
"나는 잠깐도 이런 일을 보지 못하였으니 이른바 꿈 중의 상서(祥瑞)로다."
왕랑이 즉시 사뢰어 이르되,
"송씨 열한 해 사이에 다른 친을 사랑하지 아니하고, 오직 전날의 신을 가져서 이에 다시 친함을 만났도다."
하고 기뻐 물러가 목숨 일백마흔일곱 해를 늘인 후에 함께 극락(極樂)국에 났다.
요점 정리
연대 : 명종 때(16세기 중엽)
작자 : 보우
형식 : 불교 소설, 고전 소설, 목적 소설, 전기 소설
배경 사상 : 불교의 정토 신앙
성격 : 희곡적 구성
주제 : 염불 정진을 통한 극락 왕생
출전 : 권념요록
구성 :
기 - 염불(念佛) 비방(誹謗)의 죄과(罪科)
① 10년 전에 죽은 아내 송시가 명부의 일을 전하기 위하여 왕랑을 찾아왔다.
② 명부에서는 전일에 왕랑 부부가 이웃집 안노숙의 염불 행위를 비방하였으므로 먼저 송씨를 잡아갔다.
③ 염왕은 송씨 죽은 지 10년이 되도록 여전히 염불을 하지 않는 왕랑을 잡아다가 문책할 계획을 세웠다.
승 - 왕랑의 참회(懺悔)·염불(念佛)차사와 염라대왕(閻羅大王)을 감동시킴
④ 염왕이 왕랑을 잡으러 차사를 보내려 하자. 송씨가 이를 알고 왕랑에게 염불할 것을 권하려 온 것이다.
⑤ 왕랑이 아내의 말대로 참회·염불을 하니, 차사들이 와서 보고 결박하지 않고 명부로 모셔 갔다.
⑥ 염왕은 귀사들에게 왕랑이 참회·염불하더라는 말을 듣고 매우 기뻐하였다.
전- 염불(念佛)의 공덕(功德), 왕랑 부부의 인간 세상에 환생(還生)
⑦ 시왕이 왕랑의 염불 공덕을 인정하여, 부부의 수명을 연장 시켜 인간으로 되돌려 보내기로 하였다.
⑧ 송씨는 죽은 지 오래 되어 육신이 없어졌으므로, 마침 죽어 명부에 와 있는 월씨국 옹주의 모에 붙이어 환생케 하였다.
결 - 염불(念佛) 공덕(功德)의 극치(極致)
⑨ 염왕이 왕랑 부부에게 염불 정진하고 안노숙을 존경하라 당부하며 인간 세상으로 내어 보냈다.
⑩ 왕랑은 본래 몸으로, 송씨는 옹주 몸으로 환생하여 염불 공덕을 쌓아 함께 극락 세계에 왕생한다.
내용 연구
고치 : 죽은 아내.
종요롭다 : 없으면 안 될 만큼 요긴하다.
차사 : 중요한 임무를 위해 파견하던 임시직.
미타탱 : 아미타불을 그린 그림 족자.
명관 : 명계(염라국)의 관원.
귀사 : 염왕이 보낸 차사를 가리킴.
명조 : 사람이 죽은 뒤에 심판을 받는다는 곳. 여기서는 '심판을 하는 염라대왕'을 말함.
도량 : (본래 음은 도장)불도를 닦는 신성한 곳. 절.
칙령 : 명령.
행래 : 길 가는 것.
진심 : 성을 왈칵 내는 마음.
귀보 : 귀적에 매어 있는 응보.
게 : 부처의 공덕을 기리는 노래.
명간 : 저승 세계.
연화국 : 연꽃의 나라. 곧 극락 정토.
섬 : 계상. 계단 위.
부처 : 부부.
서방주 : 서방 정토의 주불.
사바 : 속세.
시왕 : 저승에서 죽은 이를 심판한다는 10명의 왕.
조부 : 명조의 관청.
무간죄보 : 한없는 죄악에 대한 과보.
야마천 : 밤낮의 구분이 없고, 시분을 잘 알 아 환락을 누린다는 곳.
제불제천 : 모든 부처와 천신들.
호지 : 보호하고 어려운 일을 버티어 나가게 함.
음신 : 소식이나 편지.
도체 : 한문투 편지에서 '도를 닦는 사람의 체후'라는 뜻으로 상대방을 높여 이르는 말.
서방 교주 : 아미타불.
상품 : 최상급의 극락 정토.
영장하다 : 안장하다.
상서 : 복 되고 길한 일이 일어날 징조.
조서 : 왕의 명을 알리고자 적은 문서.
사랑하지 : 생각하지.
이해와 감상
조선 중기에 보우 ( 普雨 )가 지은 불교소설. 염불공덕(念佛功德)을 주제로 하여 지은 불교소설로, ‘ 왕랑전(王郎傳) ’ 이라고도 한다. 한문본과 국문본의 두 가지가 전하는데, 현존하는 최고본은 1637년(인조 15) 화엄사에서 간행한 ≪ 권념요록 勸念要錄 ≫ (목판본)으로, 서문 다음에 단락별로 토를 단 한문과 국문으로 된 본문을 싣고 있다.
이본으로 동화사 ( 桐華寺 )에서 간행한 ≪ 아미타경언해 阿彌陀經諺解 ≫ (1753), 해인사에서 간행한 ≪ 연종보감 蓮宗寶鑑 ≫ (1776), 선운사 ( 禪雲寺 )에서 간행한 ≪ 보권문 普勸文 ≫ (1787) 등은 한문 · 국문 대역(對譯)의 본문을 권말에 부록하고 있다. 화엄사본은 체재와 국역상의 조어(措語) 등에서 다른 본들과 구별된다.
〈 왕랑반혼전 〉 은 염불공덕을 고취하여 일반 서민을 교화할 목적으로 쓰여진 불교소설이다. 작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길주 왕사궤(王思机)는 죽은 아내 송씨(宋氏)의 방문을 받았다. 송씨는 왕랑이 배불(排佛)한 일로 명부에 끌려가 심판받게 될 것을 알리고, 그 구제책으로 불상 앞에서의 염불할 것을 당부하고 가버렸다.
왕랑을 잡으러 온 명부의 사자가 왕랑의 염불하던 광경을 본 대로 염왕(閻王)에게 아뢰니 염왕은 아내 송씨와 함께 왕랑을 다시 살려 인간세상으로 내보냈다. 죽은 지 오래 된 송씨는 월지국(月氏國) 옹주 ( 翁主 )의 몸에 혼을 의탁하여 환생하였다. 부부는 다시 세상에서 만나 함께 불공을 닦아 극락세계에 태어난다.
〈 왕랑반혼전 〉 의 작자에 대해서는, 작자를 미상으로 보는 설과 보우(普雨)로 보는 설이 있다. ≪ 권념요록 ≫ 의 서문을 고증한 결과, 이 작품은 16세기 중엽 보우의 작임이 밝혀졌다.
그러나 근년에 나타난 1304(大德 8)년에 간행된 ≪ 불설아미타경 佛說阿彌陀經 ≫ 에 ≪ 궁원집 窮原集 ≫ 에서 인용한 〈 왕랑전 〉 (한문)이 수록된 것으로 보아 〈 왕랑전 〉 한문원작은 14세기 이전의 작품임이 밝혀졌다.
보우는 전대의 〈 왕랑전 〉 (한문)을 부연, 윤색하여 국문으로 옮겼던 것인데, ≪ 권념요록 ≫ 수록분은 바로 보우가 윤문한 한문 〈 왕랑전 〉 과 이를 옮긴 국문 〈 왕랑전 〉 으로 보인다. 화엄사본 ≪ 권념요록 ≫ 의 표기를 들어 작자 미상의 15세기 작품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 왕랑반혼전 〉 도 ≪ 삼국유사 ≫ 의 불교설화로부터 ‘ 불교소설 ’ 로 전개된 획기적 작품이며, 국문소설이 당초 한문을 발판으로 삼아 시작된 사실을 보이는 사례가 된다.
≪ 참고문헌 ≫ 朝鮮小說史(金台俊, 學藝社, 1940), 韓國古代小說史(朴晟義, 日新社, 1964), 國文學槪說(金東旭, 民衆書館, 1961), 勸念要錄(韓國佛敎叢書 7, 東國大學校出版部, 1986), 懶庵普雨와 王郎返魂傳(黃浿江, 韓國敍事文學硏究, 1972), 佛敎系國文小說의 形成過程硏究(史在東, 亞細亞文化社, 1977).
(자료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심화 자료
작품의 성격
이 작품은 단행본이 아니라 불교 관련 서적에 부록되어 전송되어 왔다는 사실이나, 염불 공덕을 강조한 점으로 보아 불교 포교의 목적으로 쓰여진 소설이다. 더구나 전기적 형식이 배제되었으며, 국한 대역의 형태를 전승되는 작품이어서 일반적 고대 소설과 구별되는 특이성이 있다.
한편, 이 작품은 염불을 권하는 불교 설화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등장 인물의 성격이 설화적 차원을 넘어 개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소설로서의 가치가 인정된다고 하겠다. 특히 왕랑을 잡으러 온 귀사들 사이의 갈등에서 이런 점을 뚜렷이 알 수 있다. 같은 명부의 사자이면서도 첫째 귀사는 염불하는 왕랑에게 경의를 표하면서도 염왕의 명을 따르지 않을 수 없는 처지임을 탄식하며 동행하기를 청한 데 비하여, 셋째 귀사는 염왕이 왕랑을 엄히 매어 가져오라 했으니 그대로 집행할 것을 주장했고, 남은 귀사는 자기 네가 선도를 닦지 못하여 귀보를 벗지 못했으니, 차라리 죽을 죄가 될지언정 감히 염불하는 사람을 매어 가지 못한다고 함으로써 개성미를 나타내고 있다.(자료 출처 : 문원각의 고전문학의 이해와 감상에서)
주제 의식과 배경 사상
이 작품의 핵심 내용은 아무리 큰 죄를 지었어도 잠깐 동안의 염불 공덕으로 용서받을 수 잇다는 점이다. 왕랑은 염불을 업으로 삼는 안노숙을 비방한 죄로 염왕에게 잡혀 왔지만, 그가 염불했다는 사실을 알고서 염왕은 자리에서 일어나 절까지 하면서 부부가 함께 염불 정진하여 극락에 왕생할 수 있도록 인세로 다시 내보낸다. 이것은 이 작품의 주제가 염불 권선 내지 극락 왕생임을 분명하게 보여 주는 것이다.
불교에서 말하는 극락 세계는 아미타불이 주재하는 세계이며 서방 정토라고도 하는 바. 이 서방 정토에 왕생하려는 염원은 정토 신앙의 핵심이다. 이 작품에서 왕랑은 아미타불 탱화를 걸어 놓고 염불을 하였으며, 환생한 뒤 염불 정진을 통해 극락에 왕생하였다. 그러므로 이 작품의 중심 사상은 정토 신앙과 인과 응보 사상으로 압축된다.(자료 출처 : 문원각의 고전문학의 이해와 감상에서)
설화적 화소와 희곡적 구성 양식
이 작품의 근간이 되는 설화적 화소는 네 가지이다. 죽은 사람의 혼백이 산 사람과 다시 만난다는 이야기와 명부의 왕(염왕)이 현세 인간의 운명을 지배한다는 이야기, 그리고 저승에 갔다가 다시 현세로 되돌아오는 이야기. 죽은 이의 영혼을 다른 사람의 육체에 옮겨 넣어 재생한다는 이야기 등의 그것이다. 이러한 설화적 화소가 등장 인물의 대화와 행동을 주축으로 유기적 통합을 이루고 있다. 그만큼 서술적 표현이 적은 것이 이 작품의 특징이다. 그래서 이 작품은 희곡적 특징을 보여 주는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소설은 장면 서술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서사 양식이지만 희곡은 행동과 대사 중심의 서사 문학이기 때문이다.(자료 출처 : 문원각의 고전문학의 이해와 감상에서)
'왕랑반혼전'의 형성
〈왕랑반혼전〉의 한문 원전은 14세기 초에 간행된 〈불설아미타경〉에 처음 나타나는데, 이것이 문학적으로 윤색되어 1637년에 간행된 〈권념요록〉에 국·한 대역의 형태로 그 모습을 드러낸 이후 여러 불교 서적에 수록되어 왔다. 따라서, 〈왕랑반혼전〉은 한문을 발판으로 하여 형성된 국문 소설이며 불교 소설로서 문학사적 위상이 독특한 작품이라 하겠다.
특히 일부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국·한 대역 〈왕랑반혼전〉의 작가를 중종∼명종 연간의 승려 보우로 본다면, 최초의 한글 소설을 〈홍길동전〉으로 보는 통설은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자료 출처 : 문원각의 고전문학의 이해와 감상에서)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