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와신상담(臥薪嘗膽)의 유래

by 송화은율
반응형

 

와신상담(臥薪嘗膽) // 섶에 눕고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으려 괴롭고 어려움을 참고 견딤의 비유. 

出典史記 越世家

 

춘추시대, 월왕(越王) 구천(勾踐)과 취리에서 싸워 크게 패한 오왕(吳王) 합려(闔閭)는 적의 화살에 부상한 손가락의 상처가 악화하는 바람에 목숨을 잃었다.(BC 496) 임종 때 합려는 태자인 부차(夫差)에게 반드시 구천을 쳐서 원수를 갚으라고 유명(遺命)했다.

 

오왕이 된 부차는 부왕(父王)의 유명을 잊지 않으려고 섶 위에서 잠을 자고[臥薪], 자기 방을 드나드는 신하들에게는 방문 앞에서 부왕의 유명을 외치게 했다.

 

부차야, 월왕 구천이 너의 아버지를 죽였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그 때마다 부차는 임종 때 부왕에게 한 그대로 대답했다.

, 결코 잊지 않고 3년 안에 꼭 원수를 갚겠나이다.”

 

이처럼 밤낮 없이 복수를 맹세한 부차는 은밀히 군사를 훈련하면서 때가 오기만을 기다렸다. 이 사실을 안 월왕 구천은 참모인 범려(范蠡)가 간()하는 것도 듣지 않고 선제 공격을 감행했다. 

 

그러나 월나라 군사는 복수심에 불타는 오나라 군사에 대패하여 회계산(會稽山)으로 도망갔다. 오나라 군사가 포위하자 진퇴양난에 빠진 구천은 범려의 헌책(獻策)에 따라 우선 오나라의 재상 백비(伯嚭)에게 많은 뇌물을 준 뒤 부차에게 신하가 되겠다며 항복을 청원했다.

 

구천은 오나라의 속령(屬領)이 된 고국으로 돌아오자 항상 곁에다 쓸개를 놔 두고 앉으나 서나 그 쓴맛을 맛보며[嘗膽], 회계의 치욕[會稽之恥]을 상기(想起)했다. 그리고 구천 부부는 함께 밭갈고 길쌈하는 농군이 되어 은밀히 군사를 훈련하며 복수의 기회를 노렸다. 회계의 치욕으로부터 12년이 지난 후 구천은 군사를 이끌고 오나라로 쳐들어갔다. 그로부터 역전(曆戰) 7년만에 오나라의 도읍 고소(姑蘇 : 蘇州)에 육박한 구천은 오왕 부차를 굴복시키고 마침내 회계의 치욕을 씻었다. 부차는 용동(甬東 : 折江省 定河)에서 여생을 보내라는 구천의 호의를 사양하고 자결했다.

 

유사어회계지치(會稽之恥), 절치액완(切齒扼腕)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