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학창고

열불열녀(烈不烈女)설화​

by 송화은율
반응형

열불열녀(烈不烈女)설화

남편을 죽인 친구와 결혼하여 남편의 원수를 갚은 부인에 관한 설화. 경상남도 마산시 진동(鎭東) 지방에서는 열녀비에 얽힌 전설로 전승되고 있으나, 다른 지방에서는 본격적인 민담으로 전승되고 있다.

현재 구전되고 있는 지역은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安康邑) 일대와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永同邑) 일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榛接邑) 일대이다. 진접읍에서는 이웃 고장인 장흥면(長興面)에서 실제로 있었던 일처럼 전래되고 있으나, 전설로서의 조건을 두루 갖추고 있지는 않다. 진동의 열녀비에 얽힌 전설은 중국의 ≪두양잡편 杜陽雜編≫에 실려 있는 설화와 거의 비슷한 것으로서, 비교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옛날 한 나무꾼이 아름다운 아내와 살고 있었다. 그런데 나무꾼의 친구가 늘 그 부인을 탐내어, 어느 날 함께 나무하러 갔다가 그 나무꾼을 죽이고 태연하게 혼자 돌아와서 나무꾼의 부인을 돌보아 주다가, 마침내 자신의 뜻대로 결혼하게 되었다. 결혼 후 아들 삼 형제와 딸 형제를 낳고 살았는데, 하루는 남편이 처마에서 빗물이 떨어지는 것을 보고 혼자 웃으므로, 부인이 그 까닭을 따져 물었다.

남편은, 이제는 모든 사실을 이야기하여도 아내가 어쩔 수 없으리라 생각하고, “낙숫물 거품을 보니 친구가 죽을 때 입에 물었던 거품이 생각나서 웃었다.” 하면서, 전남편을 죽인 사실을 실토하였다. 부인은 곧 이 사실을 관가에 알려 처형하게 함으로써 전남편의 원수를 갚았다. 그리고 자기의 미모가 두 남편을 죽였으니, 어찌 살 수 있으랴 하고 자결하였다.

이 설화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부인이 남편의 친구에게 개가한 것도 남편의 원수를 갚기 위한 수단으로서 의도적이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열불열녀설화라고 하는 것은, 전남편에 대해서는 열(烈)이요, 재가한 남편에 대해서는 불렬(不烈)이기 때문이 아니라, 전남편의 원수를 갚기 위하여 다른 남자에게 개가한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즉, 열녀는 두 남편을 섬겨서는 안 되는데, 두 남편을 섬김으로써 사이부(事二夫)를 하였기 때문이다.

중국설화와 비교 연구한 결과, 중국에서 전래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우리 나라에서 자생하였을 가능성도 높다. 현재까지 수집된 자료들을 보면, 분포에 있어서 경기도 이남으로 한정되어 있지만, 자료의 민담적 성격으로 보아 거의 전국적일 가능성이 있다.

나무꾼이 죽을 때 거품을 내면서 죽었고, 그 죽음을 낙숫물 거품을 통하여 회상하였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화소(話素)는 ‘거품’이라고 할 수도 있으나, 자료에 따라서는 거품 화소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많다. 다만 비 오는 날 회상에 젖었다가 살인한 사실을 발설하게 된다는 공통성을 지닐 뿐이다.

특이한 변이형으로는 영동읍의 구전 자료를 들 수 있다. 병이 든 남편을 구완하기 위하여 부잣집 행랑채를 빌려 사는 대신에 주인과 동거하게 되었으며, 남편이 죽자 따라서 함께 죽었다는 내용인데, 열불렬의 주제는 동일하다. 이 설화에는 부인이 남편의 원수를 갚는다는 사실은 열녀라고 칭찬할 만하나 목적을 위해서 남편을 죽인 자에게 개가까지 한 것은 불렬이므로, 정당화될 수 없는 잘못이라는 판단이 냉정하게 인식되어 있다.

≪참고문헌≫ 韓國民族說話의 硏究(孫晉泰, 乙酉文化社, 1950), 韓國說話文學硏究(張德順, 서울大學校出版部, 1970), 韓國口碑文學大系(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0∼1988).

반응형

블로그의 정보

국어문학창고

송화은율

활동하기